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에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한문학을 장려하였다. 이에 따라서 한문을 사용하는 유명한 문장가와 시인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박인량은 최초의 설화집인 수이전을 지었다. 박인량은 송에 사신으로 갔을 때 뛰어난 시들을 많이 지었는데 이에 감동을 받아 중국인들이 ‘소화집’이라는 시집을 만들기도 했다.
이러한 가운데 신라 시대에 성행했던 고유의 문학인 향가를 점차 쇠퇴하고 한문학이 발달을 하였다. 고려때의 향가 작품으로는 균여가 지은 보현십원가를 들 수가 있다.
유교가 발달함에 따라 유교적인 역사서들도 저술이 되었다. 고려전기때에는 실록의 편찬도 이루어졌다. 현종은 실록의 편찬을 명하고 왕가도와 황주량에 의해 7개 실록이 편찬되기도 했다.
[삼국사기]
그러나 고려왕조의 7대 왕조 실록은 현재 남아있지가 않다. 7대 실록 이외에도 박인향의 고금록과 홍관의 속편년동재등이 편찬이 되었다. 고려 인종때에는 김부식이 기전체로된 역사책인 삼국사기가 편찬이 되었는데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삼국사기는 현존하는 역사책중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책이다.
삼국사기는 역사서술방식이 중국 사마천이 쓴 사기와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다.
삼구사기는 유교적인 사관에 의하여 쓰여진 것으로 중국이 역사서술방식을 그대로 모방한 것이 하나의 오점이라고 할 수가 있다. 몽골의 침입이 끝난 후에는 민족주의를 강조하는 역사서를 많이 저술되었는데 승려 일연이 저술한 삼국유사를 비롯하여 이승휴가 쓴 제왕운기를 들 수가 있다. 이들 역사서에는 민족의 시조인 단군에 대하여 기술을 하고 있다.
[삼국유사를 저술한 일연]
일연은 당시까지의 역사서술의 틀에서 벗어나서 독자적인 구조로 역사 서술을 하였는데 삼국유사에는 삼국의 역사적인 내용과 함께 불교와 관련된 재미있는 설화들이 많이 수록이 되어있다.
이승휴의 제왕운기는 역사의 서술을 운문체로 서술을 하였는데 대표적인 역사 서사시로도 볼 수가 있다. 또 이규보는 고구려의 역사의식을 새롭게 일깨우면서 주몽에 대한 이야기인 동명왕편을 지었다.
[이규보의 동명왕편]
고려중기인 인종때에 저술된 삼국사기는 지금까지 전하고 있는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역사서로 꼽히고 있다.
그러나 삼국사기는 역사의 서술이 지나치게 중국의 형태를 따랐고 신라 편향적인 내용이 많은 것이 단점으로 지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삼국시대 역사 연구의 가장 중요한 표본으로 삼국사기가 꼽히고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 고려에 대한 역사서인 고려사가 편찬이 되었다.
박인량은 최초의 설화집인 수이전을 지었다. 박인량은 송에 사신으로 갔을 때 뛰어난 시들을 많이 지었는데 이에 감동을 받아 중국인들이 ‘소화집’이라는 시집을 만들기도 했다.
이러한 가운데 신라 시대에 성행했던 고유의 문학인 향가를 점차 쇠퇴하고 한문학이 발달을 하였다. 고려때의 향가 작품으로는 균여가 지은 보현십원가를 들 수가 있다.
유교가 발달함에 따라 유교적인 역사서들도 저술이 되었다. 고려전기때에는 실록의 편찬도 이루어졌다. 현종은 실록의 편찬을 명하고 왕가도와 황주량에 의해 7개 실록이 편찬되기도 했다.
[삼국사기]
그러나 고려왕조의 7대 왕조 실록은 현재 남아있지가 않다. 7대 실록 이외에도 박인향의 고금록과 홍관의 속편년동재등이 편찬이 되었다. 고려 인종때에는 김부식이 기전체로된 역사책인 삼국사기가 편찬이 되었는데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삼국사기는 현존하는 역사책중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책이다.
삼국사기는 역사서술방식이 중국 사마천이 쓴 사기와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다.
삼구사기는 유교적인 사관에 의하여 쓰여진 것으로 중국이 역사서술방식을 그대로 모방한 것이 하나의 오점이라고 할 수가 있다. 몽골의 침입이 끝난 후에는 민족주의를 강조하는 역사서를 많이 저술되었는데 승려 일연이 저술한 삼국유사를 비롯하여 이승휴가 쓴 제왕운기를 들 수가 있다. 이들 역사서에는 민족의 시조인 단군에 대하여 기술을 하고 있다.
[삼국유사를 저술한 일연]
일연은 당시까지의 역사서술의 틀에서 벗어나서 독자적인 구조로 역사 서술을 하였는데 삼국유사에는 삼국의 역사적인 내용과 함께 불교와 관련된 재미있는 설화들이 많이 수록이 되어있다.
이승휴의 제왕운기는 역사의 서술을 운문체로 서술을 하였는데 대표적인 역사 서사시로도 볼 수가 있다. 또 이규보는 고구려의 역사의식을 새롭게 일깨우면서 주몽에 대한 이야기인 동명왕편을 지었다.
[이규보의 동명왕편]
고려중기인 인종때에 저술된 삼국사기는 지금까지 전하고 있는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역사서로 꼽히고 있다.
그러나 삼국사기는 역사의 서술이 지나치게 중국의 형태를 따랐고 신라 편향적인 내용이 많은 것이 단점으로 지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삼국시대 역사 연구의 가장 중요한 표본으로 삼국사기가 꼽히고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 고려에 대한 역사서인 고려사가 편찬이 되었다.
추천자료
한국인 식생활의 역사(원시시대~개화기)
확률의 역사와 실생활에 이용되는 확률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역사
학교상담과 생활지도의 역사 및 현황
한중 일상생활사에 대한 역사 인류학적 접근(젓가락의 닮을과 숟가락의 다름)
일본 스시문화(스시란, 스시 역사, 스시 종류, 생활속 스시), 일본 의복문화(기모노), 일본 ...
[오스트레일리아][호주]오스트레일리아(호주)의 역사, 오스트레일리아(호주)의 의식주, 오스...
생활지도의 역사적 발달
가족생활교육의 발달과 역사
일본 의생활의 역사적 변천과정
일상생활사- 개항이후 집의 역사
일상생활사 쌀의 역사 발표자료 PPT(A+받음)
한국 식생활문화의 변천과정(우리나라 식생활문화 발전과정, 역사, 발달과정)
[가족생활교육]본인의 가족史(태어나서 자란 원가족, 혹은 결혼 등으로 본인이 새로 형성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