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1. 슬관절의 구조와 기능
2. 정의
3. 특징
4. 원인 및 위험인자
5. 증상
6. 관절염의 호발부위
7. 임상증상
8. 진단
9. 치료
10. 합병증
11. 예방
12. 무릎의 퇴행성 골관절염을 위한 알기 쉬운 자가 운동
13. 참고 자료
1. 슬관절의 구조와 기능
2. 정의
3. 특징
4. 원인 및 위험인자
5. 증상
6. 관절염의 호발부위
7. 임상증상
8. 진단
9. 치료
10. 합병증
11. 예방
12. 무릎의 퇴행성 골관절염을 위한 알기 쉬운 자가 운동
13. 참고 자료
본문내용
어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특히 무릎의 골관절염은 만성적으로 신체의 불구를 유발하는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다.
11. 예방
정상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체중이 부하되는 관절에 발생하는 퇴행성관절염의 예방에 필수적이다. 또한 무리한 동작의 반복, 좋지 않은 자세 등이 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무리한 운동은 관절에 좋지 않지만 적당한 운동으로 근육을 강화하고 관절 운동 범위를 유지하는 것은 관절염 예방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식이 요법이나 약물 요법을 통한 퇴행성관절염의 예방은 현재까지 확실히 검증된 방법이 없으므로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존하는 것은 좋지 않다.
⇒ 관절염 환자의 주의할 점
▶근력운동 중 통증이 생기면 멈춘다
▶평소 쭈그려 앉지 않는다
▶등산보다 평지를 걷는다
12. 무릎의 퇴행성 골관절염을 위한 알기 쉬운 자가 운동
휴식은 퇴행성관절염 치료의 중요한 일부분이지만 규칙적인 운동에 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운동은 관절이 뻣뻣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근육을 튼튼하게 해준다. 튼튼한 근육은 관절을 도와서 움직임을 수월케 하고 통증을 줄여준다.
이 운동은 5개의 주된 운동(그림1,2,4,5,7)과 주된 운동이 하기 힘들 때 할 수 있는 보조운동 3가지(그림3,6,8)로 이루어져 있다. 이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운동의 반복횟수를 차차 늘이고 적어도 7주 정도를 지속해야 한다.
▶ 스트레칭 운동
1. 다리 늘어뜨리기
2~4 킬로그램 정도의 발목대를 차고서 높은 의자에 앉아서 다리를 늘어뜨린다.
하루에 1~3회씩 한번에 5분에서 15분정도 시행하며 반대쪽도 번갈아 한다.
2. 무릎 곧게 펴기
의자에 앉아서 발을 다른 의자 위에 올려서 무릎이 약간 올라오게 한다.
다리의 근육만을 사용해 부드럽게 무릎을 바닥을 향해 쭉 펴고 5~10초
정도 유지한다. 그 다음 무릎에 힘을 빼고 1분을 쉰다. 이것을 반복
10회 하도록 하며 매일 3번까지 반복한다.
3. 무릎 곧게 펴기
마루나 침대에 앉아서 다리를 쭉 편 후 타올을 말아 아킬레스힘줄
밑에 받친다. 부드럽게 무릎을 쭉 펴며 아래쪽으로 누른 채로
5~10초간 유지한다. 1분 휴식을 취한다. 이것을 10회 반복
하도록 하며 매일 3번까지 반복한다.
4. 무릎 굽히기
앉아서 발바닥에 긴 수건을 감는다. 양손으로 수건을 당겨 무릎이
굽혀지도록 하며 이때 발은 바닥으로부터 10~15cm정도 들리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5~10 초정도 유지한 후 1분간 휴식한다.
10회 반복하며 양쪽 무릎을 매일 3번 반복한다.
▶ 근력강화운동
5. 사두근 강화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한쪽 다리를 발크기 만큼 들고서 공중에서
T자를 그린다. 5~10회 반복하며 양쪽 무릎을 매일 3번 한다.
6. 사두근 강화
평평한 곳에 누워 다리를 뻗은 자세에서 한쪽 다리를 발 크기
만큼 들고서 공중에서 T자를 그린다. 5~10회 반복하며
양쪽 무릎을 매일 3번 한다.
7. 벽 기대고 다리운동
무릎을 30도 정도 굽힌 채 벽을 등지고 기댄다. 벽 아래로
몸을 천천히 부드럽게 미끄러뜨린 후 천천히 다시 밀어
올린다. 이때 주의할 것은 양발과 양다리는 서로 평행을
유지해야 하며 무릎의 중앙부가 2번째 발가락치에 있도록
합니다. 5~10회 반복하며 양쪽 무릎을 매일 1~3번 시행한다.
8. 저항성 무릎 뻗기
만약 벽 기대고 다리운동이 통증이 있다면 고무밴드 같은
것을 이용해 운동을 할 수 있다. 앉아서 발바닥에
고무밴드를 걸고 당긴 상태에서 무릎을 30도 정도 굽힌
후 10초정도 유지한다. 5~10회 반복하며 양쪽 무릎을
매일 1~3번 한다.
