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 식중독의 종류와 특징 - 세균성 식중독(감염형 식중독, 독소형 식중독), 자연독 식중독(식물성 및 동물성 식중독), 화학성 식중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중독] 식중독의 종류와 특징 - 세균성 식중독(감염형 식중독, 독소형 식중독), 자연독 식중독(식물성 및 동물성 식중독), 화학성 식중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식중독

I. 세균성 식중독
1. 감염형 식중독
1) 살모넬라 식중독
2)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
3)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
2. 독소형 식중독
1) 포도상 구균식중독
2) 보톨리뉴스균 식중독
3) Cereus균 식중독
4) 기타 웰치균 식중독

II. 자연독 식중독
1. 식물성 자연독
1) 유독성분을 함유한 버섯류
2) 유독성분을 함유한 식용식물
2. 동물성 자연독
1) 복어 중독
2) 조개류 중독
3) 곰팡이독

III. 화학성 식중독
1. 식품첨가물에 의한 중독
2.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한 중독
3. 유해성 금속화합물에 의한 식중독
4. 음식물용 기구, 용기, 포장에 의한 중독

*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타 패류 중독(나팔고동, 수염고동 등) - tetrodotoxin과 유사 성분 함유(신경증상)
3/ 곰팡이독(mycotoxin)
mycotoxin은 곰팡이의 대사 생산물로 사람이나 동물에 이상한 생리작용을 유발하는 물질균을 말한다.
- aflatoxin - 쌀, 보리, 옥수수, 땅콩(곡류의 건조, 저장조건의 유의), 간장애, 간암
맥각중독(ergotism) - ergometrme(맥각 alkaloid), 소화기계통장애
황변미중독(yellow ricetoxins) -황변에로 변질된 쌀은 citreoviridin, citrinin을 함유, 호흡장애, 혈액순환이상, 경련
III. 화학성 식중독
식품공업이 발달함에 따라 보존성을 높이고 상품적 가치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여러 가지 화학약품이 식품 첨가물로 이용되기에 이르렀다. 이들 첨가물은 화학물질로 불량품이거나 불허용품인 경우에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고의 또는 부주의로 methyl alcohol이나 농약류, 유해약품류가 식품에 혼입 섭취되었을 때 식중독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식중독을 화학적 식중독(chemical posioning)이라 한다. 그 원인 물질별로 구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식품첨가물에 의한 중독
1/ 유해성감미료 : dulcin(소화효소 억제작용, 혈액독, 간종양 1966년 11월 이후 금지)
cyclamate(발암성 인정, 1970년 사용금지)
p-nitro-o-toluidme(신경독, 설탕보다 200배 감미, 살인당, 원폭당)
saccharine(사용중이나, 신장장애, 사용허용량 준수)
ethylene glycol(신경장애, 구토, 의식불명)
2/ 유해성착색료 : auramine(피부에 흑자색 반점형성, 두통, 심계항진), 염기성황색색소
rhodamine B(전신착색, 부종, 구역질, 구토 설사), 적도색염기성색소
p-nitroaniline(두통, cyanosis, 혼수, 맥박감소, 동공확대), 황색결정체
3/ 유해성보존료 : 붕산(Boric acid, H3BO3), formaldehyde(HCHO), urotropin, b-naphthol, 승홍(mercuric choride, HgCl2)
4/ 유해성표백제 : rongalite, nitrogen trichloride(신장자극), 형광염료, 과산화수소(H2O2)
5/ 증량제 : 산성백토, bentonite, calciumcarbonate, Mg-carbonate, Kaolin 등, 과량 섭취하면 소화불량, 위장염증상
(2)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한 중독
1/ methanol : 체내에서 formic acid가 생기기 때문(실명, 호흡마비, 심장쇠약)
2/ 농약류 : 유기인제(Parathion/ malathion등), 유기염소제(DDT, BHC), Carbamate제, 다이옥신
(3) 유해성 금속 화합물에 의한 식중독
1/ 비소(arsenic) : 밀가루로 오인 섭식, 농작물의 잔류독에 의한 원인(혈액독, 신경독, 현기증, 두통, 경련, 실신)
2/ 납(lead) : 급성중독으로 구역질, 구토, 인사불성 등을 들 수 있으나 만성중독이 문제이다. 납이 10% 이상 함유된 식기는 사용하지 말 것
3/ 수은(Hg): 주류의 방부제로 승홍(염화제 2수은)이 과거 사용된 경우가 있으나 실제 무기 수은염에 의한 식중독 예는 드물다. 종자소독으로 사용된 유기 수은제가 문제이다. 중독증상은 장에 작열감, 동통, 메스꺼움, 구토를 일으킨다.
4/ 구리(Cu) : 음식물용 기구 및 용기에서 오는 녹청(염기성 탄산구리)에 의한 식중독의 예가 많고 채소 착색용 황산구리로 중독을 일으킨 예도 있다.
5/ 카드뮴(cd) : 음식물용 기구 및 용기에 의한 급성 중독인 예가 많다. 중독증상은 골연화증을 유발한다.
(4) 음식물용 기구, 용기, 포장에 의한 중독
1/ 금속성용기 : 아연을 도금한 식기, 유해금속색소를 쓴 식기, 납땜이나 유해금속을 쓴 통조림용 깡통
2/ 초자용기 : 장기간 산성의 물과 접촉시 유리중 알칼리 성분이 용출
3/ 도자기제, 법랑기구 : 유약이 산성 식품에 의해 납 등이 용출, 안료로 그린 그림 용출
4/ plastic제품
- phenol수지 : bakelite라고도 한다.
- 요소수지 : 요소와 formalin을 축합시킨 것으로 온도가 높아지면 광택을 잃고 장시간 사용하면 표면이 거칠어지며 formalin이 용출된다.
- 염화비닐수지 : 투명성이 우수한 것으로 다른 수지에 비해 많이 사용되며 가소제 안정제 등으로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 중에 유해한 것이 많아 식품중에 용출될 위험성이 있다.
- polyethylene : 청량음료제 용기로 사용되고 있는데 polyethylene 자체는 무해하나 안정제 등의 식품중으로 이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olyethylene : polyethylene을 중합한 것으로 플라스틱 중 가장 가벼우며 투명성, 내열성이 우수하다. 첨가제의 식품 중으로 이행도 고려해야 한다.
- Alumimum : 차광성, 방기성 등이 우수하나 내약품성이 약하며 특히 Cl-은 Aluminium의 부식성이 강한데 일반적으로 식품은 식염을 함유하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들 화학성 식중독의 예방에는 그 내용이 복잡하므로 행정, 제조, 소비 등 모든 면에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 행정적 대책 : 식품첨가물 공전 보완, 식품제조업에 식품위생관리자 배치, 행정 조치(벌금)강화, 홍보 및 보건교육 강화
- 식품제조업자 책임 : 제조기계의 위생적 점검, 사용원료 및 제품의 품질 검사, 판매업자의 품질관리 철저, 홍보 및 보건교육 철저
- 소비자 대책 : 식품위생에 관한 상식(유해물질 판별능력)을 높이고, 음식문화 변화 시도
*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6.08.17
  • 저작시기201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70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