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칵테일
I. 칵테일의 어원
1. 칵테일의 어원-1
2. 칵테일의 어원-2
II. 칵테일을 만드는 방법
1) 갖추어야 할 도구
1. Shaking(셰이킹)
2. 믹싱 글라스
3. 바 스푼
4. 스트레너
5. 믹서
6. 계량 컵
7. 콜크스크류
8. 스퀴저
9. 오프너
10. 아이스 픽
11. 아이스 페일
12. 아이스 텅
13. 머들러
14. 스트로(빨대)
15. 칵테일 픽
16. 글라스 홀더
2) 얼음의 종류
3) 갖추어 놓으면 도움이 되는 것
* 참고문헌
I. 칵테일의 어원
1. 칵테일의 어원-1
2. 칵테일의 어원-2
II. 칵테일을 만드는 방법
1) 갖추어야 할 도구
1. Shaking(셰이킹)
2. 믹싱 글라스
3. 바 스푼
4. 스트레너
5. 믹서
6. 계량 컵
7. 콜크스크류
8. 스퀴저
9. 오프너
10. 아이스 픽
11. 아이스 페일
12. 아이스 텅
13. 머들러
14. 스트로(빨대)
15. 칵테일 픽
16. 글라스 홀더
2) 얼음의 종류
3) 갖추어 놓으면 도움이 되는 것
* 참고문헌
본문내용
병마개를 딸 때 통조림 따개의 칼날에 손을 다치는 경우가 있으므로 따로 있는 것이 좋다.
10) 아이스 픽(Ice Pick)
얼음을 잘게 부술 때 사용한다. 끝이 송곳처럼 뾰족하다.
11) 아이스 페일(Ice Pail)
얼음을 넣어 두는 용기.
아이스 바스켓(Ice Basket)이라고도 한다. 모양 재질에 따라서 여러 가지가 있으나, 기호와 용도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12) 아이스 텅(Ice Tongs)
얼음을 집기 쉽도록 끝이 톱니 모양으로 된 집게이다. 아이스 페일과 세트로 파는 것이 많으나, 가능하면 별도로 사는 것이 좋다.
13) 머들러(Muddler)
주로 롱 드링크에 곁들여, 칵테일을 섞거나 안에 든 과일을 으깰 때 쓰는 막대이다. 모양 재질은 여러 가지이지만, 심플한 디자인으로 된 플라스틱 제품이 좋다.
14) 스트로=빨대(Straw)
정식으로는 드링킹 스트로(Drinking Straw)라고 하며, 짧고 가느다란 것은 칵테일을 혼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스터링 스트로(Stirring Straw)라고 부른다.
크래쉬드 아이스를 사용한 칵테일이나 열대산의 드링크 등 마시기 힘든 칵테일에 곁들이는데, 색깔이나 모양 및 길이 등은 칵테일의 분위기에 맞게 선택하면 된다.
15) 칵테일 픽(Cocktail Pick)
장식인 올리브나 체리 등을 꽂는 핀이다. 칵테일 핀(Cocktail Pin)이라고도 한다. 칵테일의 분위기에 맞는 모양이나 색깔, 재질의 것을 택하면 된다.
16) 글라스 홀더(Glass Holder)
핫(Hot) 타입의 칵테일을 마실 때 글라스를 넣을 수 있는 그릇.
2, 얼음의 종류
1) Block Ice(블럭 아이스)
덩어리 얼음으로 Party Punch를 만들 때 큰 Bowl안에 넣어서 만든다.
2) Cube Ice(큐브 아이스)
보통 칵테일을 만들 때 사용하는 사각얼음으로 Cocktail Ice라고도 한다.
3) Crushed Ice(크러시 아이스)
Cube Ice를 얼음 분쇄기(Ice Crusher)로 잘게 으깬 얼음으로 전기 Blender로 칵테일을 만들 때 주로 사용한다.
4) Shaved Ice(세이브 아이스)
눈처럼 고운 얼음으로 마치 빙수를 만드는 얼음과 같으며 Frappe종류를 만들 때 많이 사용한다.
5) Dice Ice(다이스 아이스)
얼음의 크기가 주사위만하다 하여 다이스 아이스라 하며 주로 큰 컵에 청량음료를 따라줄 때 함께 사용한다.
* Muddler(머들러): 머들러는 2가지가 있다.
1/ 과일 또는 Herbs 종류(특히 생박하잎)에 생즙을 내는 절구로 크기와 모양이 약방에서 약을 조제할 때 정제를 분말로 만들 때 사용하는 기구와 같으며 재질은 플라스틱과 나무로 되어있다.
2/ 하이볼 종류를 만들 때 휘젓는 대로 Stirhng Rod라고도 한다.
3. 갖추어 놓으면 도움이 되는 것
(1) 도마: 평소에 쓰는 것도 좋으나, 홈빠 등에서 사용하려면 따로 장만하도록 한다.
(2) 페티 나이프(Petiy Knife): 요리용 식칼로도 대용할 수 있으나, 페티 나이프인 편이 사용하기 좋다.
