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화그리기를 통한 미술치료] 난화를 통한 미술치료의 연구동향(난화미술치료의 발전, 난화기법의 종류, 난화치료게임의 사용목적, 주요 난화치료기법의 실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난화그리기를 통한 미술치료] 난화를 통한 미술치료의 연구동향(난화미술치료의 발전, 난화기법의 종류, 난화치료게임의 사용목적, 주요 난화치료기법의 실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난화를 통한 미술치료

I. 난화의 심리적 의미와 발달

II. 난화를 통한 미술치료의 연구동향
1. 난화를 통한 미술치료의 발전
2. 난화기법의 종류
3. 난화치료게임의 사용 목적
4. 주요 난화치료기법의 실제
5. 분석기준과 방법

*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징적 언어생산)
- 언어능력이 제한된 아동이나 성인 내담자의 정서문제를 치유하고자 할 때(Winnicott(1966)의 Squiggle Game)
- 정서표현과 관련된 언어표현을 유도할 때(예: 우울증 환자)
- 진단적 평가, 매체선정의 예언을 위해
4) 주요 난화 치료기법의 실제
(1) 상동적 표현을 제거하기 위해
1/ 자신의 신체를 부드럽게 움직여 허공에 그림을 그린다.
2/ 눈을 감고 큰 종이에 그림을 그리게 한다.
3/ 눈을 뜨고 2/번의 그림이 어떤 형태를 연상시키는지 생각해보게 한다.
4/ 자신의 생각에 맞다고 생각되는 선을 그대로 살리고 다른 선은 지워버리는 작업을 하며 그림을 완성시킨다.
* 난화 -> 잠재적인 공상의 투사 -> 의식적 노력의 그림으로 바뀜
(2) 연상, 비구조화된 자극에 그 다홍의 심상을 투사하기 위해
1/ 난화를 그려보세요. 아무렇게나 사인펜으로 선을 자유롭게 그린 후 이미지화하여 그림의 형체를 만들어,
2/ 당신의 그림에서 어떤 물체나 심상을 찾아 채색해 보시오.
3/ 당신의 그림제목을 말로 하고 기록해 보세요.
(3) (2)의 변형으로 은유적 의사소통을 위해
1/ 치료자와 아동이 함께 하는 활동
2/ 각자 난화를 그리고 심상화하기. 그림을 이미지화하여 서로 이야기를 꾸며나간다.
3/ 서로 무엇같이 보이냐고 질문하고 담을 한다(내담자의 내적 변화 -> 내적 사고와 감정에 대한 의사소통 확립).
(4) 의사소통기법을 위해 - 난화게임(Claman, 1960)
1/ 난화(Squiggle)기법(Wmnicott)과 이야기하기(Garer, 1971)의 통합
2/ 잠재기 아동대상 -> 은유 -> 문제정보획득(의사소통기법)
* 난화를 그려준다(치료사) -> 아동이 완성하게 한다.
* 평가 : 작품의 질, 외형, 주제, 태도 -> 그림과 이야기 분석(과장, 인물, 대인관계, 정서, 독창성, 줄거리 등)
(5) 치료자가 내담자의 내면세계를 확실히 함께 공유할 수 있다- 한계음미 난화법(中井久夫, 1982)
필요 이외의 외부침해방어(치료적)를 할 때
- 내담자가 난화를 그린다.
- 치료자가 그 속에서 발견한 것을 구체적인 말로 몇 가지 제시한다.
- 내담자가 그 가운데서 하나를 선택한다.
- 치료자는 내담자가 선택한 것을 그려서 되돌려 준다.
(6) 의사소통 싱리치료 - 난화상호이야기 만들기 기법(山中, 1984)
<종이 2장을 사용하여>
- 각자가 그린 난화가 무엇인지 얘기하고 두 장으로 얘기를 꾸며나간다.
- 내담자와 치료자의 상호작용
<종이를 4등분 사용>
- 치료사가 먼저 테두리를 설정해 준다. 환자가 난화를 그리고 치료사가 이미지화해서 그림을 그린다.
- 서로 바꾸어 실시하여 반복해 나간다.
- 네 칸이 다 차게 되면 서로 이야기를 꾸며나간다.
