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을 들고, 네 가지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에 대해 실생활의 예를 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심리학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을 들고, 네 가지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에 대해 실생활의 예를 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도덕성 발달이론의 개요

II. 도덕성 발달이론(도덕성 발달단계)
1. 전인습적 수준(전도덕성)
1) 1단계 : 벌과 복종에 의한 도덕성
2) 2단계 : 개인적 보상지향(상대화 - 상대적 쾌락주의)
2. 인습적 수준 : 타율도덕성
3) 3단계 : 대인관계에서 조화를 위한 도덕성 - 착한 아이 지향
4) 4단계 : 법과 질서를 준수하는 도덕성(사회화)
3. 후인습적 수준 : 자율도덕성
5) 5단계 : 사회계약 및 법률복종으로서의 도덕성(일반화)
6) 6단계 : 양심 및 도덕원리에 대한 확신으로서의 도덕성(궁극화 - 보편적 원리)

III. 콜버그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IV.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V. 네 가지 강화계획을 예를 제시하며 설명
1. 고정비율 강화계획
2. 변동비율 강화계획
3. 고정간격 강화계획
4. 변동간격 강화계획

VI. 네 가지 강화계획의 평가

VII. 참고문헌

본문내용

강화를 제공한다. 비율 스케줄은 강화가 제공되는 방식이 유기체의 반응뿐만 아니라 시간에도 기초를 두고 있다. 비율 스케줄은 다시 고정 비율과 변동 비율 스케줄로 나누어지며, 간격 스케줄도 고정 간격과 변동 간격 스케줄로 나누어진다.
V. 네 가지 강화계획을 예를 제시하며 설명
1. 고정비율 강화계획
고정비율강화계획에서는 매 n번의 반응마다 강화가 주어지는 스케줄이다. 예를 들면, FR 3이라는 스케줄은 특정 행동을 세 번 했을 때마다 강화가 한 번씩 주어지는 스케줄이다.
2. 변동비율 강화계획
변동비율 강화계획에서는 평균적으로 n번의 반응마다 강화가 주어지는 스케줄이며, 정확하게 몇 번째 반응에 강화가 주어지는지는 알 수가 없다. 다만, 정해진 시간 내에 반응 수와 강화인의 수를 계산해보면, 평균적으로 n번의 반응마다 강화가 주어진 경우이다. 예를 들어 VR 5의 경우, 어떤 경우에는 세 번째 반응에 강화가 주어질 수 있고, 또 어떤 경우에는 10번째 반응에 강화가 주어질 수 있다. 하지만 반응 수를 합하고, d를 강화인의 수로 나누게 되면, 다섯 번의 반응에 대해 한 번의 비율로 강화가 주어진 경우이다.
3. 고정간격 강화계획
고정간격 강화계획에서는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의 첫 번째 반응에 강화가 주어지고, 강화가 주어진 시점에서 다시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의 첫 번째 반응에 강화가 주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FI 30초의 스케줄에서는 30초가 경과하기 전에 나온 반응은 아무런 강화를 받지 못하고 30초가 지난 후 첫 번째 반응에 강화가 주어지며, 이 시점에서 다시 30초가 지난 후의 첫 번째 반응에 강화가 주어지는 식으로 진행된다.
4. 변동간격 강화계획
변동간격 강화계획에서는 평균적으로 어떤 정해진 시간이 지나간 다음의 첫 번째 반응에 강화가 주어지고, 강화가 주어진 시점에서 다시 평균적으로 정해진 시간이 지난 다음의 첫 번째 반응에 강화가 주어지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변동 간격 10초라는 강화계획이 있다면 어떤 경우에는 10초가 지난 후 첫 번째 반응에 강화가 주어질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15초가 지난 후의 첫 번째 반응에 강화가 주어질 수 있다. 그러나 총 반응 시간을 구하고, 이를 주어진 강화인의 수로 나누면, 평균적으로 10초가 지난 후 첫 번째 반응에 대해 한 번의 비율로 강화가 주어진 경우이다.
VI. 네 가지 강화계획의 평가
위에서 언급한 네 가지 강화계획은 반응패턴과 반응비율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우선 고정비율과 고정간격 강화계획에서는 강화를 받은 후, 일시적으로 반응이 중단되는 특성이 있다. 왜냐하면 강화인의 제공에 대한 예측이 어느 정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비하여 변동비율과 변동간격 강화계획에서는 반응이 중단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나오는 경향이 있다. 이는 강화에 대한 예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비율스케줄과 간격스케줄을 비교할 때, 일반적으로 비율스케줄이 간격스케줄보다 더 높은 반응률을 만들어낸다. 이는 비율스케줄에서는 시간이 아니라, 반응의 수에 따라 강화가 주어지기 때문이다.
VII. 참고문헌
- 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교육이론 / 서강식 저 / 인간사랑 / 2007
- 도덕이론가와 윤리사상가 / 최병학 저 / 부산대학교출판부 / 2012
- 인성교육의 이해와 실천 / 정창우 저 / 교육과학사 / 2015
- 영유아발달 / 황정숙, 김옥분 저 / 창지사 / 2016
- 아동기의 철학 / 개러스 매슈스 저 / 남기창 역 / 필로소픽 / 2013
- 인간성장과 발달이론과 실제 / 성경미, 현명선 외 3명 저 / KMS / 2014
- 최신 교육학개론 / 성태제, 강대중 외 3명 저 / 학지사 / 2012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6.10.04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04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