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Ⅲ. 본 론
1) 간호정보 조사지(간호력)
2) 심체검진 결과
3) 임상 검사
4) 약물
5) 간호과정
★참고문헌 목록 ★
1) 간호정보 조사지(간호력)
2) 심체검진 결과
3) 임상 검사
4) 약물
5) 간호과정
★참고문헌 목록 ★
본문내용
불편한데 왜 하는거야?”
객관적
자료
계속 누워만 있는 모습이 관찰됨
설명해 준것에 대해 매일 똑같은 질문을 함.
간호목표
(기대결과)
환자는 퇴원 전까지 효과적인 관리방법을 3가지 이상 말로 설명할 수 있다.
치료(운동)의 중요성을 말로 설명할 수 있다.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수술 받은 고관절의 체위가 약 15도 정도 외전되도록 유지한다.
(외전배게 를 이용하여 내전을 예방한다
외전시키기 위해 발을 벌리고 배게 나 모래주머니 등을 받쳐 준다.)
수술 후 체위가 잘못되면 삽입된 인공 관절이 빠지게 될 염려가 있으므로 고관절을 반드시 외전시켜야 한다.
침범 받지 않은 관절의 ROM운동을 하도록 한다.
질환이 없는 관절도 질환이 있는 쪽과 같이 통증이 있을 수 있으므로 기동성을 최대한으로 하는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수술 받은 관절은 의사가 처방한 자세를 유지하고 침상에서는 정렬된 자세를 취한다.
마취로부터 회복되는 동안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보철이 고정되게 하기 위함이다.
지팡이, 목발, 워커, 삼각손잡이 등 이동보조기 사용법과 이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보조기 사용으로 자가간호와 독립심을 촉진하고 낙상을 예방한다.
수술 후 금지해야 하는 자세를 교육한다
(다리꼬지 않기, 양반다리 하지 않기, 허리 아래로 상체 구부리지 않기, 무릎을 허리 위로 올리지 않기)
수술 후 금기사항을 교육해 재발을 방지한다.
수술 후 관리(상처,욕창,운동,자세 등)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대상자의 교육에 대한 욕구을 높이기 위함이다.
간호 평가
환자는 퇴원 전까지 효과적인 관리방법을 3가지 이상 말로 설명했다.
치료(운동)의 중요성을 말로 설명했다.
간호진단
#2 관절 가동범위 제한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이거(side rail) 올리고 가지마”
“화장실가게 침대 내려오는데 도와줘”
객관적
자료
Morse의 낙상사정 도구: 70점(고위험군)
스스로 침대에서 내려오지 못함.
워커를 사용해야 이동 가능함.
간호목표
(기대결과)
대상자와 보호자는 낙상의 위험요인과 낙상 예방법을 말로 설명 할 수 있다.
대상자는 일주일 동안 낙상 사고를 경험하지 않는다.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병실을 자주 방문하여 side rail이 올려져 있는 것을 확인한다.
(side rail이 올려져 있지 않다면 다시한번 그 필요성을 설명하고 side rail을 올리도록 한다)
낙상유발 요인을 최소화 하고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주의를 시켜 낙상 위험을 줄인다.
낙상을 야기할 수 있는 원인을 제거한다.
(바닥이 미끄럽지 않게 유지하고 불필요한 물건을 치워놓도록 한다)
위험한 환경은 낙상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낙상예방법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침상난간을 올려놓을 것을 설명한다
대상자 가 혼자있지 않도록 보호자가 항상 대상자 옆에 있을 것을 설명한다.
침상에서 휠체어로, 휠체어에서 침상으로 이동시 바퀴를 고정시켜놓을 것을 보호자에게 설명한다)
낙상유발 요인을 최소화 하고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주의를 시켜 낙상 위험을 줄인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병동시설 및 위치에 대한 교육하고 만약 도움이 필요하거나 위급한 일이 있으면 호출벨을 누르도록 교육한다.
신체가 불편한 환자는 움직임에 제한이 있으므로 혼자 있지 않도록 해야 낙상위험율이 낮아진다.
보행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교육하고 적절한 운동을 지지한다.
안전한 보조기구의 사용은 낙상이나 손상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규칙적인 운동은 근력을 강화시키며 균형감각을 증강시키는데 도와준다.
낙상의 경우를 인지시켜 낙상 위험성을 줄인다.
(‘낙상 주의’팻말을 침상에 부착한다)
낙상유발 요인을 최소화 하고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주의를 시켜 낙상 위험을 줄인다
간호 평가
대상자와 보호자는 낙상의 위험요인과 낙상 예방법을 말로 설명했다.
일주일 동안 대상자의 낙상 횟수가 0 이다.
간호진단
#3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여기(욕창부위)에 연고라도 발라야 하는거 아니야?”
객관적
자료
침대에 하루종일 누워있는 모습이 관찰됨.
체위변경을 자주 하고 있지 않음.
