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단 후 북한냉면의 남한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냉면의 발생배경과 남한에서의 토착화
1. 냉면의 발생
1.1. 평양냉면의 발생
1.1.1. 자연적 배경
1.1.2. 사회․문화적 배경
1.2. 함흥냉면의 발생
1.2.1. 자연적 배경
1.2.2. 문화적 배경

2. 냉면의 남한에서의 토착화
2.1. 평양냉면
2.1.1. 전쟁과 분단 후 평양냉면의 변화양상
2.1.2. 변화의 요인
2.1.2.1. 자연적 요인
2.1.2.2. 사회․경제적 요인
2.1.3. 남한에 정착한 평양냉면의 변화양상의 확인 - ‘우래옥’ 방문

2.2. 함흥냉면
2.2.1. 전쟁과 분단 후 함흥냉면의 변화양상
2.2.2. 변화의 요인
2.2.2.1. 자연적 요인
2.2.2.2. 사회․경제적 요인
2.2.3. 남한에 정착한 함흥냉면의 변화양상의 확인 - ‘반룡산’ 방문

2.3. 한국전쟁 후 탄생한 부산 밀면
2.3.1. 냉면의 주도권을 넘겨받은 밀면
2.3.2. 밀면의 발생요인 및 발달과정


Ⅲ. 결론


그림과 표의 목차

<그림1> 국수틀
<그림2> 노임인상에 따라 냉면 값도 인상한다는 내용의 1935. 3. 6일자 조선일보 기사
<그림3> 원조평양냉면의 맛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받는 ‘우래옥’의 평양냉면 1
<그림4> 원조평양냉면의 맛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받는 ‘우래옥’의 평양냉면 2
<그림5> ‘반룡산’의 함흥냉면
<그림6> 왼쪽의 함흥냉면을 비빈모습
<그림7> 평양냉면을 닮은 밀면
<그림8> 함흥냉면을 닮은 밀면

<표1> 고문헌에 남아 있는 냉면에 대한 기록
<표2> 1911년 남북한 주요 지역의 감자와 고구마 수확량

본문내용

라가면서 수업시간에서 배웠던 식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냉면의 변화에 적용해 볼 수 있었고, 변화의 원인에는 그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는 것을 깨달았다. 우리는 냉면이라는 한 음식만 탐구해 보았으나, 이것은 비단 냉면에게만 일어나는 일은 아닐 것이다. 냉면 이외에도 음식 외적인 요인들로 인해 수많은 음식들이 변해 왔을 것이고, 지금도 변화하고 있으며 그 변화에는 이유가 존재할 것이다. 여기까지 생각이 미치고 보니, 음식은 단순히 ‘먹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음식에는 인간의 역사가 녹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음식의 관능적인 요소뿐만이 아니라 음식에 영향을 미치는 음식 외적인 요소들까지 안다면 음식을 더 잘 즐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단행본
김완배 등. 『북한의 농업현황 분석 및 남북한 농산물 적정 생산·배치에 관한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김종욱 등. 『지리부도』. 서울: 교학사, 2003
김찬별. 『한국음식 그 맛있는 탄생 : '우리가 몰랐던 우리 음식의 유래와 문화'』. 서울: 로크미디어, 2008.
『우리말 큰사전』. 한글학회 편. 서울: 어문각, 1992.
윤덕노. 『음식 잡학 사전』. 서울: 북로드, 2007.
윤서석. 『우리나라 식생활 문화의 역사』. 서울: 신광출판사, 1999.
이용기. 『다시 보고 배우는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옛음식연구회 편. 서울: 도서출판 궁중음식연구원, 2001.
이장욱 등. 『배타적경제수열(EEZ) 주요 어업자원의 생태와 어장』. 부산: 해양수산부 국립수산진흥원, 2000.
『자연과 정성의 산물, 우리 음식』. 국사편찬위원회 편. 서울: 두산동아, 2006.
장지현 등. 『한국음식대관』. 6권. 서울: 한림출판사, 2001.
『조선의 특산료리』. 평양출판사, 2005.
조은자. 『한국전통식품연구』. 서울: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한복진. 『팔도음식』. 서울: 주식회사 대원사, 1993.
학술정보
남성욱. 「북한의 수산업 현황과 효율적인 남북협력 방안」.『북한연구학회보』10.1 (2006): 149-178.
류시생 등. 「지난 일세기 동안의 한국인 식습관의 변화와 보건영양상태의 추이 분석」.『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3.4(1998): 397-406.
윤형숙. 「지구화, 지역 토속 음식의 생산과 소비: 홍어를 중심으로」. 『도서문화』32(2008): 211-238.
전자자료
국립수산진흥원. 「노랑 가오리」. 『제주자연환경생태정보시스템』. 2009. 11. 22 .
김지영. 「옛 고향의 맛, 함경도 가릿국밥」. 『매일경제』2007. 10. 13, 『파오인』. 2009. 11. 22 .
노형석. 「냉면과 파리 만국박람회의 관계는?」. 『한겨례21』721(2008). 2009. 11. 22 .
김영주. 「이 땅의 국수를 찾아서⑤평양냉면」.『중앙일보』2009. 6. 11. 『Joins』. 2009. 11. 24 .
김영주. 「이 땅의 국수를 찾아서④진주냉면」. 『중앙일보』2009. 5. 28, 『Joins』. 2009. 12. 4 .
김영복. 「“맛있는 참살이”우리 전통음식 냉면(상)유래」.『경남도민일보』2007. 4. 26.『Idomin.com』. 2009. 11. 30 .
「메밀」. 『네이버 백과사전』. 2009. 11. 30 .
이명진. 「함흥냉면엔 메밀 없어도 적법」.『조선일보』2001. 6. 19.『조선일보 아카이브』. 2009. 12. 5 .
「이북음식」. 『전통향토음식문화연구원』. 2009. 12. 5 .
이석희. 「[백년명가②]함흥냉면 회, 아직도 홍어라고 믿니?」.『일간스포츠』2009. 7. 29. 『IS Plus 일간스포츠』. 2009. 11. 22 .
이석희, 조용철. 「이 땅의 국수를 찾아서⑥부산 밀면」. 『중앙일보』2009. 6. 25, 『Joins』. 2009. 12. 4 .
이효지. 「냉면」.『한국민속문화대백과사전』. 2009.11.30 .
조명숙. 「평양냉면」.『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9. 12. 5 .
홍수원. 「같은 재료 가지고 이왕이면 맛있게-조선요리강좌(2)」.『조선일보』1934. 5. 22. 『조선일보 아카이브』. 2009.11.30 .
“Deep Dish Pizza." Food Reference. Ed.James T. Ehler. 30 Nov. 2009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5.10.28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56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