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과 영양] 면역기능의 개념(정의), 면역기능의 영양적 조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면역과 영양] 면역기능의 개념(정의), 면역기능의 영양적 조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면역과 영양

I. 면역기능

II. 면역기능의 영양적 조절
1. 단백질-에너지 영양불량
2. 비타민 A
3. 아연
4. 셀레늄
5. 다불포화지방산
6. 비타민 E와 비타민 C
7. 비타민 B6

* 참고문헌

본문내용

형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4) 셀레늄
셀레늄의 역할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감염반응에 있어 셀레늄을 충분하게 공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동물실험에서 셀레늄 결핍은 림프구 활성을 떨어뜨리고 중성구에 의한 산소 라디칼(radical) 발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레늄은 주요 항산화효소인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glutathione peroxidase)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기 때문에 대식세포나 중성구와 같이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을 생산하거나 혹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상당량 노출되는 세포들에게 있어 중요하게 작용한다. 셀레늄은 산화전구체(prooxidant)로부터 세포를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다.
(5) 다불포화지방산
다불포화지방산(PUFAs)은 일반적으로 n-6계열과 n-3계열로 분류된다. 면역세포 및 다른 세포들은 다불포화지방산 형태에 따라 면역반응을 다르게 나타내는 여러 종류의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을 생성한다. n-3 PUFA가 충분한 식사는 대식세포와 다른 세포기능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n-6 PUFA가 충분한 식사는 특정 면역기능을 강화시키고 염증반응을 촉진시킨다. 그러므로 n-6과 n-3 PUFA의 비율은 면역기능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표. 면역기능과 영양소의 역할
(6) 비타민 E와 비타민 C
비타민 E는 중요한 지용성 항산화영양소이다. 비타민 E 결핍은 B-와 T세포 매개성 면역능을 손상시킨다. 비타민 E는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감소시키고, 세포막에서 PUFA의 산화를 막는 역할을 한다.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비타민 E의 충분한 공급이 백신 접종 시 특수한 항체 생성을 증가시키고 감염 발생을 감소시킨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비타민 E는 충분히 섭취했을 때 면역능을 증가시키는 영양소이다. 그러나 면역능을 자극하는 비타민 E의 최적량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비타민 C는 세포막보다 체액에 존재하는 수용성 항산화영양소이다. 그것은 비타민 E의 환원형태를 재생하는 작용 등을 통해 다른 항산화제의 효과를 보완하거나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비타민 C는 식세포 작용에 중요하며, 이 세포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때는 비타민 C 결핍에 의한 손상이 원인일 수 있다.
(7) 비타민 B6
비타민 B6는 아미노산의 합성과 대사에 필수적으로 이용된다. 항체와 사이토카인은 아미노산으로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비타민 B6는 면역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물 및 인체 연구에서 비타민 B6결핍이 림프구의 성장과 성숙을 손상시키고 항체 생산 및 T세포 활성에도 해로운 영향을 끼친다.
*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6.08.25
  • 저작시기201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74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