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석놀이 활동을 통한 유아의 과학적 탐구 능력변화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에도 관심 없음.
중기
예10) 극 실험: 스스로 도구를 탐색하고 자석의 공중부양을 발견해 낸 후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다른 유아에게 해석하고 타인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예.
말기
예11) 광고용 자석과 매미자석을 통한 확장(신체표현활동): 자석의 생김새와 특징을 신체를 이용해 의사소통을 함.
4. 실험하기(연구중기의 초반실험)
시기
탐구 과정 기술 변화
초기
예12) 한 가지 준거에 의해서 실험하기
자석코너에 설명 없이 ‘자석 띄우는 장치’를 배치- 종운이: 같은 극이라는 준거에 의해 실험
중기
예13) 다른 요소를 첨가, 제거하면서 실험하기: 자석의 인력과 척력에 관한 실험: 동화(돌돌이와 바퀴이야기)의 내용을 첨가하여 원주자석의 실험과 연관, 자기생각을 설명하는 장면
말기
예14) 모든 사고 기능을 통합, 활용하여 자석을 조작, 도구를 사용하여 실험하기; 동빈이: 척력이라는 자석의 성질과 모양이라는 요소를 첨가하여 실험, 세형이는 자석이 굴러감을 바퀴와 같다고 표현.
교사저널
동빈이의 발견: 자석과 바퀴를 연관시킨 활동
5. 추론하기
시기
탐구 과정 기술 변화
초기
예15) 비행기에 클립 끼우기; 선지식에 단순한 추론하기의 예이다.
중기
말기
예 16) 철가루 놀이 활동; 추론의 한 방법으로 관찰한 것에 대한 가능한 설명과 더불어 논리적 설명을 하고 확장시키며 신체적인 표현을 하였다.
자기력선에 대해 이해하고 추론능력을 보였다.
6. 창안하기
시기
탐구 과정 기술 변화
중기
예17) 자석 깡통 차기 게임: 자석의 성질. 인력과 척력을 이용한 게임을 만들었다.
말기
(교사저널)
자석 정리 방법을 고안함; 자석이 열린 나무; 철망에 붙임
Ⅴ. 결과 및 해석 (교재 66p)
1. 결론
첫째, 유아들이 탐구 과정 기술을 활용하는 양상은 연구기간 전반에 걸쳐 변화를 보였으며 연구의 초기에 비해 중기와 말기로 갈수록 다양한 탐구과정 기술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였다.
1) 연구 초기에는 관찰하기가 주로 나타났으며 2주가 넘게 자석을 지각적으로 관찰하였다. 모양에만 관심을 보였으며 자석의 성질은 인식하지 못하였다.
2) 연구 중기에는 관찰하기가 구체적이고 세밀해졌으며 실험하기, 의사소통하기, 예측하기, 추론하기, 창안하기가 모두 나타났고 유아들은 이러한 과정적 기술을 통합하여 활용하였다. 세밀한 관찰과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실험 그리고 창안하기까지 연구가 진행되어 갈수록 유아들은 다양하고 복잡한 탐구과정기술을 활용한 자석놀이를 하였다.
3) 연구 말기에는 중기에 나타난 탐구과정기술을 다양하게 통합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 초기와 중기의 구성놀이를 통해 알게 된 자석에 대한 과학적 개념이나 지식을 조형활동이나 게임 등에 적용시켜 즐거운 놀이로 만들어 나갔다. 자석이라는 물리적 환경과의 상호작용과 또래와의 사회적 맥락 속에서 협동적 놀이를 함으로서 공유된 지식을 내면화하는 기회를 가짐과 동시에 점진적으로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또한 탐구과정 기술을 통합하여 활용하므로서 유아들은 발견하고 경험하고 놀이하는 그 자체에서 즐거움을 느꼈다.
둘째, 탐구과정기술의 구성요소별 활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 유아들은 각 과정 기술의 구성요소별로 변화를 보였다.
1) 관찰하기: 연구 전반에 걸쳐 관찰하기를 하였다.
연구초기에는 자석의 모양 관찰에만 관심을 보였으나 중기에는 인력과 척력을 체험하는 활동에서부터 활발한 상호작용을 보이며 관찰하고 연구가 진행될수록 유아들은 물체의 변화와 변화된 특징을 관찰 하거나 특성을 정확하게 묘사하고 도구를 사용하여 관찰하는 모습을 보임 특히 연구 중기에서 여러 가지의 탐구과정 기술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였다.
2) 예측하기; 연구의 초기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말기로 갈수록 활발하게 나타났다.
연구 중기의 예측 특징은 선지식을 토대로 기초한 예측이었으나 말기로 갈수록 연구기간 동안 유아들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 얻은 지식을 기초하여 예측하였다. 일어날 일을 미리 생각해 보아 실제로 일어난 일들과 비교하는 모습도 보였고 예측과 실제 해결 방법 간의 차이점을 발견하고 진지하게 예측하는 변화된 모습을 보였다.
3) 의사소통하기: 초기에 비해 자석놀이 활동이 진행될수록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초기에는 단순한 자기의 생각을 말하고 유아의 의견을 듣기만 하던 유아들이 중기에는 자석놀이 활동이 활성화 되면서 자신들이 발견한 것이나 관찰 한 것에 대한 의견과 생각을 주고받고 사물을 정확하게 묘사하고 설명하며 정보를 교환하며 자신들의 방법으로 자료를 해석하였다.
4) 실험하기: 연구의 전반에 걸쳐 활발하게 나타난 탐구과정 기술이다.
유아들 스스로 탐색하고 자료를 제공, 분위기를 조성함, 신기한 현상이나 어긋난결과에 호기심을 보였고 다양한 탐구과정 기술을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과학적 태도를 보임
5) 추론하기: 연구의 초기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의 중기와 말기에 추론하기가 많이 나타났다. 철가루 실험을 토태로 새로운 경험을 통해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추론의 경향이 나타났고 논리적이지 못한 상황도 나타났다.
6) 창안하기: 연구전반에 걸쳐 활발하게 일어나지는 않았다.
획득한 개념을 적용하여 게임을 만들거나 동시를 짓거나 동화를 만들 때에는 유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이 끊임없이 나타났고 연구 중기 유아들이 만든 자석 깡통치기 게임은 자석의 인력과 척력의 현상을 이용한 창의적인 게임이였다.
2. 제언
첫째, 본 연구에서는 자석놀이를 활용한 유아들이 탐구능력 변화에 대한 부분만을 연구하였다. 그러나 연구과정에서 유아들이 자발적인 활동을 통해 스스로 개념을 발견하고 놀이를 만들어 가는 양상이 활발하게 나타났다. 후속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본 연구과정을 통하여 자석놀이 활동이 유아상호간의 협동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규모 유아집단에서 상위 인지적 사고를 나타내는 유아와 이를 배우고 모방하는 유아간의 사고 과정 양상의 변화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과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셋째, 자석놀이 활동을 통하여 교사의 태도나 역할에 따라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가격20,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4.02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26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