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전염병
I. 전염병의 유행양상
1. 생물학적 현상
1) 연령
2) 성별
3) 종족
2. 시간적 현상
1) 추세변화
2) 순환변화
3) 계절적 변화
4) 불규칙 변화
3. 지리적 현상
4. 사회적 현상
II. 전염병 관리방법
1. 전파예방
1) 병원소 제거
2) 전염력 감소
3) 병원소 격리
4) 환경위생관리
2. 면역증강
3. 예방되지 못한 환자에 대한 조치
III. 법정 전염병과 검역질병
1. 전염병의 종류
1) 제1군 전염병
2) 제2군 전염병
3) 제3군 전염병
4) 제4군 전염병
5) 지정전염병
2. 전염병의 신고
3. 검역 전염병
4. 정기 예방접종
* 참고문헌
전염병
I. 전염병의 유행양상
1. 생물학적 현상
1) 연령
2) 성별
3) 종족
2. 시간적 현상
1) 추세변화
2) 순환변화
3) 계절적 변화
4) 불규칙 변화
3. 지리적 현상
4. 사회적 현상
II. 전염병 관리방법
1. 전파예방
1) 병원소 제거
2) 전염력 감소
3) 병원소 격리
4) 환경위생관리
2. 면역증강
3. 예방되지 못한 환자에 대한 조치
III. 법정 전염병과 검역질병
1. 전염병의 종류
1) 제1군 전염병
2) 제2군 전염병
3) 제3군 전염병
4) 제4군 전염병
5) 지정전염병
2. 전염병의 신고
3. 검역 전염병
4. 정기 예방접종
* 참고문헌
본문내용
(18종), 제4군(15종) 및 지정전염병(9종)으로 분류하고,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환자발생신고, 예방접종, 방역사업 등을 통하여 전염병의 발생과 유행을 방지하여 국민보건을 향상 증진시킴을 목적으로 전염병 예방법이 제정되었다.
1) 전염병의 종류
(1) 제1군 전염병
전염속도가 빠르고 국민건강에 미치는 위해 정도가 너무 커서 발생 또는 유행 즉시 방역대책(환자격리, 특시 신고)을 수립하여야 하는 전염병을 말한다.
- 콜레라
- 페스트
- 장티푸스
- 파라티푸스
- 세균성이질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2) 제2군 전염병
예방접종을 통하여 예방 또는 관리가 가능하여 국가예방접종사업의 대상이 되는 전염병
을 말한다.
- 디프테리아
- 백일해
- 파상풍
- 홍역
- 유행성이하선염
- 풍진
- 폴리오
- B형간염
- 일본뇌염
(3) 제3군 전염병
간헐적으로 유행할 가능성이 있어 지속적으로 그 발생을 감시하고 방역대책의 수립 등 예방홍보에 중점을 두어야 할 전염병을 말한다.
- 말라리아
- 결핵
- 한센병
- 성병
- 수막구균성수막염
- 성홍열
- 레지오넬라증
- 비브리오패혈증
- 발진티푸스
- 발진열
- 쯔쯔가무시증
- 램토스피라증
- 브루셀라증
- 탄저
- 신증후군출혈열(유행성출혈열)
- 공수병
- 인플루엔자
-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4) 제4군 전염병
국내에서 새로 발생한 신종전염병증후군, 재출현전염병 또는 국내 유입이 우려되는 해외유행전염병으로서 방역대책의 긴급한 수립이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전염병을 말한다.
- 황열
- 뎅기열
- 마버그열
- 크립토스포리디움증
- 라싸열
- 리슈마니아증
- 바베시아증
- 아프리카수면병
- 에볼라열
- 주혈흡충증
- 요우스
- 핀타
- 두창
- 보틀리누스중독증
- 급성출혈열증상, 급성호흡기증상, 급성설사증상, 급성황달증상 또는 급성신경증상을 나타내는 신종전염병증후군
(5) 지정전염병
제1군 내지 제4군 전염병 외에 유행여부의 조사를 위하여 감시활동이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는 전염병을 말한다.
- A형간염
- C형간염
- 샤가스병
- 광동주혈선충증
- 유극악구충증
- 사상충증
- 포충증
-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상구균(VRSA) 감염증
- 크로이츠펠트-야콥병(변종 크로이츠벨트-야콥병 포함)
2) 전염병의 신고
전염병 예방법상 제 1. 2. 4 군 전염병의 경우 즉시 신고하고, 제3군 및 지정전염병의 경우 7일 이내에 그 전염병 환자 또는 시체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보건소장에게 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기타 신고 의무자로 일반가정의 호주 또는 세대주, 기관의 장, 경영자, 대표자, 그리고 육 해 공군의 소속부대장은 제1군 전염병 발견 즉시 소재지 보건소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3) 검역 전염병
우리나라 검역법에서는 검역 전염병이 국내 또는 국외로 전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항 출항하는 선박, 항공기와 그 승객, 승무원, 화물에 대한 검열절차와 예방조치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요검역선박과 항공기, 검역조사, 격리 및 감시 사항을 정하여 검역 질병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격리 및 감시(제13조) 사항을 보면,
(1) 검역소장은 격리를 요하는 자를 검역소 기타의 시설에 수용한다.
