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인구
I. 인구의 정의와 인구론
1. 인구의 정의
2. 인구론
II. 인구의 증가와 변천
1. 인구의 증가와 문제
2. 인구의 변천
3. 인구의 조사
1) 인구정태
2) 인구동태
4. 인구의 구조
1) 성별 구성
2) 연령별 구성
3) 인구 피라미드의 정형
5. 인구의 대책
* 참고문헌
인구
I. 인구의 정의와 인구론
1. 인구의 정의
2. 인구론
II. 인구의 증가와 변천
1. 인구의 증가와 문제
2. 인구의 변천
3. 인구의 조사
1) 인구정태
2) 인구동태
4. 인구의 구조
1) 성별 구성
2) 연령별 구성
3) 인구 피라미드의 정형
5. 인구의 대책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반적인 정형(定型) 구조를 비교 관찰할 수 있다.
(1) 성별구성
성비(性比, sex ratio)는 남녀의 성구성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자 100명에 대한 남자 인구비를 표시한다.
성비 = (남자수 / 여자수) x 100
대체로 태아의 성비를 1차 성비, 출생 시의 성비를 2차 성비, 현재 인구의 성비를 3차 성비라 한다. 1, 2차 성비에 있어서 언제나 남자가 여자보다 많으나 3차 성비에 있어서는 연령이 올라감에 따라 차이가 줄어들어 고령이 되면 오히려 여자 인구가 많아진다.
(2) 연령별 구성
연령별 구성은성별 구성보다복잡하다. 그래서 연령 구성은 이를 여러 개의 부분 집단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사용한다.
-영아인구: 1세 미만
-소년인구: 1-14세(유아인구, 학령 전기인구, 학령기인구로 구분)
-생산인구: 15-49세(청소년인구, 중년인구, 장년인구로 구분)
-출산연령인구: 15-59세
-노년인구: 생산연령을 초과한 인구
(3) 인구 피라미드의 정형
인구의 정형은 인구의 성과 연령을 동시에 보여주는 방법 가운데 가장 널리 쓰인다. 이 방법은 양성을 좌우의 축으로 나눈 다음 그 축을 중심으로 하여 연령 집단별로 낮은 연령을 아래로 해서 인구의 수나 분포를 도표의 형태로 나타낸 것으로 아래의 그림과 같다.
그림. 인구의 일반적 정형
1/ 피라미드형(pyramid form)
인구가 증가하는 발전형(progressive form)으로 출생률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나 사망률의 저하가 더 발라 인구의 증가 단계에 있는 형이다. 14세 이하의 인구가? 0세 이상 인구의 2배를 초과한다.
2/ 종형(bell form)
출생률과 사망률 모두 낮고, 14세 이하 인구가 50세 이상 인구의 2배가 되는 점지형(stationary form)이다.
3/ 항아리형(pot form)
출생률이 사망률보다 더 딘은 인구가 정체적일 때 생기는 인구 감퇴형(regressive form)으로 평균 수명이 높은 선진국에서 볼 수 있으며 14세 이하가 50세 이상 인구의 2배 이하인 경우이다.
4/ 별형(star form, 도시형)
생산 인구(15~49세)가 도시에 많이 유입되는 유입형(accessive form)으로 도시 인구 구성의 생산 인구가 전체 인구의 1/2 이상이다.
5/ 호로형(gourd form, 농촌형)
생산 인구가 많이 유출되는 농촌형으로 유출형(secessive form)이라고 하는데, 생산 인구가 전체 인구의 50%미만이다.
5) 인구의 대책
인구의 대책은 국가와 지역 사회의 여건에 따라 인구정책을 목표로 하는 적정 규모의 인구 수준을 유피하기 위해 산업발전이나 자원과 균형을 이루도록 노력하는 한편, 인구의 질을 높여서 경제적인 풍요뿐만 아니라 사회 환경적으로도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표를 두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인구의 증가를 대비하여 출산 억제 등의 가족계획을 수립
- 자원 개발과 식량 증산
- 인구 증가에 따른 자원 고갈과 환경 위생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환경 친화적 개발사업 추진
- 인구의 질적 향상을 위한 우생학적 노력 추구
- 인구의 도시 집중화를 조절하기 위한 인구 분산책으로 도시와 농어촌간의 균형적 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 등을 들 수 있다.
