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치료기법의 활용 - 진단도구 및 치료도구로서의 미술, 미술진단기법 및 미술치료방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술치료기법의 활용 - 진단도구 및 치료도구로서의 미술, 미술진단기법 및 미술치료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미술치료기법의 활용

I. 진단도구로서의 미술
1. 과제화법
2. 심상화
3. 열매가 되는 나무 그리기법
4. 집, 나무, 사람 검사
5. 인물화 검사(DAP)
6. 가족화, 동적가족화와 동그라미 중심가족화

II. 치료도구로서의 미술
1. 테두리기법
2. 그림 완성하기 - Starter sheet
3. 난화 그리기
4. 난화게임법

III. 자유화와 주제화의 제시

IV. 매체의 제시

V. 꿈의 활용

VI. 자신 표현하기

VII. 가족화 그리기

VIII. 학교생활그림

IX. 풍경구성기법

X. 치료적 도구로서의 미술치료기법
1. 협동화 및 그림대화하기
2. 색채 선택하기
3. 콜라주로 표현하기
4. 조소로 표현하기
5. 동그라미기법
6. 손과 신체 본뜨기
7. 감정사전 만들기
8. 삼자관계 그리기
9. 가계도 그리기
10. 자기집 평면도 그리기
11. 상호의존 역할놀이법
12. 나의 어머니(아버지), 나의 딸(아들) 그리기
13. 만다라 그리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 사람과 집, 밭 등의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치료 가능성의 평가와 문제점 관찰에 유용하다. 진단과 치료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X. 치료적 도구로서의 미술치료기법
1) 협동화 및 그림대화하기
가족이나 소집단들이 크레용을 한 개씩 쥐고 한 장의 종이에 함께 그림을 그리게 한다. 비언어적 방법과 언어적인 방법 모두를 경험케 한다. 진단시에는 그 집단의 체계를 분석할 수 있고, 치료 시에는 협동심, 커뮤니케이션 기능, 자발성, EQ, 사회성, 집단이해, 인간관계 등을 높일 수 있어 매우 좋은 방법이다. 특히, 그림대화는 치료자와 내담자가 비언어적으로 상호역할을 교환해 가면서 실시함으로써 편안한 가운데 자기감정을 표출하고 상대의 감정을 이해하는 훈련을 할 수 있다. 언어장애나 우울증, 내향성, 소극성, 고집성을 지닌 아동에게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2) 색채 선택하기
색채 선택법은 내담자가 좋아하는 색을 선택하여 그것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려받는 방법이다. 가족체계진단법에서도 좋아하는 크레용을 골라 사용토록 하는데, 내담자에게 자유를 부여하는 데 있다. 자유를 부여하면 책임의식이 많아지는 임상철학의 원리를 활용한다.
3) 콜라주로 표현하기
콜라주기법은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미술치료기법이다. 거부의 감소, 분노의 노출, 희망에 대한 상징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표현이 쉽고, 그리기보다 정확한 감정전달이 우수하나 선택할 수 있는 사진매체가 많아야 한다. 자기감정을 나타내기, 가족이나 친구에게 말하고 싶은 것, 주고 싶은 선물, 받고 싶은 선물, 타인에 대한 느낌 표현, 문제의 예방 및 대처방법 등을 쉽게 표현할 수 있다.
4) 조소로 표현하기
조소는 촉지각과 관계하는 조형활동이다. 그리기가 중심이 되는 미술치료 영역에서 매체의 연구에 중요한 대상이 되는 것으로서, 점토로 인물상을 만들거나 자기의 느낌을 표현하게 하여 해석하게 한다. 툴은 점토는 수채 물감과 같이 액체 도구로서 언어화가 결핍된 내담자에게 유용하며, 과도한 언어화를 나타내는 사람들에게는 감각적 요소를 강조할 때 사용한다. 특히, 대상관계가 부족한 내담자의 치료에도 유용하다는 연구보고가 있으므로 현장에서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이외에도 구체적인 치료기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은 매우 많다. 예컨대, 동물가족화 또는 동물자화상 그리기, 난화와 콜라주를 합쳐서 표현하기, 누구에게 받고 싶거나 주고 싶은 선물 표현하기, 상동적 표현을 수정하기 위하여 또는 표현을 자극하기 위하여 무용이나 노래를 도입하는 법, 부부와 같이 짝지어 합동화를 그리기, 만화를 그려 대화하기 등을 활용한다.
