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신학] 창세기 15장 주해와 적용(아브람과 맺은 하나님의 횃불 언약)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약신학] 창세기 15장 주해와 적용(아브람과 맺은 하나님의 횃불 언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창세기 15장 개요
2. 희생을 담보로 한 언약(15:1-11)
· 아브람의 ‘믿음과 하나님의 칭의’
3. 횃불 언약이 체결되다(15:12-21)
· 횃불 언약과 그 의미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의 풀무와 횃불은 이와 동일한 의미에서 주어진 바, 이 둘은 아브람과 언약을 맺으시는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한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해야 할 사실은 쪼개진 제물들 사이로 지나간 것은 언약 쌍방인 아브람과 하나님이 아니라 횃불 곧 하나님만이 지나갔다는 점이다. 이는 이러한 의식을 계획하시고 실행하시는 분이 하나님이심과, 이 의식을 통해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가나안을 기업으로 주실 것이라는 영원불변의 약속을 하신 것이다. 특히 이 언약은 인간에게는 약속 이행 능력이 없음을 아시는 하나님께서 오직 당신의 성실과 사랑의 집념으로 맺으셨음을 보여 주고 있다. 사실 언약은 쌍방 간의 합의에 의해 이뤄지며, 이것이 언약의 본질이다. 하지만 본문의 언약은 엄밀히 따져 약속을 확증하시려는 하나님의 자기 선언이었다. 이것은 불완전한 인간을 사랑하시며 이해하시는 하나님의 지고한 섭리에 따른 것이다.
그러므로 그 당시 아브람에게 필요했던 것은 언약의 이행 여부에 대한 가부 결정이 아니라, 믿음으로 그 체결된 언약과 표징을 받아들이는 것뿐이었다. 이처럼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하나님의 초월적인 섭리에 대한 믿음이다. 실로 믿음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를 연결하는 유일한 고리이다.
참고문헌
이홍찬 저, 예수그리스도 중심의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지민 2012
목회와신학 편집부 저, 창세기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 2012
마틴 로이드 존스 저, 설교와 설교자, 복있는사람 2012
존 H. 월튼 저, 창세기(NIV 적용주석), 성서유니온선교회 2007
J. A. 모티어 저, IVP 성경주석,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2010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6.04.29
  • 저작시기201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12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