(7) 무의식과 의식의 교류 - MSSM + C(山中, 1991)
- 난화를 그려서 완성한다.
- Collage를 추가한다.
- 치료자와 환자가 서로 이야기한다.
(8) 그림불안 소유자, 상동적 표현 감소 - 하나의 상징으로서의 난화(A4 용지, 음악, 연필, 색연필, 크레파스)
1/ 음악을 듣는다.
2/ 눈을 감는다.
3/ 음악을 들으며 종이 위에 크레파스로 추상적인 선이나 곡선을 차례로 그린다.
4/ 눈을 뜨고 자기의 난화를 본다(이때 복사를 몇 장 해둔다).
5/ 그려진 선에서 형태나 '상징'을 발견하도록 시도한다.
6/ 색연필이나 크레파스로 '상징' 안에 채색을 한다.
7/ 채색 하나하나의 상징에 이름을 불인다.
8/ 4/번에서 복사한 것을 가지고 여러 다른 새로운 상징을 찾아본다.
9/ 이러한 상징이 자신의 창조적 과정과 조화를 이루는지 서로 얘기해 본다.
5) 분석기준과 방법
(1) 작품의 질
- 작품이 없음 : 위축
- 방어적 역할로서의 작품 : 평범하고 일반적인 고정관념, 개인적인 고정관념
- 일차적인 자유의 역할로서의 작품 : 혼란함, 공격성
- 외형적인 표현의 시도 : 성공적(뭔가를 불러일으키는 힘을 가졌으며, 내적 일관성이 있는 작품), 거의 성공적 실패
(2) 작품의 외형적인 특징
비어있음, 가득 참, 활기가 없음, 독창적임, 단편적임, 통합적임, 정적임, 동적임, 그 작품의 기술(Skill)이나 재능(Talent)의 징조가 보이는가?
(3) 작품의 주제
어떤 테마가 나타는가? 외형적으로 말한 주체와 실제적으로 그 작품에서 전달하는 메시지 사이에는 어떤 모순이 있는가?
(4) 내담자의 태도
1/ 일반적인 태도 : 협동적, 위축됨, 완고함, 의심스러움, 양가감정, 의존성, 호감을 줌, 매력적임, 괴롭힘, 불안감, 긴장감 등 회기 중에 일어나는 태도의 변화
2/ 아동의 작품에 대한 태도 : 아주 진지함, 무관심, 자신감, 모욕적임, 파괴적임
3/ 미술자료에 대한 태도 : 수용, 불평
(5) 그림과 이야기에 대한 분석 항목들
1/ 과장 : 그림과 이야기에서 발견된 가장 큰 과정의 정도는 우주, 동물원, 숲과 같은 그런 장소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에서 나타난다.
2/ 주요인물(Mother, Father) : 그 인물은 누구이며 그 이야기는 주로 누구에 관한 것이며, 그 사건은 누구의 관점에서 본 것인가? 동일시, 자기 이미지, 관심사, 특성 등
3/ 사회세계의 집단과 대인관계의 특성들
4/ 정서의 구별 : 양, 종류, 그림과 이야기에 나타난 정성의 속성
5/ Squiggle과의 관계 : Squiggle에 대한 인지와 사용
6/ 독창성의 정도 : 고정관념 대 독창성
7/ 줄거리(Plot) : 이야기의 과거 배경에서부터 미래 해결책으로 가는 능력과 사고과정의 일관성
* 참고문헌
미술치료기법2 : 최외선, 김갑숙 외 2명 저, 2013, 학지사
실제 적용 중심의 미술치료 : 정현희 저, 2006, 학지사
놀이치료의 이론과 실제 : Kevin J. O’Conner, Lisa D. Bravermanr 저, 이승희 외 2명 역, 2011, 시그마프레스
미술치료의 매체 활용법 : 박현주, 서명옥 저, 2009, 학지사
집단미술치료 : 최선남, 김갑숙 외 2명 저, 2007, 학지사
미술치료핸드북(개념과 기술) : 신승녀 저, 2015, 창지사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6.07.14
  • 저작시기201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57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