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그램의 개요
2. 프로그램은 먹고 마시기를 어떻게 취급하는가
3. 우리 사회 구성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지 분석
참고자료
2. 프로그램은 먹고 마시기를 어떻게 취급하는가
3. 우리 사회 구성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지 분석
참고자료
본문내용
음식 프로그램과는 다른 새로운 유형의 프로그램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우리는 이 과정을 디지털 미디어 시대 미디어 문화 속에서 벌어지는 헤게모니 과정으로서 지배 이데올로기와 지배적 가치가 저항적, 도전적 이데올로기나 가치를 배제하거나 억누르는 것이 아니라 사회성원들의 동의를 얻는 수준에서 정교한 타협을 통해 정당화된 문화 속으로 흡수하는 과정으로, 역동적으로 이해되어야함을 말해준다. 방송이 인터넷의 도발적인 먹방 문화를 수용 하면서, 뛰어난 재료로 만들어진 특별하고 우수한 요리, 건강을 위한 음식을 지향하던 기존의 가치체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음식 프로그램들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 프로그램들은 평범한 먹거리, 일상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음식 만들기, 불량하지만 먹는 자의 입을 기쁘게 하는 맛 중심의 음식으로 담론을 넓혀갔음을 볼 수 있었다. 전통적인 음식문화 가치를 지향하는 프로그램들이 모두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지상파와 공영방송에서 인터넷 방송 포맷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편성하고 있으며 새로 만들어진 음식 관련 방송 프로그램들의 담론적 지형과 가치체계가 인터넷 먹방의 지향성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터넷 미디어문화가 한국 사회에서 지니게 된 영향력이 하위문화의 수준을 넘어서서 미디어 문화 전반으로 파급력을 확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참고자료
데이비드 하워드, 심산스쿨 역, “시나리오 마스터”, 2007.
슬라보예 지젝, 김소연·유재희 역, “삐딱하게 보기”, 시각과 언어, 1995.
홍석경·박소정, “미디어 문화 속 먹방과 헤게모니 과정”,언론과 사회 24, 2016.
참고자료
데이비드 하워드, 심산스쿨 역, “시나리오 마스터”, 2007.
슬라보예 지젝, 김소연·유재희 역, “삐딱하게 보기”, 시각과 언어, 1995.
홍석경·박소정, “미디어 문화 속 먹방과 헤게모니 과정”,언론과 사회 24, 2016.
추천자료
[예술과 사회] 그녀들과의 유쾌한 대화, Sex And The City」
칸트의 무관심성에 대한 반론 - 페미니즘 예술에 대하여
예술과 도덕적 이념. 그 불가분의 관계에 관하여.
[대중문화]한국의 비디오영상문화 - 발전, 예술, 태동
가다머와 딜타이의 칸트 미학비판과 예술사조
예술에 대한 다양한 견해
DSLR열풍 단순한 유행인가 사진에 대한 전문적 접근과 예술영역의 대중화인가
칸트의 취미 판단 분석
[미학][취미][민족미학][미디어미학][체육미학][연극미학][음악미학][판소리미학][여성민요미...
[북한문예산책]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북한 문화예술의 관계
숭고미 그리고 자연미 예술
예술품 및 귀중품의 피해액 산정
예술치료(미술치료와 음악치료의 특징 및 효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