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비만
I. 비만의 유형
1. 시기에 따른 분류
2. 체지방의 분포에 따른 분류
II. 원인
1. 유전요인
2. 섭취 에너지의 과잉
3. 에너지 소비의 저하
4. 기타 요인
III. 증상
IV. 비만의 판정
1. 체격지수를 이용한 판정
1) 이상체중비 혹은 상대체중
2) 체질량지수
2. 체지방비율을 이용한 판정
1) 생체전기저항측정법
2) 수중체밀도법
3) 피부두겹두께
3. 체지방분포를 이용한 판정
1) 허리-엉덩이둘레 비율
2) 허리둘레 측정
3) 단층촬영법(CT)
* 참고문헌
I. 비만의 유형
1. 시기에 따른 분류
2. 체지방의 분포에 따른 분류
II. 원인
1. 유전요인
2. 섭취 에너지의 과잉
3. 에너지 소비의 저하
4. 기타 요인
III. 증상
IV. 비만의 판정
1. 체격지수를 이용한 판정
1) 이상체중비 혹은 상대체중
2) 체질량지수
2. 체지방비율을 이용한 판정
1) 생체전기저항측정법
2) 수중체밀도법
3) 피부두겹두께
3. 체지방분포를 이용한 판정
1) 허리-엉덩이둘레 비율
2) 허리둘레 측정
3) 단층촬영법(CT)
* 참고문헌
본문내용
cent of Ideal Body Weight : PIBW)혹은 상대체중
이상체중비는 실제 체중에서 표준체중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값이다. 브로카법에 의한 표준체중은 신장이 160cm이상일 경우 [신장(cm) -100] x 0.9식을 사용하고, 150cm 이상 160cm 미만인 경우 [신장(cm)-150] x 0.5+50, 150cm미만인 경우 신장(cm)-100식을 사용한다.
어린이의 경우에는 한국소아신체발육치 표를 이용하고 각 신장에 대해 50퍼센타일에 해당하는 체중을 구한다.
2)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 BMI)
체질량지수는 체중(kg)에서 신장(m)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2) 체지방비율을 이용한 판정
1) 생체전기저항측정법(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지방조직은 체지방조직에 비해 전기가 잘 통하는 않아 전기저항이 많이 발생한다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생체전기저항측정기에 미세한 전류를 흘려준 다음 되돌아오는 저항을 측정하고, 전기저항값과 성별, 신장, 체중을 사용하여 회귀방정식으로 체수분량, 체지방, 제지방을 구한다.
2) 수중체밀도법(hydrostatic weighing method)
우리 몸 지방층의 밀도를 0.9g/cm3,제지방층의 밀도를 1.1g/cm3로 가정하고, 수중에서 체중을 측정하여 공기 중에서의 체중과의 차이로 몸의 부피를 구하여 전체 몸의 밀도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3) 피부두겹두께(skinfold thickness)
우리 몸에 존재하는 지방의 50% 이상이 피하에 있다는 원리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인체부위 중 삼두근, 이두근, 견갑골하부, 장골상부를 측정하여 피부두께의 합으로 체밀도를 구한 후 수중체밀도법과 같은 공식으로 체지방비율을 계산하거나 단순히 피부두겹두께의 퍼센일로 비만을 판정한다.
(3) 체지방분포를 이용한 판정
1) 허리-엉덩이둘레 비율(Waist-Hip Ratio : WHR)
엉덩이에 비해 허리둘레가 클수록 복부에 지방이 많은 것을 의미하며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은 허리둘레(cm)를 엉덩이둘레(cm)로 나눈 값이다. 허리둘레는 허리가 가장 들어간 부분, 엉덩이둘레는 엉덩이의 가장 튀어나온 부분을 측정한다.
2) 허리둘레(waist circurmference)측정
복부비만은 질병 발생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으로 허리둘레는 복부지방량을 반영하는 유용한 지표이다.
3) 단층촬영법(Computed Tomography : CT)
CT를 사용해서 지방의 분포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즉, 복부비만 중에서도 피하지방형 비만인지 복강 내 지방이 많은 내장지방형 비만인지 알아낼 수 있다.
*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이상체중비는 실제 체중에서 표준체중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값이다. 브로카법에 의한 표준체중은 신장이 160cm이상일 경우 [신장(cm) -100] x 0.9식을 사용하고, 150cm 이상 160cm 미만인 경우 [신장(cm)-150] x 0.5+50, 150cm미만인 경우 신장(cm)-100식을 사용한다.
어린이의 경우에는 한국소아신체발육치 표를 이용하고 각 신장에 대해 50퍼센타일에 해당하는 체중을 구한다.
2)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 BMI)
체질량지수는 체중(kg)에서 신장(m)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2) 체지방비율을 이용한 판정
1) 생체전기저항측정법(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지방조직은 체지방조직에 비해 전기가 잘 통하는 않아 전기저항이 많이 발생한다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생체전기저항측정기에 미세한 전류를 흘려준 다음 되돌아오는 저항을 측정하고, 전기저항값과 성별, 신장, 체중을 사용하여 회귀방정식으로 체수분량, 체지방, 제지방을 구한다.
2) 수중체밀도법(hydrostatic weighing method)
우리 몸 지방층의 밀도를 0.9g/cm3,제지방층의 밀도를 1.1g/cm3로 가정하고, 수중에서 체중을 측정하여 공기 중에서의 체중과의 차이로 몸의 부피를 구하여 전체 몸의 밀도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3) 피부두겹두께(skinfold thickness)
우리 몸에 존재하는 지방의 50% 이상이 피하에 있다는 원리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인체부위 중 삼두근, 이두근, 견갑골하부, 장골상부를 측정하여 피부두께의 합으로 체밀도를 구한 후 수중체밀도법과 같은 공식으로 체지방비율을 계산하거나 단순히 피부두겹두께의 퍼센일로 비만을 판정한다.
(3) 체지방분포를 이용한 판정
1) 허리-엉덩이둘레 비율(Waist-Hip Ratio : WHR)
엉덩이에 비해 허리둘레가 클수록 복부에 지방이 많은 것을 의미하며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은 허리둘레(cm)를 엉덩이둘레(cm)로 나눈 값이다. 허리둘레는 허리가 가장 들어간 부분, 엉덩이둘레는 엉덩이의 가장 튀어나온 부분을 측정한다.
2) 허리둘레(waist circurmference)측정
복부비만은 질병 발생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으로 허리둘레는 복부지방량을 반영하는 유용한 지표이다.
3) 단층촬영법(Computed Tomography : CT)
CT를 사용해서 지방의 분포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즉, 복부비만 중에서도 피하지방형 비만인지 복강 내 지방이 많은 내장지방형 비만인지 알아낼 수 있다.
*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키워드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