5) 동그라미 기법
동그라미를 도화지에 미러 그려주고 그림을 그리게 하는 방법이다. 동그라미를 그린 후 그 안에 점을 하나 찍어 주어 표현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심리적으로 허약한 내담자를 지지해 줄 수 있다. 또한 동그라미를 그려주는 부모와 자기상 또는 가족전체를 그리게 하는 동그라미 중심가족화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기법은 동그라미 중심에 중요한 인물이 배치된다는 원리를 응용하고 있다. 최근에 사용되는 '만다라기법'도 원이 지니고 있는 인간의 마음의 전체성과,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우주관 내지는 종교성에서 도래한 것으로서 자아정체감 확립이나 심리적 통합에 유효한 기법이다.
6) 손과 신체 본뜨기
인간은 자기 신체를 매우 중요시하고 신체개념이나 신체 이미지로부터 긍정적 또는 부정적 자기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자기의 손을 도화지에 놓고 본을 떠서 각 손가락에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적어 표현케 한다. 신체 본뜨기는 큰 종이를 벽에 붙여 놓고 내담자의 신체와 같은 크기로 본을 떠 준 후에 스스로 장식하게 한다. 이러한 활동으로 긍정적인 신체 이미지나 자기존중감을 갖게 할 수 있다.
7) 감정사전 만들기
감정차트 만들기는 도화지에 몇 개의 칸을 구분하고 최근의 감정을 그리거나 색종이로 나타내게 한다. 감정을 표현한 후에 모든 인간은 불편한 감정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시킨다. 또한 칸 없이 한장의 종이에 표현할 수 있다. 스펙트럼 형태의 띠로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다.
8) 삼자관계 그리기
가족 중의 삼자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그리고 환자가 가족 내의 삼자관계를 깨닫게 하기 위해서 실시한다.
9) 가계도 그리기
가족치료에서 많이 활용하며 색종이를 사용하여 세대별로 표현한다. 가족의 세대들 사이의 갈등과 가풍의 계승과 순환 등을 이해한다.
10) 자기집 평면도 그리기
어린 시절(가능하면 유아시절)에 자기가 살았던 집의 평면도를 그려서 가장 무서웠던 곳, 좋아했던 곳, 비밀장소, 누구와 함께 살았는가 등을 설명하여 자신의 과거를 회상한다. 자기에게 영향을 미친 사람, 자신의 아동기 성격의 형성 등을 발견하고 부적응 행동에 대한 재결심을 유도하여 새로운 살의 각본과 도식을 형성하게 한다.
11) 상호의존 역할놀이법
짝을 지어 서로 역할을 바꾸어 그리도록 한다. 그림을 그리면서 타인의 역할을 함으로써 역할놀이의 효과를 얻는다. 그 후에 경험했던 감정을 서로 얘기하고 교환한다. 부부치료에 효과적이다.
12) 나의 어머니(아버지), 나의 딸(아들) 그리기
환자의 어머니(아버지)와 환자의 딸(아들) 관계를 그리게 한다. 꼭 그림이 아니더라도 난화로 표시해도 좋고, 콜라주를 사용해도 된다.
13) 만다라 그리기
개별적인 작업으로 생활 만다라를 그리게 한다. 크레파스, 색연필 등을 이용하거나 색종이도 사용할 수 있다. 자유연상을 그려도 좋다. 그리고나서 심상을 시로 써서 나타내기도 한다. 색채를 사용하면 환자의 기억과 감정을 통합하는데 유용하다.
* 참고문헌
미술치료기법2 : 최외선, 김갑숙 외 2명 저, 2013, 학지사
실제 적용 중심의 미술치료 : 정현희 저, 2006, 학지사
놀이치료의 이론과 실제 : Kevin J. O’Conner, Lisa D. Bravermanr 저, 이승희 외 2명 역, 2011, 시그마프레스
미술치료의 매체 활용법 : 박현주, 서명옥 저, 2009, 학지사
집단미술치료 : 최선남, 김갑숙 외 2명 저, 2007, 학지사
미술치료핸드북(개념과 기술) : 신승녀 저, 2015, 창지사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6.07.14
  • 저작시기201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57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