\"퇴행성관절염 환자의 경우는 준비운동을 하지 않고 갑작스럽게 몸을 움직이면 무릎에 부담이 생겨 통증이 재발
된다. 그러므로 반드시 기본적인 근력운동 후에 하이킹이나 수영 등의 운동으로 서서히 강도를 높여주는 것이
좋다. 또한 운동 후 통증이 느껴지면 온찜질보다는 냉찜질을 해주는 것이 좋다.\"
13. 참고 자료
1. 이향련 외(2007), 성인간호학Ⅱ, p1021~1139, 수문사, 서울
2. 신경림 외(2009), 성인간호학(하), p958~1009, 현문사, 서울
3. 이영휘 외(2010), 성인간호학Ⅱ, p1503~1539, 정담미디어, 서울
4. 구글 검색 - http://silver.tongyeong.go.kr/sub/04_02_03_04.asp
http://cafe.naver.com/hosadama/43
11. 예방
정상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체중이 부하되는 관절에 발생하는 퇴행성관절염의 예방에 필수적이다. 또한 무리한 동작의 반복, 좋지 않은 자세 등이 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무리한 운동은 관절에 좋지 않지만 적당한 운동으로 근육을 강화하고 관절 운동 범위를 유지하는 것은 관절염 예방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식이 요법이나 약물 요법을 통한 퇴행성관절염의 예방은 현재까지 확실히 검증된 방법이 없으므로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존하는 것은 좋지 않다.
⇒ 관절염 환자의 주의할 점
▶근력운동 중 통증이 생기면 멈춘다
▶평소 쭈그려 앉지 않는다
▶등산보다 평지를 걷는다
12. 무릎의 퇴행성 골관절염을 위한 알기 쉬운 자가 운동
휴식은 퇴행성관절염 치료의 중요한 일부분이지만 규칙적인 운동에 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운동은 관절이 뻣뻣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근육을 튼튼하게 해준다. 튼튼한 근육은 관절을 도와서 움직임을 수월케 하고 통증을 줄여준다.
이 운동은 5개의 주된 운동(그림1,2,4,5,7)과 주된 운동이 하기 힘들 때 할 수 있는 보조운동 3가지(그림3,6,8)로 이루어져 있다. 이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운동의 반복횟수를 차차 늘이고 적어도 7주 정도를 지속해야 한다.
▶ 스트레칭 운동
1. 다리 늘어뜨리기
2~4 킬로그램 정도의 발목대를 차고서 높은 의자에 앉아서 다리를 늘어뜨린다.
하루에 1~3회씩 한번에 5분에서 15분정도 시행하며 반대쪽도 번갈아 한다.
2. 무릎 곧게 펴기
의자에 앉아서 발을 다른 의자 위에 올려서 무릎이 약간 올라오게 한다.
다리의 근육만을 사용해 부드럽게 무릎을 바닥을 향해 쭉 펴고 5~10초
정도 유지한다. 그 다음 무릎에 힘을 빼고 1분을 쉰다. 이것을 반복
10회 하도록 하며 매일 3번까지 반복한다.
3. 무릎 곧게 펴기
마루나 침대에 앉아서 다리를 쭉 편 후 타올을 말아 아킬레스힘줄
밑에 받친다. 부드럽게 무릎을 쭉 펴며 아래쪽으로 누른 채로
5~10초간 유지한다. 1분 휴식을 취한다. 이것을 10회 반복
하도록 하며 매일 3번까지 반복한다.
4. 무릎 굽히기
앉아서 발바닥에 긴 수건을 감는다. 양손으로 수건을 당겨 무릎이
굽혀지도록 하며 이때 발은 바닥으로부터 10~15cm정도 들리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5~10 초정도 유지한 후 1분간 휴식한다.
10회 반복하며 양쪽 무릎을 매일 3번 반복한다.
▶ 근력강화운동
5. 사두근 강화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한쪽 다리를 발크기 만큼 들고서 공중에서
T자를 그린다. 5~10회 반복하며 양쪽 무릎을 매일 3번 한다.
6. 사두근 강화
평평한 곳에 누워 다리를 뻗은 자세에서 한쪽 다리를 발 크기
만큼 들고서 공중에서 T자를 그린다. 5~10회 반복하며
양쪽 무릎을 매일 3번 한다.
7. 벽 기대고 다리운동
무릎을 30도 정도 굽힌 채 벽을 등지고 기댄다. 벽 아래로
몸을 천천히 부드럽게 미끄러뜨린 후 천천히 다시 밀어
올린다. 이때 주의할 것은 양발과 양다리는 서로 평행을
유지해야 하며 무릎의 중앙부가 2번째 발가락치에 있도록
합니다. 5~10회 반복하며 양쪽 무릎을 매일 1~3번 시행한다.
8. 저항성 무릎 뻗기
만약 벽 기대고 다리운동이 통증이 있다면 고무밴드 같은
것을 이용해 운동을 할 수 있다. 앉아서 발바닥에
고무밴드를 걸고 당긴 상태에서 무릎을 30도 정도 굽힌
후 10초정도 유지한다. 5~10회 반복하며 양쪽 무릎을
매일 1~3번 한다.
\"퇴행성관절염 환자의 경우는 준비운동을 하지 않고 갑작스럽게 몸을 움직이면 무릎에 부담이 생겨 통증이 재발
된다. 그러므로 반드시 기본적인 근력운동 후에 하이킹이나 수영 등의 운동으로 서서히 강도를 높여주는 것이
좋다. 또한 운동 후 통증이 느껴지면 온찜질보다는 냉찜질을 해주는 것이 좋다.\"
13. 참고 자료
1. 이향련 외(2007), 성인간호학Ⅱ, p1021~1139, 수문사, 서울
2. 신경림 외(2009), 성인간호학(하), p958~1009, 현문사, 서울
3. 이영휘 외(2010), 성인간호학Ⅱ, p1503~1539, 정담미디어, 서울
4. 구글 검색 - http://silver.tongyeong.go.kr/sub/04_02_03_04.asp
http://cafe.naver.com/hosadama/4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