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문화교류의 의미
3. 문화 교류의 동서 교역로
4. 고대의 문화교류
5. 중세의 문화교류
6. 근세의 문화교류
2. 문화교류의 의미
3. 문화 교류의 동서 교역로
4. 고대의 문화교류
5. 중세의 문화교류
6. 근세의 문화교류
본문내용
청나라 초에는 마테오 리치가 중국에 그리스도교와 서양학술을 전하였다. 특히 명나라 말기에는 독일인 아담 샬이 제조한 대포로 청나라에 대항하기도 했는데, 18세기 이후의 동서교섭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즉, 지금까지 오랫동안 몽골의 지배하에 있던 러시아가 동진을 계속하여 청과 북쪽의 국경을 접하게 되어 1689년에는 청과 네르친스크조약을 체결하고, 청나라는 계속해서 영국 ·네덜란드 등과 조약을 맺었다. 그 후 중국인은 차차 밀려오는 서양의 세력과 필사적인 투쟁을 하고, 1842년의 아편전쟁 후로는 중국 이외의 모든 문화를 멸시하던 ‘중화사상(中華思想)’의 자존심이 뿌리째 흔들리게 되었다. 그들은 서양에 중국을 능가하는 무력 이외에도 제도 ·도덕 ·학문 ·예술 ·기술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아편전쟁 이후 체결된 영국과의 난징조약[南京條約]으로 중국은 처음으로 외국, 즉 오랑캐의 나라와 대등한 관계를 인정하고, 항구를 개방해야만 되었다. 1850년에 일어난 태평천국(太平天國)의 난은 그 자체의 성공이나 실패 여부보다는 그리스도교라는 외래사상이 그 지도이념이 되었다는 데 의의가 크다. 청나라의 멸망은 중국 역사상 왕조의 교체라는 의미 이상으로 수천 년을 이어온 중국전통의 대시련이었다는 점에서 간과할 수 없다. 청나라 말기 이후 동서교섭사는 고대나 중세에 볼 수 없었던 동양에 대한 서양의 우월에서 온 압력이라는 형태를 취하였다. 이제는 ‘중화(中華)’와 ‘이적(夷狄)’의 구별이나 동서의 구분도 점점 희박해져 세계 일체시대로 향하고 있다. 이것이 오늘날까지 계속되어온 동서교섭사의 현 위치이다.
추천자료
[칵테일과 술문화]동서양의 술문화의 이해
동서의 문화차이
동서양의 결혼문화 비교 (한국과 프랑스의 결혼식과 양국의 문화) 한국의 결혼, 프랑스의 결혼
동서양 현대인의 협상문화[미국, 일본, 한국]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는 철학의 다름에서 비롯된다.
동아시아 3국의 도자기 역사 및 동서 간 도자기 교류에 대하여
동서양의 문화가 공존하는 터키
영화「시월애」와 「레이크하우스」 비교 - 원작과 리메이크작의 비교를 통한 동서양 대중문...
[칵테일과 술 문화] 동서양의 술문화가 미치는 정신적 /육체적 영향 비교
양귀비와 클레오파트라 인물을 통한 동서 문화 비교, 역사, 분석, 특징, 사례, 현황, 관리, ...
동서문명의 교류에 관한 실제 기사와 내용 요약 및 느낀점
이문화로 인한 갈등 사례와 동서양의 예절 차이점,이문화로 인한 문화 갈등의 사례 2가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