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언영색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언영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개인 소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의 삶은 피폐해졌다. 한나라의 군왕이 군왕답지 못하고 권신들이 신하답지 못한 처신을 보일 때마다 외세가 침탈하여 국토를 유린했던 사실들은 우리의 역사가 생생히 보여주고 있다고 본다.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동서양을 불문하고 교언영색(巧言令色)하는 신하를 멀리 한 군주가 훌륭한 업적과 더불어 온 백성으로부터 추앙받았다는 사실은, 21세기 현재의 우리나라 정치 상황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판단된다.
정치인들의 말재주와 표정관리를 통한 교언영색(巧言令色)은 세상을 어지럽히고 국민을 속이는 혹세무민(惑世誣民)이라고 본다. 하지만 이런 거짓에 넘어가기 쉬운 게 일반 국민들이다.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성완종 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정치인들의 교활한 교언영색을 접하며, 이러한 정치인에 의해 이루어지는 행위는 일반 국민들을 현명하게 만드는 대신 정치로부터 국민들을 괴리시키고, 정치에 대한 환멸감만을 남길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용옥(2008). 논어 한글역주. 서울: 통나무. p.272.
만주원류고를 사랑하는 모임: http://cafe.naver.com/manchuria/487
송필수(2012). 교언영색(巧言令色)의 인사들을 경계해야 한다. WTN Live, 오피니 언 칼럼.
성종실록. 성종4년(1473년).
이수태(2009). 논어의 발견. 서울: 생각의 나무. p.161.
장연(2006). 말힘 글힘을 살리는 고사성어. 고려원북스.
정조실록. 정조 22년(1798년).
표은영(2002).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고사성어 연구. 숙명 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6.02.19
  • 저작시기201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7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