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
Ⅱ. 본 론 -------------------------------------------
1. 내과적 무균술
가. 손위생
나. 격리법
다. 개인 보호 장구
1) 가운
2) 마스크
3) 장갑
4) 보안경
2. 외과적 무균술
가. 멸균장갑
나. 멸균영역
다. 외과적 무균 원리와 그와 관련된 활동
Ⅲ. 결 론 --------------------------------------------
Ⅳ. 참고자료 -----------------------------------------
Ⅴ. 참고문헌 -----------------------------------------
Ⅵ. 용어정리 -----------------------------------------
Ⅱ. 본 론 -------------------------------------------
1. 내과적 무균술
가. 손위생
나. 격리법
다. 개인 보호 장구
1) 가운
2) 마스크
3) 장갑
4) 보안경
2. 외과적 무균술
가. 멸균장갑
나. 멸균영역
다. 외과적 무균 원리와 그와 관련된 활동
Ⅲ. 결 론 --------------------------------------------
Ⅳ. 참고자료 -----------------------------------------
Ⅴ. 참고문헌 -----------------------------------------
Ⅵ. 용어정리 -----------------------------------------
본문내용
: 최근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 VRE(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감염 발생이 증가되어 이들의 감염 예방 및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MRSA는 그람 양성 구균으로 페니실린 항생제인 methicillin이나 oxacillin에 내성을 보이는 것이며 VRE는 반코마이신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장내 구균에 의한 감염으로 주로 직·간접 접촉에 의해 전파되며 간혹 비말접촉에 의해 전파되기도 한다.
관리 지침
의료인에게 MRSA, VRE 감염 대상자임을 알려 접촉전파를 예방하도록 한다.
ex) '접촉주의' 스티커부착(침상 대상자카드, 의무기록지)
간호행위 전후의 손위생을 철저히 한다.
오염될 가증성이 있을 경우에는 장갑, 마스크, 가운을 착용할 수 있다.
접촉 격리한다.
- 가능한 한 1일 병실을 이용한다.
- 다인실인 경우는 MRSA, VRE 감염 환자들만 사용하도록 (코호트)격리한다.
물품관리에 주의 한다.
혈압계, 체온계, 청진지, oxymeter sensor 등은 환자 단독으로 사용한다.
기구 및 사용물품 소독 시 다른 환자 물품과 별도로 분리, 수거한다.
퇴원 시 병실을 소독한 후 다른 환자가 사용하도록 한다.
Ⅴ. 참고문헌
김명자 외(2005), 최신기본간호학(상), 현문사, pp506-509
송경애 외(2008),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pp397-400
Ⅵ. 용어정리
용어
뜻, 정의
발음기호
1
medical asepsis
내과적 무균술
감염회로를 차단하여 병원체의 수와 전파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medkl sepsis]
2
hand hygiene
손위생
손 세척, 손 오염제거, 손 소독, 오염제거 손 세척, 손 소독마찰에 모두 사용되는 용어
[hadi:n]
3
상재균
피부, 점막, 비강, 구강, 인두, 소화관, 비뇨 생식기 등에 정주하고 있는 세포군 세균 이외의 미생물을 포함하여 상재미생물총이라고도 한다. 숙주와 공존하여 외래성의 미생물의 침입, 정착을 방지하며, 감염방지의 역할을 한다.
4
isolation
고립
[|as|len]
5
reverse isolation
역방향 차단
신호가 전달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신호의 차단 성능.
[r|v3:rs
|as|len]
6
stopcock
멈춤 꼭지
[|st:pk:k]
7
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모든beta-lactam에 내성이 있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퀴놀론 항생제 등 대부분의 항생제에 강한 내성을 지니고 있어서 치료 중 선택 할 수 있는 항생제가 극히 제한되어 있으며 감염 후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meθsn rzstnt
stfl|k:ks
:ris]
8
VRE(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nfection)
슈퍼 박테리아 감염
9
N95마스크
보통 마스크와는 기능적으로 차별화된 ‘호흡기’에 속한다.
10
surgical asepsis
외과적 무균술
어떠한 미생물이라도 없는 경우 적용되는 용어
[s3:rdkl sepsis]
11
chemical indicators
화학 지시자
[kemkl ndket(r)]
12
surgical cap
외과용 모자
[s3:rdkl]
13
clostridium difficile
인체의 장에서 상존하면서 장염을 일으키는 균.
