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0대 아웃도어 브랜드 현황 레포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 10대 아웃도어 브랜드 현황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THE NORTHFACE
1. 일반현황
2. 세부사항
3. 각종사업

Ⅱ. KOLON
1. 일반현황
2. 세부사항
3. 각종사업

Ⅲ. BLACK YAK
1. 일반현황
2. 세부사항
3. 각종사업

Ⅳ. K2
1. 일반현황
2. 세부사항
3. 각종사업

Ⅴ. NEPA
1. 일반현황
2. 세부사항
3. 각종사업

Ⅵ. Columbia
1. 일반현황
2. 세부사항
3. 각종사업

Ⅶ. LAFUMA
1. 일반현황
2. 세부사항
3. 각종사업

Ⅷ. THE REDFACE
1. 일반현황
2. 세부사항
3. 각종사업

Ⅸ. MILLET
1. 일반현황
2. 세부사항
3. 각종사업

Ⅹ. Mont-Bell
1. 일반현황
2. 세부사항
3. 각종사업

본문내용

D) 방풍 재킷’이 대표적인 예다. 데니어란 원사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통상 9㎞ 길이의 원사 무게가 1g이면 1D다. 7D는 9㎞ 길이의 원사 무게가 7g이란 얘기다. 현존하는 원사 중 가장 가늘다. 달걀(평균 57g)보다 가벼운 재킷이란 별명은 이래서 붙었다. 회사 관계자는 “특수 가공을 한 덕분에 100회 이상 세탁해도 발수 기능이 변하지 않는다”며 “‘기능성 옷은 세탁하기 어렵다’는 고정 관념을 깨뜨린 제품”이라고 말했다.
185g짜리 12D 고어텍스 재킷 역시 몽벨이 ‘세계 최경량’ 타이틀을 보유한 제품이다. 200㎖짜리 우유 한 팩보다 가벼운 셈이다. 100% 방수 기능을 갖춘 고어텍스 팩라이트 셸 소재를 사용한 재킷 가운데 무게를 200g 아래로 떨어뜨린 업체는 몽벨뿐이다. ‘1000 필 파워(fill power)’ 구스다운 재킷도 몽벨의 자랑거리다. 필 파워란 다운점퍼를 힘껏 눌러 납작하게 만든 뒤 다시 부풀어 오르는 정도를 수치화한 것이다. 이 수치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다운재킷이 공기를 많이 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필 파워 수치가 높을수록 ‘가볍고 따뜻한 재킷’이란 얘기다. 캐주얼 브랜드 제품은 대개 600 안팎이며, 아웃도어 브랜드 제품은 700~900 수준. 1000 필 파워 제품을 내놓은 곳은 현재로선 몽벨이 유일하다.
다. 매출 및 실적
오디캠프는 일본 등산용품 `몽벨`을 판매, 유통하는 회사로 지난 2008년 LS네트웍스에 피인수됐다. 사업 초기에는 현지에서 제품을 직수입, 판매해 왔지만 LS네트웍스로 인수된 뒤부터는 OEM(주문자 상표부착 생산방
식)으로 전환됐다. LS네트웍스에 편입된 지 8년이 넘었으나 실적은 초라하다. 매출은 해가 갈수록 늘고 있지만 아웃도어 브랜드들의 난립으로 경쟁이 격화되면서 열심히 팔아도 손에 남는 건 없기 때문이다. 2008년 32억원(인수후 4개월치 실적)에 불과했던 `몽벨`의 매출은 작년말 현재 7배에 달하는 223억원까지 증가했다. 그러나 같은기간 판관비가 10배 급증(2010년 순액법에서 총액법으로 회계처리방식 변경)하면서 3년간 영업적자와 순손실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몽벨은 2014년 54억원 매출에 머물러 2013년 77억원에 비해 30% 역신장했다. 또한 몽벨은 2012년 한석규 이후 스타마케팅을 하지 않겠다던 전략을 뒤집고 배우 이정재를 새 간판 얼굴으로 내세웠다. 워낙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스타 모델을 기용할 수밖에 없다는 게 이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업 손실은 계속될 전망이다.
3. 각종사업
