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내과적인 관혈적 중재술
가.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PCI 또는 PTCA)
나.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
다. 레이저 박리술
라. 경피적 관상동맥 죽종제거술
마. 기타 방법
바. 중재 후 간호
2. 개흉술을 통한 외과적 중재술
가. 관상동맥 우회술(CABG)
3. 기타 중재술
가. Enhanced External Counterpulsation
나. Transmyocardial Laser Revascularization
다. 내시경적 관상동맥 측관술
라. 최소 침투성 관상동맥우회술
마. 심폐기 사용없는 관상동맥우회술
바. 로봇 심장 수술
Ⅲ. 결론
Ⅳ. 용어정리
Ⅴ. 참고문헌
Ⅱ. 본론
1. 내과적인 관혈적 중재술
가.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PCI 또는 PTCA)
나.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
다. 레이저 박리술
라. 경피적 관상동맥 죽종제거술
마. 기타 방법
바. 중재 후 간호
2. 개흉술을 통한 외과적 중재술
가. 관상동맥 우회술(CABG)
3. 기타 중재술
가. Enhanced External Counterpulsation
나. Transmyocardial Laser Revascularization
다. 내시경적 관상동맥 측관술
라. 최소 침투성 관상동맥우회술
마. 심폐기 사용없는 관상동맥우회술
바. 로봇 심장 수술
Ⅲ. 결론
Ⅳ. 용어정리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량계를 사용하도록 함
설명
심폐기를 사용하지 않고 개심 수술을 실시하는 환자들을 위한 치료 방법
장점
짧은 재원 기간과 사망률 감소, 감염 위험 감소, 저렴한 비용
마. 심폐기 사용 없는 관상동맥 우회술(Off- pump coronary artery bypass)
설명
비교적 덜 침습적인 개심술의 새로운 단계
8~10mm 흉부를 절개해 내시경으로 수술
장점
의사가 수술 절차를 간소화 할 수 있음
접근하기 어려운 부위에 닿을 수 있음
깊이에 대한 인식과 시각의 정확성이 더 높음
입원 기간이 평균 3일로 짧고, 절개도 적어 통증이 감소
심폐기 필요 없고 환자의 불안도 감소
로봇을 활용하기 때문에 원거리 진료도 가능함
단점
컴퓨터 오작동 위험성, 의사의 기술과 능력에 대한 의존성
전통적 수술에 비해 50분 정도 더 오래 걸림
바. 로봇 심장 수술
Ⅲ. 결론
허혈성 심근에 혈류를 증가시켜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방법인 관상동맥 중재술에는 여러 방법이 있는데, 환자의 연령, 건강상태, 협착 및 폐색된 관상동맥의 수, 위치, 크기, 폐색 정도 등을 고려해 방법을 결정한다.
시나리오의 000님이 2년 전 시행한 PCI(PTCA)는 심도자술을 시행하면서 협착된 관상동맥 내로 카테터를 삽입하는 방법이다. 시술 후에는 삽입 부위의 혈전형성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관리가 중요하다. 시술 부위의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해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을 흔히 실시하고 있는데, 이 시술은 확장된 혈관에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해 철망(stent)을 씌어 확장병소를 지지해 주는 방법이다. 하지만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 중 내피세포가 자라면서 스텐트 위를 덮으므로 재협착의 원인이 될 수도 있어 최근에는 특수한 약물을 도포한 약물방출성 스텐트를 삽입하는 시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죽종 절제술은 관상동맥 내의 죽종을 적출해내거나 유화시키는 방법인데, 재협착률이 높아 잘 사용하지 않는다. 관상동맥 우회술은 개흉을 하여 수술하는 방법으로 혈액공급이 감소된 심근에 환자의 혈관을 이용해 우회로를 만들어 주는 심근 재혈관화수술 방법이다. 이외에도 비침습적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혈류를 변화시키는 Enhanced External Counterpulsation방법과 좌심실벽을 통해 허혈성 심근으로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를 이용하는 심근침투성 레이저 혈관재형성술 등이 있다.
000님은 2년 전 시술을 받은 후 다 나았다고 방심하여, 잦은 야근과 회식이 있었고, 스트레스로 인한 흡연을 하였는데, 이들은 심장질환의 위험요소가 되기 때문에 현재 chest pain을 호소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대하여 ICU 간호사인 당신은 그러한 위험요소에 대해 설명하고, 관상동맥 중재술 이후에 대상자가 어떠한 주의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재수술에 대해 불안해하고 있는 아내에게는 여러 검사 후 수술 시행 여부에 대해 설명해주고, 만약에 재수술을 하게 된다면 수술 전 간호계획에 대해서도 설명해 주어야 할 것이다.
Ⅳ. 용어정리
[레포트 용어]
심장압전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막 사이에 혈액이 고여 심장이 꽉 조인 것과 되어 심장의 기능이 떨어지는 병
죽종
(atheroma)
동맥의 벽에 세포 부스러기, 지질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칼슘, 그리고 다양한 결합조직이 쌓여 커진 것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
Enhanced External Counterpulsation
증진된 외부 역박동술
[시나리오 용어]
UAP
unstable angina pectoris 불안정성 협심증
PTCA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
AMI
actue myocardiac infarction 급성 심근경색
CAG
coronary artery angiography 관상동맥 조영술
NTG
nitrogrycerin 관상동맥 혈관확장제
ant. wall MI
anterior lateral wall MI 전측벽 심근경색
variant angina
이형성 협심증
cholecystectomy
담낭 절제술
s/p
status post 상태 후
d/t
due to ~ 때문에
GB
gallbladder 담낭
Ⅳ. 참고문헌
1.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pp. 790~793.