욕창 위험정도평가 결과(Braden scale) :15점(저위험군)
피부상태: 비정상(부위_꼬리뼈) ,상태: 3~4cm크기로 빨갛고 진물이 남.
간호목표
(기대결과)
발적이 진전되는 피부손상의 진행정도를 예방한다.
발적부위에 진물이 나오지 않는다.
발적부위가 3cm 이내로 크기가 줄어든다.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환자와 접촉 전, 후에 손을 씻는다.
손 씻기를 통하여 손에 있는 세균의 90%이상이 사멸된다.
대상자의 피부가 받는 압력을 감소시킨다.
(Air 매트리스를 사용하여 압박을 줄이도록 한다.
2~3시간 마다 대상자의 체위를 변경하도록 한다.
침대시트가 구겨지지 않도록 주름을 펴준다.)
대상자의 체위를 변경함으로써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욕창 발생 및 발생한 욕창의 진행을 예방 할 수 있다.
대상자의 욕창발생 상태를 사정한다.
(3시간마다 대상자의 욕창부위 및 단계를 사정한다.
주기적으로 욕창 발생부위의 드레싱을 교환하도록 한다.)
대상자의 욕창부위를 주기적으로 사정함으로써 욕창의 진행정도, 감염정도, 치유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욕창부위의 드레싱을 교환함으로써 추가적인 감염을 예방할 수 있고 치료에도 도움이 된다.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하루에 한번씩 침대 시트를 새로 깔아준다)
압력과 수분은 피부통합성에 손상을 주는 요인이다.
목욕 후 로션을 발라주고 발적이 있는 뼈 돌출 부위는 마사지 하지 않는다.
뼈 돌출부위 마사지는 피부외상을 초래할 수 있다. 피부의 건조를 예방하기 위해 로션을 바른다.
간호 평가
발적이 진전되는 피부손상이 진행되지 않았다.
발적부위에 진물이 나오지 않았다.
크기가 3cm 이다.
★참고문헌 목록 ★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1」, 현문사, pp550-573
김금순 외, 수문사, 「성인간호학1」,pp567-569
http://www.kimsonline.co.kr/index.aspx 킴스 약학사전
전자의학사전, 메딕션
이민자 역, 근거 중심 질환별 간호과정4, 2014.11
객관적
자료
계속 누워만 있는 모습이 관찰됨
설명해 준것에 대해 매일 똑같은 질문을 함.
간호목표
(기대결과)
환자는 퇴원 전까지 효과적인 관리방법을 3가지 이상 말로 설명할 수 있다.
치료(운동)의 중요성을 말로 설명할 수 있다.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수술 받은 고관절의 체위가 약 15도 정도 외전되도록 유지한다.
(외전배게 를 이용하여 내전을 예방한다
외전시키기 위해 발을 벌리고 배게 나 모래주머니 등을 받쳐 준다.)
수술 후 체위가 잘못되면 삽입된 인공 관절이 빠지게 될 염려가 있으므로 고관절을 반드시 외전시켜야 한다.
침범 받지 않은 관절의 ROM운동을 하도록 한다.
질환이 없는 관절도 질환이 있는 쪽과 같이 통증이 있을 수 있으므로 기동성을 최대한으로 하는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수술 받은 관절은 의사가 처방한 자세를 유지하고 침상에서는 정렬된 자세를 취한다.
마취로부터 회복되는 동안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보철이 고정되게 하기 위함이다.
지팡이, 목발, 워커, 삼각손잡이 등 이동보조기 사용법과 이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보조기 사용으로 자가간호와 독립심을 촉진하고 낙상을 예방한다.
수술 후 금지해야 하는 자세를 교육한다
(다리꼬지 않기, 양반다리 하지 않기, 허리 아래로 상체 구부리지 않기, 무릎을 허리 위로 올리지 않기)
수술 후 금기사항을 교육해 재발을 방지한다.
수술 후 관리(상처,욕창,운동,자세 등)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대상자의 교육에 대한 욕구을 높이기 위함이다.
간호 평가
환자는 퇴원 전까지 효과적인 관리방법을 3가지 이상 말로 설명했다.
치료(운동)의 중요성을 말로 설명했다.
간호진단
#2 관절 가동범위 제한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이거(side rail) 올리고 가지마”
“화장실가게 침대 내려오는데 도와줘”
객관적
자료
Morse의 낙상사정 도구: 70점(고위험군)
스스로 침대에서 내려오지 못함.
워커를 사용해야 이동 가능함.
간호목표
(기대결과)
대상자와 보호자는 낙상의 위험요인과 낙상 예방법을 말로 설명 할 수 있다.
대상자는 일주일 동안 낙상 사고를 경험하지 않는다.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병실을 자주 방문하여 side rail이 올려져 있는 것을 확인한다.
