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관] 소화기관과 소화 - 입, 위장, 소장, 대장에서의 소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화기관] 소화기관과 소화 - 입, 위장, 소장, 대장에서의 소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소화기관과 소화

I. 입에서의 소화

II. 위장에서의 소화
1. 위장의 구조
2. 위액의 소화작용
3. 위액의 분비

III. 소장에서의 소화
1. 소장의 구조
2. 췌장액의 소화작용
3. 장액의 소화작용
4. 담즙의 작용

IV. 대장에서의 소화

*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분해한다.
(3) 장액의 소화작용
장액은 응모 사이의 점막에 있는 장선에서 하루 3L 정도 분비된다. 장액에 있는 효소는 장관 내에서가 아니라 장점막의 상피세포에 붙어서 작용한다. 또한 브루너선(Brunner's gland)에서는 점액과 HCO3가 많은 장액을 분비하여, 강한 산성으로 십이지장으로 넘어 온 내용물을 알칼리화 한다.
a) 수크라아제(Sucrase) : 설탕(Sucrose)을 포도당과 과당(Fructose)으로 분해한다.
b) 락타아제(Lactase) : 유당(Lactose)을 포도당과 갈락토오스(Galactose)로 분해한다.
c) 펩티다아제(Peptidase) :펩티드를 아미노산으로 분해한다.
d) 뉴클레오티다아제(Nucleotidase) : 누클레오티드를 분해한다.
(4) 담즙(Bile)의 작용
담즙은 간에서 만들어져 담낭(쓸개)에 저장되었다가 십이지장으로 방출된다. 담즙에는 소화효소는 없으나, 담즙산(Bile add)의 유화작용으로 지방산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물에 잘 풀리도록 해서 리파아제의 가수분해작용을 돕는다.
4. 대장에서의 소화
대장에서는 소화효소가 분비되지 않는다. 소화는 소장에서 거의 완전히 이루어지며 또 소화산물의 흡수도 소장에서 거의 끝나므로 대장에 도달한 내용물은 비소화성인 찌꺼기의 혼합액이다. 대장의 기능은 바로 이 혼합액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일이다. 소장에서는 소화를 위해서 막대한 양의 장액을 분비하는데 대장에서 이러한 수분을 모두 흡수한다. 만일 대장에 이상이 생겨 수분을 흡수하지 못하면 설사를 하게 되고 곧 탈수현상에 빠지게 된다. 대장에는 많은 대장균들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음식물 속의 셀룰로오스의 일부를 분해한다. 또 이들 세균은 몇 가지 비타민을 합성하기도 하는데 이 비타민은 대장에서 흡수된다.
소장에서 완전히 소화 흡수되지 못한 단백질들은 대장에서 대장균에 의해 분해되어 인돌, 스카톨 따위의 악취 나는 가스를 발생하는데, 대변의 독특한 냄새는 이런 물질들의 냄새이다. 사람의 대장에는 수많은 대장균이 살고 있지만 몸에는 해롭지 않다.
* 참고문헌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5
최신공중보건학 / 정희곤, 강갑연 외 2명 저, 광문각, 2016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8.31
  • 저작시기201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76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