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방어기능] 영양과 생체방어와 감염증, 영양결핍과 생체방어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체방어기능] 영양과 생체방어와 감염증, 영양결핍과 생체방어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생체방어기능

I. 영양과 생체방어와 감염증
1. 감염증과 영양
2. 영양결핍-생체방어능의 저하-감염증의 상호관계

II. 영양결핍과 생체방어기구
1. 피부, 점막
2. 보체계
3. 식균작용
4. 체액성 면역
5. 세포성 면역

* 참고문헌

본문내용

oxidase) 등의 대사계가 장애를 받음으로써 PMN의 살균작용도 저하된다. 영양결핍 시에는 대식세포의 수도 감소한다. 영양요법을 시행하면 PMN의 기능은 2-6주 후에 회복된다.
4. 체액성 면역
임신 중 모체의 영양 결핍이나 태반 기능의 장애는 신생아에서 IgG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러나 PEM 유아에서 혈청 IgG, IgM 및 IgA는 정상치를 나타내므로, 유아의 영양결핍과 면역글로블린의 농도와는 직접적인 관계는 없는 듯하다. 그러나 항원과의 친화력이 떨어져 항원-항체 반응이 약화된다.
뚜A는 소화기계와 호흡기계 감염증이 있는 경우에, 그리고 IgD와 IgE는 기생충 감염증이 있는 경우에 현저히 증가한다. 그러나 항체 생산이 변화된 경우라 하더라도 적당한 영양요법과 항생물질을 투여하여 감염증을 치료하면 쉽게 정상으로 회복된다.
5. 세포성 면역
이물질의 항원 자극이 비장과 림프절에 있는 림프구에 전달되면, B림프구는 항체 생산세포로, T림프구는 그 기능에 따라서 보조 T세포, 억제 T세포, 살해 T세포, 림포카인-감작 림프구 등으로 분화한다.
보조 T세포와 억제 T/살해 T세포(Ts/c)는 각각 표면에 분자량 62,000과 76,000의 당단백질을 갖고 있어 그에 따라 T-4 와 T-8이라고도 한다.
PEM 상태에서는 T-4 세포가 현저히 감소하는데, T-8 세포의 감소는 현저하지 않다. 그 결과 T림프구의 보조 T세포의 작용은 크게 낮아지고, 억제 T세포의 작용은 두드러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이 AIDS 증상에서 일어난다.
영양결핍 시 동물에서는 총 백혈구 수가 현저하게 적어지지만, 인체에서는 크게 변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림프구 수는 감염증이 동반되는 경우 줄어든다.
영양결핍으로 인한 세포성 인자의 장애는 영양소를 공급하면 회복되는데, 보체계의 회복에 비해서 늦게 일어나고, 혈액의 생화학적 지표(예를 들면, 알부민, 헤마토크리트)와는 비슷하게 회복되며, 임상적 특징(예를 들면, 체중, 피부 두께 등)보다는 빨리 회복된다.
*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8.31
  • 저작시기201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76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