[klstridim
di:fisi:l]
14
Escherichia coli0157: H7
다른 계통의 대장균에 비해 매우 높은 치사율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5
shigellosis
세균성 이질
대장과 소장을 침범하는 급성 감염성 질환으로 제1군 법정 전염병
[ilousis]
16
Respiratory syncytial virus
기관지염 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resprt:ri
ssitjal]
17
parainfluenza virus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사람·동물 등에 호흡 질환을 일으킴
18
herpes simplex
단순포진
DNA 바이러스인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성기 바깥 부분 및 항문의 피부가 붉게 변하고 물집이 생기며 피부가 짓무르고 헐게 되는 질환이다.
[h3:rpi:z smpleks]
19
impetigo
농가진
주로 여름철에 소아나 영유아의 피부에 잘 발생하는 얕은 화농성 감염을 말한다.
[mp|tago]
20
scabies
옴
옴 진드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피부 질환이다.
[|skebi:z]
21
비말
날아 흩어지거나 튀어 오르는 물방울
22
diphtheriae
디프테리아
위막을 형성하는 비인두염 및 후두기관지염으로 발현되는 호흡기 디프테리아 및 피부 디프테리아가 있다.
23
이하선염
일반적으로 볼거리라 불리는 이 병은 바이러스 원인의 급성 열성 질환으로 침샘 중에서 특히 귀밑샘인 이하선을 침범한다.
24
rubella
풍진
풍진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며 귀 뒤, 목 뒤의 림프절 비대와 통증으로 시작되고 이어 얼굴과 몸에 발진(연분홍색의 홍반성 구진)이 나타난다.
[ru:bel]
25
pertussis
백일해
호흡기 질환으로, ‘흡’ 하는 소리, 발작,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된 14일 이상의 특징적인 기침 양상을 보인다.
[prtsis]
26
pneumonia
폐렴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이다.
[nu:|moni]
27
scarlet fever
성홍열
상기도 감염증(인후염) 발생시 인후통(목의 통증), 발열 및 전신에 퍼지는 닭살 모양의 발진을 보이는 급성 감염성 질환이다.
[sk:rlt]
28
penicillin
페니실린
푸른곰팡이를 배양하여 얻은 항생 물질
[|pen|sln]
29
methicillin
메티실린
페니실린이 듣지 않는 감염에 대해 사용하는 합성 페니실린
[|meθ|sln]
30
oxacillin 옥사실린
반 합성 페니실린
31
oxymeter
산소포화측정기
MRSA는 그람 양성 구균으로 페니실린 항생제인 methicillin이나 oxacillin에 내성을 보이는 것이며 VRE는 반코마이신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장내 구균에 의한 감염으로 주로 직·간접 접촉에 의해 전파되며 간혹 비말접촉에 의해 전파되기도 한다.
관리 지침
의료인에게 MRSA, VRE 감염 대상자임을 알려 접촉전파를 예방하도록 한다.
ex) '접촉주의' 스티커부착(침상 대상자카드, 의무기록지)
간호행위 전후의 손위생을 철저히 한다.
오염될 가증성이 있을 경우에는 장갑, 마스크, 가운을 착용할 수 있다.
접촉 격리한다.
- 가능한 한 1일 병실을 이용한다.
- 다인실인 경우는 MRSA, VRE 감염 환자들만 사용하도록 (코호트)격리한다.
물품관리에 주의 한다.
혈압계, 체온계, 청진지, oxymeter sensor 등은 환자 단독으로 사용한다.
기구 및 사용물품 소독 시 다른 환자 물품과 별도로 분리, 수거한다.
퇴원 시 병실을 소독한 후 다른 환자가 사용하도록 한다.
Ⅴ. 참고문헌
김명자 외(2005), 최신기본간호학(상), 현문사, pp506-509
송경애 외(2008),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pp397-400
Ⅵ. 용어정리
용어
뜻, 정의
발음기호
1
medical asepsis
내과적 무균술
감염회로를 차단하여 병원체의 수와 전파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medkl sepsis]
2
hand hygiene
손위생
손 세척, 손 오염제거, 손 소독, 오염제거 손 세척, 손 소독마찰에 모두 사용되는 용어
[hadi:n]
3
상재균
피부, 점막, 비강, 구강, 인두, 소화관, 비뇨 생식기 등에 정주하고 있는 세포군 세균 이외의 미생물을 포함하여 상재미생물총이라고도 한다. 숙주와 공존하여 외래성의 미생물의 침입, 정착을 방지하며, 감염방지의 역할을 한다.
