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방어기능] 생체방어기구(피부-점막에 의한 방어, 특이적 및 비특이적 방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체방어기능] 생체방어기구(피부-점막에 의한 방어, 특이적 및 비특이적 방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생체방어기능] 생체방어기구

I. 피부, 점막에 의한 방어

II. 비특이적 방어
1. 염증반응
2. 보체의 활성화
3. 식균작용
4. 인터페론과 NK세포

III. 특이적 방어
1. 체액성 면역
2. 세포성 면역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는 항원의 자극을 받아서 분화된 형질세포(Plasma cell)가 생산한다. 항체의 생산은 B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키는 보조 T세포와 억제시키는 억제 T세포(Suppressor T-cell)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조절되고 있다.
항체에는 면역글로블린 G, A, M, D 및 E(Immunoglobulin, IgG, IgA, IgM, IgD 및 IgE) 등이 있다. 신생아는 태아기에 태반을 통해서 어머니로부터 받은 IgG에 의해서 생후 5-6개월간은 미생물의 침입을 방어하고 있으나 그 후에는 자신의 방어 메커니즘을 발동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항원과 항체가 특이적으로 결합한 항원-항체 복합체는 식세포에 끌려 들어가서 신속히 제거된다. 이 복합체는 보체계를 활성화하며 보체의 효소작용에 의해서 세포막을 용해한다. 항체를 만드는 데는 이물질이 침입한 후 4-10일이 소요된다.
2. 세포성 면역
살모넬라, 결핵균 등은 호중구, 항체, 보체 등의 작용으로는 처리되지 않으므로, T세포가 배제 역할을 담당한다. T세포의 기능은 첫째로는 이 물세포를 파괴하는 것이다. 둘째로는 항원(침입 이물질)에 대응하여 대사계를 활성화시켜, 림포카인(Lymphokine)이라는 활성물질을 만들어 방출한다. 림포카인은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대식세포로 하여금 살균능을 갖게 한다. 셋째로는 다른 림프구의 작용을 조절하는 작용이 있다.
살해 T세포(Killer T cell ; 세포 파괴), 보조 T세포(골수에서 나온 간세포가 흥선에 도달하여 T세포로 분화된 것으로, 항체를 생산하는 B세포가 항체-생산 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을 도와준다), 억제 T세포(항체의 생산을 억제), 증폭 T세포(Amplifier T cell ; 다른 림프구의 작용을 증폭시킨다) 그리고 효과 T세포(Effector T cell ; 림포카인을 생산하여 세포성 면역을 유도하는 작용을 갖는다) 등의 많은 작용이 있다. 그러나 이들 구성인자들은 숙주의 영양조건 및 대상 이물질에 따라 발현양식과 생체방어에의 전개방식이 달라진다.
*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8.31
  • 저작시기201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7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