2. 전시자 외(2009).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p. 734~739.
설명
심폐기를 사용하지 않고 개심 수술을 실시하는 환자들을 위한 치료 방법
장점
짧은 재원 기간과 사망률 감소, 감염 위험 감소, 저렴한 비용
마. 심폐기 사용 없는 관상동맥 우회술(Off- pump coronary artery bypass)
설명
비교적 덜 침습적인 개심술의 새로운 단계
8~10mm 흉부를 절개해 내시경으로 수술
장점
의사가 수술 절차를 간소화 할 수 있음
접근하기 어려운 부위에 닿을 수 있음
깊이에 대한 인식과 시각의 정확성이 더 높음
입원 기간이 평균 3일로 짧고, 절개도 적어 통증이 감소
심폐기 필요 없고 환자의 불안도 감소
로봇을 활용하기 때문에 원거리 진료도 가능함
단점
컴퓨터 오작동 위험성, 의사의 기술과 능력에 대한 의존성
전통적 수술에 비해 50분 정도 더 오래 걸림
바. 로봇 심장 수술
Ⅲ. 결론
허혈성 심근에 혈류를 증가시켜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방법인 관상동맥 중재술에는 여러 방법이 있는데, 환자의 연령, 건강상태, 협착 및 폐색된 관상동맥의 수, 위치, 크기, 폐색 정도 등을 고려해 방법을 결정한다.
시나리오의 000님이 2년 전 시행한 PCI(PTCA)는 심도자술을 시행하면서 협착된 관상동맥 내로 카테터를 삽입하는 방법이다. 시술 후에는 삽입 부위의 혈전형성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관리가 중요하다. 시술 부위의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해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을 흔히 실시하고 있는데, 이 시술은 확장된 혈관에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해 철망(stent)을 씌어 확장병소를 지지해 주는 방법이다. 하지만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 중 내피세포가 자라면서 스텐트 위를 덮으므로 재협착의 원인이 될 수도 있어 최근에는 특수한 약물을 도포한 약물방출성 스텐트를 삽입하는 시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죽종 절제술은 관상동맥 내의 죽종을 적출해내거나 유화시키는 방법인데, 재협착률이 높아 잘 사용하지 않는다. 관상동맥 우회술은 개흉을 하여 수술하는 방법으로 혈액공급이 감소된 심근에 환자의 혈관을 이용해 우회로를 만들어 주는 심근 재혈관화수술 방법이다. 이외에도 비침습적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혈류를 변화시키는 Enhanced External Counterpulsation방법과 좌심실벽을 통해 허혈성 심근으로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를 이용하는 심근침투성 레이저 혈관재형성술 등이 있다.
000님은 2년 전 시술을 받은 후 다 나았다고 방심하여, 잦은 야근과 회식이 있었고, 스트레스로 인한 흡연을 하였는데, 이들은 심장질환의 위험요소가 되기 때문에 현재 chest pain을 호소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대하여 ICU 간호사인 당신은 그러한 위험요소에 대해 설명하고, 관상동맥 중재술 이후에 대상자가 어떠한 주의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재수술에 대해 불안해하고 있는 아내에게는 여러 검사 후 수술 시행 여부에 대해 설명해주고, 만약에 재수술을 하게 된다면 수술 전 간호계획에 대해서도 설명해 주어야 할 것이다.
Ⅳ. 용어정리
[레포트 용어]
심장압전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막 사이에 혈액이 고여 심장이 꽉 조인 것과 되어 심장의 기능이 떨어지는 병
죽종
(atheroma)
동맥의 벽에 세포 부스러기, 지질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칼슘, 그리고 다양한 결합조직이 쌓여 커진 것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
Enhanced External Counterpulsation
증진된 외부 역박동술
[시나리오 용어]
UAP
unstable angina pectoris 불안정성 협심증
PTCA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
AMI
actue myocardiac infarction 급성 심근경색
CAG
coronary artery angiography 관상동맥 조영술
NTG
nitrogrycerin 관상동맥 혈관확장제
ant. wall MI
anterior lateral wall MI 전측벽 심근경색
variant angina
이형성 협심증
cholecystectomy
담낭 절제술
s/p
status post 상태 후
d/t
due to ~ 때문에
GB
gallbladder 담낭
Ⅳ. 참고문헌
1.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pp. 790~793.
2. 전시자 외(2009).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p. 734~739.
추천자료
지주막하출혈 성인간호학 SAH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COPD (만성폐쇄성폐질환)
[성인간호학] 하부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성인간호학][지주막하출혈][SAH]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subarachnoid hemarrge)
[성인간호학] SAH 뇌혈관성 장애
[성인간호학] 응급실 뇌출혈 케이스 스터디 (Cerebral hemorrhage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위암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x
[성인간호학] ICU 외상성 지주막하 출혈 케이스 Traumatic Subarachnoid Hemorrhage; T-SAH C...
[성인간호학] 뇌출혈 케이스 Cerebral Hemorrhage CASE STUDY
[성인간호학] Chapter 11. 위장관계 간호 파트 정리 {위장관의 건강과 질병, 위장관장, 위장...
[성인간호학 실습] 뇌내출혈
[성인간호학 실습]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성인간호학 ] Case Study - Acute Bronchitis Pneumonia -
[성인간호학 실습] 신경외과 병동 - Subarachnoid hemorrhage(SAH) 지주막하 출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