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드림스타트 사업의 배경
2. 드림스타트 사업의 특징
3. 드림스타트 사업의 운영
4. 드림스타트 사업의 기능과 내용
5. 드림스타트 사업의 추진경과
6. 드림스타트 사업의 서비스 대상
7. 드림스타트 사업규모 및 예산
8. 드림스타트 사업의 발전 방안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드림스타트 사업의 배경
2. 드림스타트 사업의 특징
3. 드림스타트 사업의 운영
4. 드림스타트 사업의 기능과 내용
5. 드림스타트 사업의 추진경과
6. 드림스타트 사업의 서비스 대상
7. 드림스타트 사업규모 및 예산
8. 드림스타트 사업의 발전 방안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46,193백만원이다. 사업지역 운영비 지원액은 45,700백만원이며, 기본지역에 대하여는 사업지역당 사업운영비 300백만원(서울 67%, 지방 100%)을 지원하고, 신규지역의 경우에는 사업운영비 150백만원(서울 67%, 지방 100%)을 지원한다. 지방자치단체 사업운영 실적에 따라 인근 읍면동으로 단계적으로 전 지역으로 범위 확대가 가능하며, 각 지자체는 지방비를 확보하여 사업지역 확대에 따른 센터의 추가 설치가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2012년부터 해당 시군구의 전 읍면동으로 사업지역을 확대하고 있는데 이에 따른 전담공무원, 아동통합서비스 전문요원, 프로그램 수행에 소요되는 예산은 각 지자체의 지방비로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8. 드림스타트 사업의 발전 방안
최근 선진국에서는 복지고용교육이 연계된 사회적 서비스를 통해 사회적 양극화의 위협에 대응하고 있다. 특히 저소득 아동을 포함한 모든 아동의 인적자본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통합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담보하는 정책을 도입시행중이다. 미국의 Head Start 프로그램의 경우 참여가능한 아동의 연령에 따라 Head Start 프로그램과 Early Head Start 프로그램으로 분리 운영함으로써 저소득 가정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지원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드림스타트 역시 이와 관련된 긍정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즉, 영아기(0~만3세)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유아기(만4세~만6세)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그리고 학령기 취학아동(만7세~만12세)으로 다원화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안정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드림스타트 대상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중앙정부 주도하의 프로그램 전문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각 지방자치단체별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이와 유사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 학교 내 방과 후 활동 등과 차별화가 필요하다. 드림스타트 사업의 수행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좋은 프로그램들에 대한 공통 매뉴얼을 개발하고 적극적인 보급이 필요하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어지는 다른 나라 혹은 우리나라의 아동복지 제도 중 하나를 골라 자세히 조사해 보았다. 드림스타트 사업은 공공전달체계 중심의 지역사회 건강, 복지, 보육 및 교육 협력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수요자의 실제 욕구에 부응하는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이 목적이다. 또한 가난의 대물림을 차단하고 모든 아동에게 공평한 출발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사회적 안전망이다. 취약계층 아동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현재는 당면하고 있는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이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사회적 비용 감소를 위한 예방적 투자이기도 하다. 따라서 아동에 대한 다양한 정책개발과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아동복지연구회, 아동복지 및 정책, 학문사, 2001.
장인협, 아동청소년 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조용남 외, 2012 드림스타트 사업효과성 보고서, 보건복지부, 2013.
8. 드림스타트 사업의 발전 방안
최근 선진국에서는 복지고용교육이 연계된 사회적 서비스를 통해 사회적 양극화의 위협에 대응하고 있다. 특히 저소득 아동을 포함한 모든 아동의 인적자본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통합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담보하는 정책을 도입시행중이다. 미국의 Head Start 프로그램의 경우 참여가능한 아동의 연령에 따라 Head Start 프로그램과 Early Head Start 프로그램으로 분리 운영함으로써 저소득 가정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지원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드림스타트 역시 이와 관련된 긍정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즉, 영아기(0~만3세)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유아기(만4세~만6세)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그리고 학령기 취학아동(만7세~만12세)으로 다원화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안정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드림스타트 대상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중앙정부 주도하의 프로그램 전문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각 지방자치단체별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이와 유사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 학교 내 방과 후 활동 등과 차별화가 필요하다. 드림스타트 사업의 수행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좋은 프로그램들에 대한 공통 매뉴얼을 개발하고 적극적인 보급이 필요하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어지는 다른 나라 혹은 우리나라의 아동복지 제도 중 하나를 골라 자세히 조사해 보았다. 드림스타트 사업은 공공전달체계 중심의 지역사회 건강, 복지, 보육 및 교육 협력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수요자의 실제 욕구에 부응하는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이 목적이다. 또한 가난의 대물림을 차단하고 모든 아동에게 공평한 출발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사회적 안전망이다. 취약계층 아동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현재는 당면하고 있는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이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사회적 비용 감소를 위한 예방적 투자이기도 하다. 따라서 아동에 대한 다양한 정책개발과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아동복지연구회, 아동복지 및 정책, 학문사, 2001.
장인협, 아동청소년 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조용남 외, 2012 드림스타트 사업효과성 보고서, 보건복지부, 201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