4
isolation
고립
[|as|len]
5
reverse isolation
역방향 차단
신호가 전달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신호의 차단 성능.
[r|v3:rs
|as|len]
6
stopcock
멈춤 꼭지
[|st:pk:k]
7
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모든beta-lactam에 내성이 있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퀴놀론 항생제 등 대부분의 항생제에 강한 내성을 지니고 있어서 치료 중 선택 할 수 있는 항생제가 극히 제한되어 있으며 감염 후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meθsn rzstnt
stfl|k:ks
:ris]
8
VRE(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nfection)
슈퍼 박테리아 감염
9
N95마스크
보통 마스크와는 기능적으로 차별화된 ‘호흡기’에 속한다.
10
surgical asepsis
외과적 무균술
어떠한 미생물이라도 없는 경우 적용되는 용어
[s3:rdkl sepsis]
11
chemical indicators
화학 지시자
[kemkl ndket(r)]
12
surgical cap
외과용 모자
[s3:rdkl]
13
clostridium difficile
인체의 장에서 상존하면서 장염을 일으키는 균.
[klstridim
di:fisi:l]
14
Escherichia coli0157: H7
다른 계통의 대장균에 비해 매우 높은 치사율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5
shigellosis
세균성 이질
대장과 소장을 침범하는 급성 감염성 질환으로 제1군 법정 전염병
[ilousis]
16
Respiratory syncytial virus
기관지염 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resprt:ri
ssitjal]
17
parainfluenza virus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사람·동물 등에 호흡 질환을 일으킴
18
herpes simplex
단순포진
DNA 바이러스인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성기 바깥 부분 및 항문의 피부가 붉게 변하고 물집이 생기며 피부가 짓무르고 헐게 되는 질환이다.
[h3:rpi:z smpleks]
19
impetigo
농가진
주로 여름철에 소아나 영유아의 피부에 잘 발생하는 얕은 화농성 감염을 말한다.
[mp|tago]
20
scabies
옴
옴 진드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피부 질환이다.
[|skebi:z]
21
비말
날아 흩어지거나 튀어 오르는 물방울
22
diphtheriae
디프테리아
위막을 형성하는 비인두염 및 후두기관지염으로 발현되는 호흡기 디프테리아 및 피부 디프테리아가 있다.
23
이하선염
일반적으로 볼거리라 불리는 이 병은 바이러스 원인의 급성 열성 질환으로 침샘 중에서 특히 귀밑샘인 이하선을 침범한다.
24
rubella
풍진
풍진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며 귀 뒤, 목 뒤의 림프절 비대와 통증으로 시작되고 이어 얼굴과 몸에 발진(연분홍색의 홍반성 구진)이 나타난다.
[ru:bel]
25
pertussis
백일해
호흡기 질환으로, ‘흡’ 하는 소리, 발작,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된 14일 이상의 특징적인 기침 양상을 보인다.
[prtsis]
26
pneumonia
폐렴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이다.
[nu:|moni]
27
scarlet fever
성홍열
상기도 감염증(인후염) 발생시 인후통(목의 통증), 발열 및 전신에 퍼지는 닭살 모양의 발진을 보이는 급성 감염성 질환이다.
[sk:rlt]
28
penicillin
페니실린
푸른곰팡이를 배양하여 얻은 항생 물질
[|pen|sln]
29
methicillin
메티실린
페니실린이 듣지 않는 감염에 대해 사용하는 합성 페니실린
[|meθ|sln]
30
oxacillin 옥사실린
반 합성 페니실린
31
oxymeter
산소포화측정기
추천자료
뇌졸증의 예방과 치료
녹내장(Glaucoma)에 대한 정리
[외상성뇌손상][TBI][뇌손상]외상성뇌손상(TBI)의 정의, 외상성뇌손상(TBI)의 증상, 외상성뇌...
결장직장암
외상성 뇌손상(TBI)의 진단,분류,병태생리,증상,치료,예후
전립선비대증과 경요도전립선 수술. 후 간호
[위선암(위암)][위선암(위암) 개념][위선암(위암) 발생요인][위선암 빈도]위선암(위암)의 개...
종양간호학 위암의 이론정리 및 위암 치료현황
성인간호학 # appendicitis 간호 _ 충수염 간호_
[성인] 망막박리[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RRD)]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성인]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성인] 악성피부암(Malignant melanoma)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무의식과 IICP환자 간호 보고서
당뇨병 (정의, 진단, 증상, 치료과정 등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