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상담] 상담의 대면 기술 중 상담자의 ‘자기개방’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자기개방을 위한 원칙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상담] 상담의 대면 기술 중 상담자의 ‘자기개방’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자기개방을 위한 원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상담의 대면 기술 중
‘자기개방’에 대한 이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심의 상담자와 내담자 관계이기보다 일반적인 사적 관계로 변할 수 있다. Murphy와 Strong(1972)에 따르면, 상담자가 매우 자주 자기개방을 하게 되면 내담자는 상담자를 숨은 동기를 가진 사기꾼이나 요주의 인물로 판단하는 등 오해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처럼 상담자의 자기개방 횟수가 지나치게 많으면, 전문적인 상담관계가 흐트러지고 사적인 관계로 발전하여 상담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참고문헌
유진이 저,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양서원 2013
이경희, 가영희 외 저, 청소년 상담, 동문사 2016
한국산업인력공단 저, 청소년지도(청소년상담복지), 지한엠앤비, 2015
장순례, 양미진 외 저, 청소년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0
장수한 저, 청소년상담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6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6.04.29
  • 저작시기201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10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