* 참고문헌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5
최신공중보건학 / 정희곤, 강갑연 외 2명 저, 광문각, 2016
(1) 성별구성
성비(性比, sex ratio)는 남녀의 성구성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자 100명에 대한 남자 인구비를 표시한다.
성비 = (남자수 / 여자수) x 100
대체로 태아의 성비를 1차 성비, 출생 시의 성비를 2차 성비, 현재 인구의 성비를 3차 성비라 한다. 1, 2차 성비에 있어서 언제나 남자가 여자보다 많으나 3차 성비에 있어서는 연령이 올라감에 따라 차이가 줄어들어 고령이 되면 오히려 여자 인구가 많아진다.
(2) 연령별 구성
연령별 구성은성별 구성보다복잡하다. 그래서 연령 구성은 이를 여러 개의 부분 집단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사용한다.
-영아인구: 1세 미만
-소년인구: 1-14세(유아인구, 학령 전기인구, 학령기인구로 구분)
-생산인구: 15-49세(청소년인구, 중년인구, 장년인구로 구분)
-출산연령인구: 15-59세
-노년인구: 생산연령을 초과한 인구
(3) 인구 피라미드의 정형
인구의 정형은 인구의 성과 연령을 동시에 보여주는 방법 가운데 가장 널리 쓰인다. 이 방법은 양성을 좌우의 축으로 나눈 다음 그 축을 중심으로 하여 연령 집단별로 낮은 연령을 아래로 해서 인구의 수나 분포를 도표의 형태로 나타낸 것으로 아래의 그림과 같다.
그림. 인구의 일반적 정형
1/ 피라미드형(pyramid form)
인구가 증가하는 발전형(progressive form)으로 출생률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나 사망률의 저하가 더 발라 인구의 증가 단계에 있는 형이다. 14세 이하의 인구가? 0세 이상 인구의 2배를 초과한다.
2/ 종형(bell form)
출생률과 사망률 모두 낮고, 14세 이하 인구가 50세 이상 인구의 2배가 되는 점지형(stationary form)이다.
3/ 항아리형(pot form)
출생률이 사망률보다 더 딘은 인구가 정체적일 때 생기는 인구 감퇴형(regressive form)으로 평균 수명이 높은 선진국에서 볼 수 있으며 14세 이하가 50세 이상 인구의 2배 이하인 경우이다.
4/ 별형(star form, 도시형)
생산 인구(15~49세)가 도시에 많이 유입되는 유입형(accessive form)으로 도시 인구 구성의 생산 인구가 전체 인구의 1/2 이상이다.
5/ 호로형(gourd form, 농촌형)
생산 인구가 많이 유출되는 농촌형으로 유출형(secessive form)이라고 하는데, 생산 인구가 전체 인구의 50%미만이다.
5) 인구의 대책
인구의 대책은 국가와 지역 사회의 여건에 따라 인구정책을 목표로 하는 적정 규모의 인구 수준을 유피하기 위해 산업발전이나 자원과 균형을 이루도록 노력하는 한편, 인구의 질을 높여서 경제적인 풍요뿐만 아니라 사회 환경적으로도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표를 두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인구의 증가를 대비하여 출산 억제 등의 가족계획을 수립
- 자원 개발과 식량 증산
- 인구 증가에 따른 자원 고갈과 환경 위생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환경 친화적 개발사업 추진
- 인구의 질적 향상을 위한 우생학적 노력 추구
- 인구의 도시 집중화를 조절하기 위한 인구 분산책으로 도시와 농어촌간의 균형적 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 등을 들 수 있다.
* 참고문헌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5
최신공중보건학 / 정희곤, 강갑연 외 2명 저, 광문각, 2016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