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조리] 산후관리(산후몸관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후조리] 산후관리(산후몸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산후관리

I. 안정과 휴식

II. 자궁의 회복

III. 오로

IV. 회음부 관리

V. 배변과 배뇨

VI. 산후통

VII. 유방관리 및 모유수유
VIII. 영양

IX. 조기이상과 산욕체조

X. 산후 배란과 월경

XI. 산후 정서적 반응

본문내용

를 올려 등이 아치 모양으로 굽어지는 운동을 반복한다.
산후 제 4일째 바로 누워서 무릎과 둔부를 굴곡시킨다. 이것은 골반 근육과 둔부에 탄력성을 주고 머리를 들어 올리면 복부근육을 수축시킨다.
산후 제 5일째 바로 누워서 다리를 곧게 펴서 머리와 무릎을 약간 올리고 무릎에 반대편의 손을 거의 닿게 한다. 이것을 오른손, 왼손으로 교대한다.
산후 제 6일째 똑바로 누워 무릎을 서서히 굴곡시켜 대퇴가 복부에 닿게 하고 발이 둔부에 닿게 한다. 다른 다리는 마루에 똑바로 편다. 이것을 좌우 교대한다.
산후 제 7일째 베개 없이 똑바로 누워 한쪽 다리는 편 채 그대로 두고 한쪽 다리만 무릎과 발을 쪽 펴고 서서히 들어 올려 둔부에 직각이 되게 한다. 이것을 좌우 교대로 점차로 10번까지 증가시킨다.
산후 제 8일째 상박과 다리가 몸체에 수직이 되도록 팔꿈치와 무릎을 굽혀서 정지시키고 등을 올린 자세에서 둔부와 복부를 힘있게 수축시키고 이완시킨 후 심호흡을 한다.
산후 제 9일째 양쪽 다리를 함께 올려서 둔부에 직각이 되도록 하였다가 내리는 운동을 반복한다. 산후 7일째 운동의 변형이며, 이 운동은 복부근육의 탄력성을 위해서 대단히 효과적인 방법이다.
산후 제 10일째 일어나 앉기 운동(situps). 똑바로 누워서 둔부와 다리는 들지 않고 팔을 머리에 대고 머리와 상체를 서서히 들어 올려서 앉고 다시 서서히 눕는 운동을 10번까지 반복 교대한다. 만약 필요하다면 발을 고정시켜도 좋다.
(10) 산후 배란과 월경
산후에 다시 배란이 시작되고 월경이 시작된다는 것은 가족계획을 하는데 중요한 문제이다. 배란과 월경이 다시 시작되었다는 것은 일단 성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되었다는 증거이다. 산후 배란이 시작되는 시기는 약 40%가 출산 후 3~4개월 이내이며, 나머지는 6개월 이내이다. 일반적으로 모유수유를 하는 경우가 인공영양을 하는 경우보다 배란이 늦어진다. 이것은 출산 후 즉시 임신되어 모체를 혹사시키지 않으려는 생리적 배려이다.
월경은 배란이 시작되면 일어나는데 산후의 첫 월경은 배란이 같이 오는 것이지 구별하기가 어렵다. 만약에 산후 처음 있은 배란이 수정되었다면 다음 월경을 보지 못하므로 입덧이 있을 때까지는 산후월경이 없는 것으로 오인하여 임신인지도 모르고 지내는 경우도 있다.
(11) 산후 정서적 반응
산후 2~3일간 산모는 소극적이고 의존적이며 솔선해서 행동을 하려고 하지 않고 다른 사람이 대신 해 주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시기를 '소극기(taking-in phase)'라고 한다. 이 시기에는 아기보다도 자기 자신에게 더 많은 관심을 가진다.
이 시기가 지나면 '적극기(taking-hold phase) 라고 하여 산모는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움직이고 분만 전처럼 활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자신의 몸을 충분히 조정한다던가 신생아를 돌보는 기술이 충분치 못함으로 인해 자신의 능력에 대해 실망하고 불안해한다. 이때 산모를 돌보는 사람은 산모가 지나친 활동을 하지 않도록 도와주고 산모의 질문에 답해주며 격려, 지지해 줌으로써 자신감을 갖도록 해야 한다.
가끔 산욕기 동안 이유 없이 눈물이 나거나 우울해질 수 있는데 이것을 '산후 우울증'이라고 한다. 때로 식욕을 잃고 수면장애가 있기도 하는데, 이러한 증상은 일시적인 호르몬의 변화와 의존적 욕구 및 책임에 수반되는 퇴행현상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산모가 울고 싶으면 울게 함으로써 긴장을 해소하고 편안해질 수 있다. 이것은 중요한 치료적 효과가 있다. 그러나 때로는 심리적 격변이 일어나 진성 신경증이 될 수 있으므로 산모를 돌보는 사람은 산모의 행동을 잘 관찰하고 병리적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판단해야 한다.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6.07.28
  • 저작시기201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62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