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ㅇ’의 일곱 가지만 올 수 있다는 규칙이다.
국어의 19개 자음 중 ‘ㅃ, ㄸ, ㅉ’은 종성으로 사용되는 예가 없기 때문에 총 16개의 자음과 11개의 겹받침이 종성으로 사용되는데, 이들은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실현된다. 16개 자음의 경우만 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머리말
Ⅱ. 본문
Ⅲ. 맺음말
Ⅳ. 참고 자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내파화하고 후행어의 두음 을 된소리화하는 것이었다.(용비어천가, 훈민정음언해의 특수한 표기법 중 고정화)
- 향찰 표기 ‘叱’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고 있다.
- 종성으로 표기되는 것이 원칙이며, 선행어가 한자로 표기된 경우에는 따 로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내파화하고 후행어의 두음을 된소리화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龍飛御天歌와 訓民正音諺解에서는 매우 특수한 표기법을 마련하여(주로 漢字語의 경우) 선행어의 말음이 不淸不濁字인 경우 그것과 같은 位置(牙 舌 脣 喉)의 全淸字로써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내파화하고 후행어의 두음 을 된소리화하는 것이었다.(용비어천가, 훈민정음언해의 특수한 표기법 중 고정화)
- 향찰 표기 ‘叱’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고 있다.
- 종성으로 표기되는 것이 원칙이며, 선행어가 한자로 표기된 경우에는 따 로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9.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