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보건학의 정의와 내용, 공중보건활동의 복지, 우리나라(한국)의 공중보건 당면과제(개선과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중보건학의 정의와 내용, 공중보건활동의 복지, 우리나라(한국)의 공중보건 당면과제(개선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공중보건학

I. 공중보건학의 정의

II. 공중보건활동의 복지

III. 공중보건학의 내용

IV. 건강 및 공중보건의 수준

V. 한국의 공중보건 당면과제
1. 공중보건적인 과제
2. 앞으로 밝은 전망을 위한 우선과제
3. 공중보건학적인 접근방법이 중요한 이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장 수준, 국민영양상태, 주거의 수준에 의한 통계상 하수도시설의 보급률, 오물처리에 있어서의 공공서비스의 보급률, 대기오염 및 수질 등의 상황, 인구당의 병상수, 의료지구의 상황, 의료보장제도의 보급상황 또는 각종 의료통계 등이 된다.
V. 한국의 공중보건 당면과제
알마아타선언 전문 10장을 보면 "건강은 기본적인 인간의 권리이며, 사회적 목표이다. 따라서 건강에 관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과의 격차나 국내에서의 지역 간 격차는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용인될 수 없고, 개인의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하는 것은 보다 좋은 생활의 질(better quality of life)과 세계평화에 기여하는 것이다"라고 강조하고 있다.
1) 공중보건적인 과제
- 무의지역의 해소와 의학적 보호의 편중문제 해소
- AIDS나 유행성 간염 같은 특수질병 예방문제
- 악성신생물환자, 뇌졸중, 당뇨병, 고혈압 등 성인병 문제
- 인구의 도시화나 산업장에서 원인이 되는 공해 질병이나 직업병 문제
- 사회보장제도의 약체 등
2) 앞으로 밝은 전망을 위한 우선과제
- 산술적 성장위주의 경제에서 탈피해 보건문제에 관심과 투자
- 국민보건을 위한 보다 효과적, 실질적인 국가보건의료체계의 정비
- 지역주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제도의 마련
- 공해산업을 최대한 억제하여 공해로 인한 질환의 최대한 억제
3) 공중보건학적인 접근방법이 중요한 이유
- 개개인의 건강문제는 주위 전체주민의 건강에 영향
- 근본적인 질병예방을 위해 지역 주거환경여건 조사가 필요
- 의료기관중심의 치료방법으로는 지역주민의 건강문제 해결이 곤란
- 모든 국민은 건강한 생활을 향유할 권리가 있고, 사회와 국가는 이를 보장할 의무가 있음
- 지역사회주민의 건강관리는 보다 포괄적이고,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
- 공중보건향상은 의학적인 면보다 정책적 배려가 필요, 인재양성이 중시
- 공중보건 사업전개를 위한 3대 접근방법은 서비스에 의한 봉사행정, 법규에 의한 통제행정, 교육에 의한 조장행정 등의 뒷받침이 필요
*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8.17
  • 저작시기201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70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