(2) 격리기간은 검역 전염병 환자에 있어서는 환자가 완치될 때까지 검염 전염병의 병원체로 전염되었다고 인정되는 자에 있어서는 그 병원체를 배출하지 아니할 때까지로 한다.
(3) 격리 기간 중에는 피격리자는 검역 소장의 허가 없이 타인과 접촉할 수 없다.
(4) 감시 기간은 다음의 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콜레라(120시간/ 5일)
페스트(144시간, 6일)
황열(144시간, 6일)
4) 정기 예방접종
전염병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전염병 예방법에 정기예방접종의 종류를 정하고, 시장, 군수, 구청장이 예방접종을 시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디프테리아
- 백일해
- 파상풍
- 결핵
- 폴리오
- 홍역
- 유행성이하선염
- B형 간염
- 풍진
- 기타 보건복지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지정하는 전염병
*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1) 전염병의 종류
(1) 제1군 전염병
전염속도가 빠르고 국민건강에 미치는 위해 정도가 너무 커서 발생 또는 유행 즉시 방역대책(환자격리, 특시 신고)을 수립하여야 하는 전염병을 말한다.
- 콜레라
- 페스트
- 장티푸스
- 파라티푸스
- 세균성이질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2) 제2군 전염병
예방접종을 통하여 예방 또는 관리가 가능하여 국가예방접종사업의 대상이 되는 전염병
을 말한다.
- 디프테리아
- 백일해
- 파상풍
- 홍역
- 유행성이하선염
- 풍진
- 폴리오
- B형간염
- 일본뇌염
(3) 제3군 전염병
간헐적으로 유행할 가능성이 있어 지속적으로 그 발생을 감시하고 방역대책의 수립 등 예방홍보에 중점을 두어야 할 전염병을 말한다.
- 말라리아
- 결핵
- 한센병
- 성병
- 수막구균성수막염
- 성홍열
- 레지오넬라증
- 비브리오패혈증
- 발진티푸스
- 발진열
- 쯔쯔가무시증
- 램토스피라증
- 브루셀라증
- 탄저
- 신증후군출혈열(유행성출혈열)
- 공수병
- 인플루엔자
-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4) 제4군 전염병
국내에서 새로 발생한 신종전염병증후군, 재출현전염병 또는 국내 유입이 우려되는 해외유행전염병으로서 방역대책의 긴급한 수립이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전염병을 말한다.
- 황열
- 뎅기열
- 마버그열
- 크립토스포리디움증
- 라싸열
- 리슈마니아증
- 바베시아증
- 아프리카수면병
- 에볼라열
- 주혈흡충증
- 요우스
- 핀타
- 두창
- 보틀리누스중독증
- 급성출혈열증상, 급성호흡기증상, 급성설사증상, 급성황달증상 또는 급성신경증상을 나타내는 신종전염병증후군
(5) 지정전염병
제1군 내지 제4군 전염병 외에 유행여부의 조사를 위하여 감시활동이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는 전염병을 말한다.
- A형간염
- C형간염
- 샤가스병
- 광동주혈선충증
- 유극악구충증
- 사상충증
- 포충증
-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상구균(VRSA) 감염증
- 크로이츠펠트-야콥병(변종 크로이츠벨트-야콥병 포함)
2) 전염병의 신고
전염병 예방법상 제 1. 2. 4 군 전염병의 경우 즉시 신고하고, 제3군 및 지정전염병의 경우 7일 이내에 그 전염병 환자 또는 시체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보건소장에게 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기타 신고 의무자로 일반가정의 호주 또는 세대주, 기관의 장, 경영자, 대표자, 그리고 육 해 공군의 소속부대장은 제1군 전염병 발견 즉시 소재지 보건소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3) 검역 전염병
우리나라 검역법에서는 검역 전염병이 국내 또는 국외로 전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항 출항하는 선박, 항공기와 그 승객, 승무원, 화물에 대한 검열절차와 예방조치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요검역선박과 항공기, 검역조사, 격리 및 감시 사항을 정하여 검역 질병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격리 및 감시(제13조) 사항을 보면,
(1) 검역소장은 격리를 요하는 자를 검역소 기타의 시설에 수용한다.
(2) 격리기간은 검역 전염병 환자에 있어서는 환자가 완치될 때까지 검염 전염병의 병원체로 전염되었다고 인정되는 자에 있어서는 그 병원체를 배출하지 아니할 때까지로 한다.
(3) 격리 기간 중에는 피격리자는 검역 소장의 허가 없이 타인과 접촉할 수 없다.
(4) 감시 기간은 다음의 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콜레라(120시간/ 5일)
페스트(144시간, 6일)
황열(144시간, 6일)
4) 정기 예방접종
전염병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전염병 예방법에 정기예방접종의 종류를 정하고, 시장, 군수, 구청장이 예방접종을 시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디프테리아
- 백일해
- 파상풍
- 결핵
- 폴리오
- 홍역
- 유행성이하선염
- B형 간염
- 풍진
- 기타 보건복지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지정하는 전염병
*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