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다문화주의와 시민권
2. 이주민과 사회통합
(1) 차별적 배제모델
(2) 동화주의 모델
(3) 다문화모델
3. 문화변용 전략(Acculturation strategies)
참고문헌
2. 이주민과 사회통합
(1) 차별적 배제모델
(2) 동화주의 모델
(3) 다문화모델
3. 문화변용 전략(Acculturation strategies)
참고문헌
본문내용
양쪽 집단 간 상호작용과 그 결과로서 나타나는 문화변용의 차이는 주로 힘을 가진 집단의 문화적 영향이 더 크게 작용한다. 즉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소수집단 또는 이주민에게서 문화변용이 좀 더 광범위하게 나타날 수 있다.
문화변용 과정에서 모든 개인과 집단은 주어진 상황과 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대응방식을 선택하는데 이러한 대응방식을 문화변용 전략이라고 한다. 베리(Berry, 2005)는 다른 민족집단이나 주류사회와의 관계를 지향하는 정도와 자신의 전통적 · 문화적 특성과 정체성을 지향하는 정도의 두 가지 이슈를 중심으로 각각에 대해 긍정적인가 부정적인가에 따라 네 가지의 문화변용 전략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문화변용을 경험하는 당사자가 소수민족집단인지 주류사회 구성원인지에 따라서도 다른 이름의 문화변용 전략 유형을 제시하였다([그림] 참조).
출처: Berry(2005). Acculturation: living successfully in two cul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9, pp. 705 재구성.
[그림] 소수집단과 주류사회의 문화변용 전략유형
먼저, 소수민족집단의 관점에서 자신의 전통적 문화와 정체성 유지에는 부정적이면서 다른 집단과 일상적인 상호작용을 갖기를 원하는 경우는 동화(assimilation) 유형이다. 동화전략을 선택한 사람들은 자신의 전통적 문화를 포기하고 주류사회로 흡수되려고 한다. 반대로 자신의 민족집단 안에서 전통적 문화를 유지하는 것에 가치를 두면서 동시에 주류사회의 다른 집단과 어울리기를 꺼리는 사람들의 문화변용 전략은 분리(separation)이다. 자신의 전통적 문화유지를 지향하면서 동시에 주류집단과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관심을 사람들의 문화변용 전략은 통합(integration)의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고유한 문화와 정체성 유지나 다른 집단들과 관계를 맺는 것 모두에 관심이 없는 경우는 주변화(marginality)이다.
거시적 관점에서 특정 사회의 주류집단이 소주민족집단의 사람들이 어떠한 문화변용 전략을 선택할 것인지에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문화변용 전략은 다르게 정의된다. 소수민족집단이나 개인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주류집단으로부터 동화를 요구받는 경우는 용광로(melting pot)이다. 또한 주류집단에 의해 강제적으로 분리되는 경우는 격리(segregation)된 문화변용 전략이라고 한다. 주류집단에 의해 강요된 주변화는 배제(exclusion)된 문화변용전략이다. 마지막으로 모든 다양한 민족집단을 포함한 전체 사회가 다양성을 수용하는 경우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라고 한다.
참고문헌
류기형, 강대선 외 저, 사회복지개론, 양서원 2016
이종복, 이성순 외 저,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복지, 양서원 2012
최영민, 이기영 외 저, 다문화사회복지론, 학지사 2015
김동진, 박인아 외 저, 다문화복지론, 공동체 2013
김인숙 저, 가족복지와 다문화복지, 학문사 2011
문화변용 과정에서 모든 개인과 집단은 주어진 상황과 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대응방식을 선택하는데 이러한 대응방식을 문화변용 전략이라고 한다. 베리(Berry, 2005)는 다른 민족집단이나 주류사회와의 관계를 지향하는 정도와 자신의 전통적 · 문화적 특성과 정체성을 지향하는 정도의 두 가지 이슈를 중심으로 각각에 대해 긍정적인가 부정적인가에 따라 네 가지의 문화변용 전략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문화변용을 경험하는 당사자가 소수민족집단인지 주류사회 구성원인지에 따라서도 다른 이름의 문화변용 전략 유형을 제시하였다([그림] 참조).
출처: Berry(2005). Acculturation: living successfully in two cul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9, pp. 705 재구성.
[그림] 소수집단과 주류사회의 문화변용 전략유형
먼저, 소수민족집단의 관점에서 자신의 전통적 문화와 정체성 유지에는 부정적이면서 다른 집단과 일상적인 상호작용을 갖기를 원하는 경우는 동화(assimilation) 유형이다. 동화전략을 선택한 사람들은 자신의 전통적 문화를 포기하고 주류사회로 흡수되려고 한다. 반대로 자신의 민족집단 안에서 전통적 문화를 유지하는 것에 가치를 두면서 동시에 주류사회의 다른 집단과 어울리기를 꺼리는 사람들의 문화변용 전략은 분리(separation)이다. 자신의 전통적 문화유지를 지향하면서 동시에 주류집단과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관심을 사람들의 문화변용 전략은 통합(integration)의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고유한 문화와 정체성 유지나 다른 집단들과 관계를 맺는 것 모두에 관심이 없는 경우는 주변화(marginality)이다.
거시적 관점에서 특정 사회의 주류집단이 소주민족집단의 사람들이 어떠한 문화변용 전략을 선택할 것인지에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문화변용 전략은 다르게 정의된다. 소수민족집단이나 개인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주류집단으로부터 동화를 요구받는 경우는 용광로(melting pot)이다. 또한 주류집단에 의해 강제적으로 분리되는 경우는 격리(segregation)된 문화변용 전략이라고 한다. 주류집단에 의해 강요된 주변화는 배제(exclusion)된 문화변용전략이다. 마지막으로 모든 다양한 민족집단을 포함한 전체 사회가 다양성을 수용하는 경우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라고 한다.
참고문헌
류기형, 강대선 외 저, 사회복지개론, 양서원 2016
이종복, 이성순 외 저,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복지, 양서원 2012
최영민, 이기영 외 저, 다문화사회복지론, 학지사 2015
김동진, 박인아 외 저, 다문화복지론, 공동체 2013
김인숙 저, 가족복지와 다문화복지, 학문사 2011
키워드
추천자료
문제해결이론 및 문제해결모델에 대한 이해와 사회복지에서의 적용
(사회복지실천)과제중심모델
사회복지실천론_ 과제중심 모델에 대해 설명하시오
사회복지실천의 관점-통합적 접근
사회복지실천모델에 적용되는 인간행동 및 성격발달 이론에 대해 작성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방법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관의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실태와 발전방안
[사회복지실천론] 다문화가정의 문제점에 대한 본인의 의견과 해결방안을 사회복지실천적 측...
사회복지법의 체계를 사회보험법, 공공부조법, 사회복지서비스법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사회서...
문제해결모델의 이론적 기반과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및 사례연구
[사회복지개론]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통합적 접근방법에 대한 설명
과제명 사회복지법의 체계를 사회보험법 공공부조법 사회서비스법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사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