대표적으로 몽벨의 기능성에 대한 슬로건인 ‘Light & Fast’를 입증하는 ‘몽벨 PROVE 캠페인’의 일환으로 일반인 체험단 ‘PROVE 팀’을 운영하고 있다. ‘PROVE 팀’은 전국의 산악인 및 등산 마니아는 물론 일반인들이 약 80일 동안 몽벨의 제품력을 체험할 수 있는 소비자 참여형 프로그램이다. ‘PROVE 팀’ 미션에 대한 활동 계획서를 작성 후 몽벨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하면 신청이 이뤄진다. 등산이나 아웃도어에 관심있는 개인 혹은 팀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모집 인원은 20개 팀 총 100명이다.
4월 11일부터 시작되어 체험 기간 동안은 4명의 팀원과 미션 수행에 도움을 줄 프루브 서포터(PROVE Supporter) 1명으로 운영된다. 선발된 PROVE 팀은 몽벨의 기능성 아웃도어 제품을 직접 착용해보고 사용 후기 및 UCC 제작 등의 미션을 수행하게 된다. 미션 제품은 ‘12D(데니아) 고어텍스 자켓’과 ‘7D(데니아) 방풍자켓’, ‘롭슨GTX 등산화’ 등 총 4종이다.
미션 수행 후 최우수 팀에게는 현금 300만원과 고어텍스 자켓, 등산화 등, 우수 2개 팀에게는 팀별 100만원과 고어텍스 자켓 등 다양한 등산제품을 경품으로 제공한다. 몽벨은 미션 수행 결과물을 향후 마케팅, 광고 등에 반영할 예정이며 올 하반기에 ‘PROVE 팀’ 2기도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몽벨은 PROVE 캠페인 첫 단계로 기술력에 초점을 둔 “몽벨의 기술이다”라는 광고 캠페인을 진행 중이며, 최근 간담회 ‘PROVE Day’ 에서 신제품 런칭과 함께 2011년 몽벨 비전 선포식을 가진바 있다.
Reference
Ⅰ. 서적
1. 국내문헌
· 유창조. 『BLACK YAK』. 아이웰콘텐츠. 2013.
2. 월간지
· 김태환 외. 『토종을 사랑하는 등산족들의 마음을 훔친 국내 아웃도어』. 월간말. 2008.
Ⅱ. 논문
1. 국내논문
· 김정회. 『패션 아웃도어웨어의 시장분석 및 과제』. 한국의류학회지 제10권. 2013.
· 양재근 외. 『아웃도어 용품의 구매결정요인과 브랜드 자산, 구매만족 및 구매 후 행동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3권 제4호. 2014
· 이지연. 『아웃도어 스포츠 의류 브랜드 개성의 영향요인이 브랜드 개성, 브랜드 애착 및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제15권 제4호. 2013.
Ⅲ. 웹사이트
·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
·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
· 엔하위키미러. 『https://mirror.enha.kr/wiki/FrontPage』
· 노스페이스. 『http://www.thenorthfacekorea.co.kr』
· 코오롱. 『http://www.kolon.com/main/main.do』
· 블랙야크. 『http://www.blackyak.co.kr/』
· K2. 『http://www.k2outdoor.co.kr/』
· 네파. 『http://www.nepa.co.kr/』
· 컬럼비아. 『http://www.columbiakorea.co.kr/』
· 라푸마. 『http://www.lafumakorea.co.kr/HTML/MAIN.jsp』
· 레드페이스. 『http://www.theredface.com』
· 밀레. 『http://www.millet.co.kr/』
· 몽벨. 『http://www.montbell.co.kr/main/main.asp』
· 브랜드스탁. 『http://www.brandstock.co.kr/index.php』
  • 가격1,5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6.07.08
  • 저작시기201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54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