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구의 개념
I. 인구의 정의
II. 인구이론
1. 맬더스의 인구론
2. 신맬더스이론
3. 적정 인구이론
4. 안정 인구이론
5. 정지 인구이론
III. 인구구조
1. 성별구조
2. 연령별 구조
3. 인구피라미드
4. 부양비
IV. 시계 및 우리나라 인구
1. 세계의 인구 추이
2. 우리나라의 인구 추이
* 참고문헌
I. 인구의 정의
II. 인구이론
1. 맬더스의 인구론
2. 신맬더스이론
3. 적정 인구이론
4. 안정 인구이론
5. 정지 인구이론
III. 인구구조
1. 성별구조
2. 연령별 구조
3. 인구피라미드
4. 부양비
IV. 시계 및 우리나라 인구
1. 세계의 인구 추이
2. 우리나라의 인구 추이
*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망률이 낮아 14세 이하의 인구가 65세 이하 인구의 2배 이상이 된다.
2) 종형 (bell form)
인구정지형, 아형, 또는 소산소사형이라고 하며 출생과 사망률이 다 낮으며 인구중가가 정체되어 정지인구구조를 나타낸다. 14세 이하의 인구가 65세 이하 인구의 2배 이상이 되며 또한 노인인구의 증가문제가 서서히 대두되기 시작한다.
3) 항아리 형 (Pot form)
인구감소형 또는 호형이라고 한다. 출생률이 사망률보다 낮아 인구가 감퇴하기 시작하는 선진국형이다. 14세 이하의 인구가 65세 이하 인구의 2배 이하이다.
4) 별형 (star form)
도시형, 유입형 또는 성형이라고 하며 생산연령층 인구가 많이 모여들고 도시화가 진전된 지역에서 뚜렷이 나타난다. 생산인구가 전체 인구구조의 절반이상을 차지한다.
5) 기타형 (guitar form)
농촌형, 유출형 또는 호로형이라고 하며 별형과는 반대로 생산연령층 인구가 많이 유출되므로 농촌에서 뚜렷이 나타났으나, 현재는 생산연령층 유출이 더욱 심화되고 노년인구가 증가되는 경향이므로 농촌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생산인구가 전체 인구구조의 절반이하를 차지한다.
그림. 인구구조의 유형
(4) 부양비
연령구조와 경제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지수로 부양비(dependency ratio)가 있다. 부양비는 경제활동연령에 대한 비경제활동연령 즉 비생산연령층은 죠세 미만의 소년(유년)인구와 65세 이상의 노년인구를 말한다.
표. 우리나라 인구 부양비 추이(단위 천 명)
IV. 세계 및 우리나라 인구
(1) 세계의 인구 추이
1999년 10월 60억 명을 돌파한 세계인구가 오는 2050년에는 93억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현재 49억 명에 이르는 개발도상국의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 2050년에는 82억 험에 이르면서 세계인구의 85%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유엔이 정한 세계인구의 날을 맞아 유엔인구기금의 세계인구전망 등을 토대로 작성한 보고서를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가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세계인구의 실질 증가율은 지난 60년대 2%로 최고조에 달한 뒤 점차 낮아져 현재 1.3%(7,700만 명) 수준으로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50년에는 세계인구가 지금보다 50%가량 증가한 93억 명으로 늘어난다.
특히 여성 1명당 3.1명꼴의 출산율을 보이는 개발도상국의 인구증가가 두드러져 2050년에는 82억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보고서는 이와 함께 평균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노인 인구도 증가해 60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50년까지 20억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2) 우리나라의 인구 추이
표. 우리나라의 인구, 성비 및 인구밀도 추이(단위: 천 명)
* 참고문헌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5
최신공중보건학 / 정희곤, 강갑연 외 2명 저, 광문각, 2016
2) 종형 (bell form)
인구정지형, 아형, 또는 소산소사형이라고 하며 출생과 사망률이 다 낮으며 인구중가가 정체되어 정지인구구조를 나타낸다. 14세 이하의 인구가 65세 이하 인구의 2배 이상이 되며 또한 노인인구의 증가문제가 서서히 대두되기 시작한다.
3) 항아리 형 (Pot form)
인구감소형 또는 호형이라고 한다. 출생률이 사망률보다 낮아 인구가 감퇴하기 시작하는 선진국형이다. 14세 이하의 인구가 65세 이하 인구의 2배 이하이다.
4) 별형 (star form)
도시형, 유입형 또는 성형이라고 하며 생산연령층 인구가 많이 모여들고 도시화가 진전된 지역에서 뚜렷이 나타난다. 생산인구가 전체 인구구조의 절반이상을 차지한다.
5) 기타형 (guitar form)
농촌형, 유출형 또는 호로형이라고 하며 별형과는 반대로 생산연령층 인구가 많이 유출되므로 농촌에서 뚜렷이 나타났으나, 현재는 생산연령층 유출이 더욱 심화되고 노년인구가 증가되는 경향이므로 농촌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생산인구가 전체 인구구조의 절반이하를 차지한다.
그림. 인구구조의 유형
(4) 부양비
연령구조와 경제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지수로 부양비(dependency ratio)가 있다. 부양비는 경제활동연령에 대한 비경제활동연령 즉 비생산연령층은 죠세 미만의 소년(유년)인구와 65세 이상의 노년인구를 말한다.
표. 우리나라 인구 부양비 추이(단위 천 명)
IV. 세계 및 우리나라 인구
(1) 세계의 인구 추이
1999년 10월 60억 명을 돌파한 세계인구가 오는 2050년에는 93억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현재 49억 명에 이르는 개발도상국의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 2050년에는 82억 험에 이르면서 세계인구의 85%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유엔이 정한 세계인구의 날을 맞아 유엔인구기금의 세계인구전망 등을 토대로 작성한 보고서를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가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세계인구의 실질 증가율은 지난 60년대 2%로 최고조에 달한 뒤 점차 낮아져 현재 1.3%(7,700만 명) 수준으로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50년에는 세계인구가 지금보다 50%가량 증가한 93억 명으로 늘어난다.
특히 여성 1명당 3.1명꼴의 출산율을 보이는 개발도상국의 인구증가가 두드러져 2050년에는 82억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보고서는 이와 함께 평균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노인 인구도 증가해 60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50년까지 20억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2) 우리나라의 인구 추이
표. 우리나라의 인구, 성비 및 인구밀도 추이(단위: 천 명)
* 참고문헌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5
최신공중보건학 / 정희곤, 강갑연 외 2명 저, 광문각, 2016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