(3) 코스터(Coaster): 롱 드링크스를 제공할 때 글라스 밑에 판다. 페이퍼 냅킨으로 대신해도 된다.
(4) 캔 오프너(Can Opener): 통조림 따개
(5) 펀치 보올(Punch Bowl): 펀치류를 만들 때 쓰는 대형 보올. 유리로 되어 있다. 보올에서 글라스에 옮길 때 쓰는 도구는 레들이라고 한다.
* 참고문헌
외식창업실무론 - 김헌희 저, 백산출판사, 2008
외식산업론 - 강무근 저, 학문사, 2001
외식 프랜차이즈 창업 실무론 - 이종한 저, 형설출판사, 2007
최신외식산업개론 - 홍기운 저, 대왕사, 2009
10) 아이스 픽(Ice Pick)
얼음을 잘게 부술 때 사용한다. 끝이 송곳처럼 뾰족하다.
11) 아이스 페일(Ice Pail)
얼음을 넣어 두는 용기.
아이스 바스켓(Ice Basket)이라고도 한다. 모양 재질에 따라서 여러 가지가 있으나, 기호와 용도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12) 아이스 텅(Ice Tongs)
얼음을 집기 쉽도록 끝이 톱니 모양으로 된 집게이다. 아이스 페일과 세트로 파는 것이 많으나, 가능하면 별도로 사는 것이 좋다.
13) 머들러(Muddler)
주로 롱 드링크에 곁들여, 칵테일을 섞거나 안에 든 과일을 으깰 때 쓰는 막대이다. 모양 재질은 여러 가지이지만, 심플한 디자인으로 된 플라스틱 제품이 좋다.
14) 스트로=빨대(Straw)
정식으로는 드링킹 스트로(Drinking Straw)라고 하며, 짧고 가느다란 것은 칵테일을 혼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스터링 스트로(Stirring Straw)라고 부른다.
크래쉬드 아이스를 사용한 칵테일이나 열대산의 드링크 등 마시기 힘든 칵테일에 곁들이는데, 색깔이나 모양 및 길이 등은 칵테일의 분위기에 맞게 선택하면 된다.
15) 칵테일 픽(Cocktail Pick)
장식인 올리브나 체리 등을 꽂는 핀이다. 칵테일 핀(Cocktail Pin)이라고도 한다. 칵테일의 분위기에 맞는 모양이나 색깔, 재질의 것을 택하면 된다.
16) 글라스 홀더(Glass Holder)
핫(Hot) 타입의 칵테일을 마실 때 글라스를 넣을 수 있는 그릇.
2, 얼음의 종류
1) Block Ice(블럭 아이스)
덩어리 얼음으로 Party Punch를 만들 때 큰 Bowl안에 넣어서 만든다.
2) Cube Ice(큐브 아이스)
보통 칵테일을 만들 때 사용하는 사각얼음으로 Cocktail Ice라고도 한다.
3) Crushed Ice(크러시 아이스)
Cube Ice를 얼음 분쇄기(Ice Crusher)로 잘게 으깬 얼음으로 전기 Blender로 칵테일을 만들 때 주로 사용한다.
4) Shaved Ice(세이브 아이스)
눈처럼 고운 얼음으로 마치 빙수를 만드는 얼음과 같으며 Frappe종류를 만들 때 많이 사용한다.
5) Dice Ice(다이스 아이스)
얼음의 크기가 주사위만하다 하여 다이스 아이스라 하며 주로 큰 컵에 청량음료를 따라줄 때 함께 사용한다.
* Muddler(머들러): 머들러는 2가지가 있다.
1/ 과일 또는 Herbs 종류(특히 생박하잎)에 생즙을 내는 절구로 크기와 모양이 약방에서 약을 조제할 때 정제를 분말로 만들 때 사용하는 기구와 같으며 재질은 플라스틱과 나무로 되어있다.
2/ 하이볼 종류를 만들 때 휘젓는 대로 Stirhng Rod라고도 한다.
3. 갖추어 놓으면 도움이 되는 것
(1) 도마: 평소에 쓰는 것도 좋으나, 홈빠 등에서 사용하려면 따로 장만하도록 한다.
(2) 페티 나이프(Petiy Knife): 요리용 식칼로도 대용할 수 있으나, 페티 나이프인 편이 사용하기 좋다.
(3) 코스터(Coaster): 롱 드링크스를 제공할 때 글라스 밑에 판다. 페이퍼 냅킨으로 대신해도 된다.
(4) 캔 오프너(Can Opener): 통조림 따개
(5) 펀치 보올(Punch Bowl): 펀치류를 만들 때 쓰는 대형 보올. 유리로 되어 있다. 보올에서 글라스에 옮길 때 쓰는 도구는 레들이라고 한다.
* 참고문헌
외식창업실무론 - 김헌희 저, 백산출판사, 2008
외식산업론 - 강무근 저, 학문사, 2001
외식 프랜차이즈 창업 실무론 - 이종한 저, 형설출판사, 2007
최신외식산업개론 - 홍기운 저, 대왕사, 2009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