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의 특성] 영유아(영아기, 유아기)의 발달특성(신체발달, 운동기능발달, 정서발달, 지적발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유아의 특성] 영유아(영아기, 유아기)의 발달특성(신체발달, 운동기능발달, 정서발달, 지적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영유아의 특성

I. 발달특성

II. 신체발달

III. 운동기능의 발달

IV. 정서발달

V. 지적 발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존과 학습을 용이하게 하는 시기로 반사를 일으키는 모든 자극을 받아들이는 수동적 존재에서 자극을 얻으려는 적극적 존재로 변한다.
나. 2단계 :1~4개월까지로 처음에는 우연히 알게 된 행동을 좋아하게 되어 행동을 다시 해보려는 적극적인 노력을 보이는 시기이다. 아직 의도적이지 못한 일련의 행동들만 보이지만 감각적인 정보를 조정하기 시작하여 손과 입, 귀와 눈간의 조정이 발달한다. 대상에 따라 다른 반응을 보인 다.
다. 3단계 :4~8개월까지로 의도적인 행위가 시작된다. 재미를 얻기 위해 일차 순환 반응을 반복하던 영아가 행동의 결과로 오는 어떤 반응을 얻는데 관심을 갖는다. 낯익은 물건이 보이면 물체의 위치를 찾으나 완전히 감추면 잊어버린다.
라. 4단계 :8~12개월까지로 이전에 획득한 반응을 이용하여 간단한 문제를 풀 수 있다. 행동은 목 적 지향적이며 계속 존재하는 물체에 대한 도식을 발전시키기 시작하여 숨겨진 물체를 찾으려고 한다. 타인이 활동을 야기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처음 인식하며 자신의 활동과 물체의 움직임을 분별할 수 있다.
마. 5단계 : 12-18개월까지로 사건에 대한 정신적인 표상이나 사고를 가지지 못하나 새로운 활동을 시험해 보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물체나 사건에 대한 새로운 속성을 발견한다든지 새로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습관적인 행동을 하는 대신에 의도적인 적응행동을 한다. 불변하는 물체에 대한 도식을 갖고 물체의 이동을 따라갈 수는 있지만 아직 보지 못하는 움직임에 대해서는 상상하지 못한다.
바. 6단계 : 18-24개월까지로 사건을 마음속에 새겨서 얼마 동안 간직한다. 전에 보았던 행동을 기억하여 모방할 수 있다. 이제는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행착오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마음속으로 문제 해결을 시도해 보고 적당치 않은 것은 버린다. 대상 불변성에 대한 도식이 발달되어 물건을 마지막에 숨겨둔 장소에 가서 찾으며 감추는 것을 보지 못한 물건도 찾아낸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7.28
  • 저작시기201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62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