(side rail이 올려져 있지 않다면 다시한번 그 필요성을 설명하고 side rail을 올리도록 한다)
낙상유발 요인을 최소화 하고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주의를 시켜 낙상 위험을 줄인다.
낙상을 야기할 수 있는 원인을 제거한다.
(바닥이 미끄럽지 않게 유지하고 불필요한 물건을 치워놓도록 한다)
위험한 환경은 낙상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낙상예방법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침상난간을 올려놓을 것을 설명한다
대상자 가 혼자있지 않도록 보호자가 항상 대상자 옆에 있을 것을 설명한다.
침상에서 휠체어로, 휠체어에서 침상으로 이동시 바퀴를 고정시켜놓을 것을 보호자에게 설명한다)
낙상유발 요인을 최소화 하고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주의를 시켜 낙상 위험을 줄인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병동시설 및 위치에 대한 교육하고 만약 도움이 필요하거나 위급한 일이 있으면 호출벨을 누르도록 교육한다.
신체가 불편한 환자는 움직임에 제한이 있으므로 혼자 있지 않도록 해야 낙상위험율이 낮아진다.
보행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교육하고 적절한 운동을 지지한다.
안전한 보조기구의 사용은 낙상이나 손상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규칙적인 운동은 근력을 강화시키며 균형감각을 증강시키는데 도와준다.
낙상의 경우를 인지시켜 낙상 위험성을 줄인다.
(‘낙상 주의’팻말을 침상에 부착한다)
낙상유발 요인을 최소화 하고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주의를 시켜 낙상 위험을 줄인다
간호 평가
대상자와 보호자는 낙상의 위험요인과 낙상 예방법을 말로 설명했다.
일주일 동안 대상자의 낙상 횟수가 0 이다.
간호진단
#3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여기(욕창부위)에 연고라도 발라야 하는거 아니야?”
객관적
자료
침대에 하루종일 누워있는 모습이 관찰됨.
체위변경을 자주 하고 있지 않음.
욕창 위험정도평가 결과(Braden scale) :15점(저위험군)
피부상태: 비정상(부위_꼬리뼈) ,상태: 3~4cm크기로 빨갛고 진물이 남.
간호목표
(기대결과)
발적이 진전되는 피부손상의 진행정도를 예방한다.
발적부위에 진물이 나오지 않는다.
발적부위가 3cm 이내로 크기가 줄어든다.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환자와 접촉 전, 후에 손을 씻는다.
손 씻기를 통하여 손에 있는 세균의 90%이상이 사멸된다.
대상자의 피부가 받는 압력을 감소시킨다.
(Air 매트리스를 사용하여 압박을 줄이도록 한다.
2~3시간 마다 대상자의 체위를 변경하도록 한다.
침대시트가 구겨지지 않도록 주름을 펴준다.)
대상자의 체위를 변경함으로써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욕창 발생 및 발생한 욕창의 진행을 예방 할 수 있다.
대상자의 욕창발생 상태를 사정한다.
(3시간마다 대상자의 욕창부위 및 단계를 사정한다.
주기적으로 욕창 발생부위의 드레싱을 교환하도록 한다.)
대상자의 욕창부위를 주기적으로 사정함으로써 욕창의 진행정도, 감염정도, 치유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욕창부위의 드레싱을 교환함으로써 추가적인 감염을 예방할 수 있고 치료에도 도움이 된다.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하루에 한번씩 침대 시트를 새로 깔아준다)
압력과 수분은 피부통합성에 손상을 주는 요인이다.
목욕 후 로션을 발라주고 발적이 있는 뼈 돌출 부위는 마사지 하지 않는다.
뼈 돌출부위 마사지는 피부외상을 초래할 수 있다. 피부의 건조를 예방하기 위해 로션을 바른다.
간호 평가
발적이 진전되는 피부손상이 진행되지 않았다.
발적부위에 진물이 나오지 않았다.
크기가 3cm 이다.
★참고문헌 목록 ★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1」, 현문사, pp550-573
김금순 외, 수문사, 「성인간호학1」,pp567-569
http://www.kimsonline.co.kr/index.aspx 킴스 약학사전
전자의학사전, 메딕션
이민자 역, 근거 중심 질환별 간호과정4, 2014.11
키워드
추천자료
폐암 케이스스터디
nsvd 케이스스터디
뇌경색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 모두이루어져있습니다. 간호진단은 2개내려...
보건소 케이스스터디입니다. 정신보건센터에서 간호사례를 적용하여 간호적용하는것입니다.
신부전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다 이루어져있고 간호진단은 3개내려보...
위암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3개로 구성됩...
지주막하출혈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2개 ...
직장암 케이스스터디입니다. 간호과정으로 다 이루어져있습니다. 간호진단은 3개해보았습니다.
척추결핵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간호진단은 3개 ...
화상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6개 내려보았습...
NHN 케이스스터디
만성신부전 케이스스터디
자간전증 케이스스터디
급성췌장염 케이스스터디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