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놀이의 이해
(1) 놀이의 이해
(2) 놀이의 신학적 의미
2. 아동 놀이치료의 이해
(1) 아동 놀이치료
(2) 놀이치료의 역사
3. 아동 놀이치료의 실제
(1) 모래놀이치료
(2) 게임 놀이치료
4. 주요 아동정신 병리의 이해와 예방법
(1)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2) 소아기 우울증
(3) 틱장애 / 뚜렛장애
(1) 놀이의 이해
(2) 놀이의 신학적 의미
2. 아동 놀이치료의 이해
(1) 아동 놀이치료
(2) 놀이치료의 역사
3. 아동 놀이치료의 실제
(1) 모래놀이치료
(2) 게임 놀이치료
4. 주요 아동정신 병리의 이해와 예방법
(1)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2) 소아기 우울증
(3) 틱장애 / 뚜렛장애
본문내용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은 식욕감퇴, 두통, 불면, 틱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부모의 노력과 전문 아동상담사의 상담치료가 필수적으로 약물치료 전에 선행되거나 병행되어야 한다.
(2) 소아기 우울증 Eric J. Mash & David A Wolfe,『아동이상심리학』, 조현춘, 송영혜, 조현재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8), 331-392.
소아기 기분장애(Childhood Mood Disorder)-소아기 우울증과 성인기 우울증이 증상에 있어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숙지해야 한다. 소아기 우울장애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증상은 슬픈 모습, 신체적 호소, 정신운동 초조, 분리 불안과 공포감이며 나이가 들수록 무 쾌감증, 절망감, 망상 및 정신운동 지체의 발현빈도가 증가된다. 우울감, 집중력 부족, 불면, 자살 사고는 모든 연령군에서 동일한 빈도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명확한 우울감이나 생리적 증상은 보이지 않은 채 짜증스러운 기분이나 과다행동, 비행, 공격성, 신체적 호소로 위장되어 나타나는 가면성 우울증이 흔하므로 적대적 반항장애나 품행장애와의 감별진단에 유의해야 한다. 소아기 우울장애는 성인기 우울증과 달리 다른 정신과적 문제가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가장 자주 언급되는 공존질환으로는 주의력 결핍/과잉운동장애, 품행장애, 불안장애 등이 있다. 다음은 주요우울 삽화의 DSM-Ⅳ 진단기준이다.
A. 다음 증상 중 5가지 이상이 최소 2주일간 지속되어야 하며, 과거 기능의 변화를 반영해야 한다 : 최소한 한가지 증상은 (1)우울한 기분 또는 (2) 흥미나 쾌락의 상실이어야 한다.
(1) 거의 매일, 하루의 대부분 동안 우울한 기분(또는 소아 및 청소년에서는 과민성 irritability)이 주관적으로 표현되거나 또는 타인에 이해 관찰된다)
(2) 거의 모든 활동에서 흥미나 쾌감이 현저히 저하된다(거의 대부분의 시간동안 주관적으로 호소하거나 객관적으로 타인에 의해 관찰된다)
(3) 식이 조절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현저한 체중감소, 또는 증가(1개월 이내에 체중 5% 이상), 또는 거의 매일 지속되는 식욕의 감소 또는 증가(주: 소아 청소년에서는 기대되는 체중 획득의 실패)
(4) 거의 매일 지속되는 불면 또는 수면과다.
(5) 거의 매일 지속되는 정신운동성 초조 또는 지체(단순히 안절부절하거나 느려진 듯한 주관적 느낌만이 아니라 객관적으로 관찰될 수 있어야 한다)
(6) 거의 매일 지속되는 피로 또는 에너지의 상실
(7) 거의 매일 지속되는 무가치감 또는 과도하거나 부적절한 죄책감(단순한 자책이나 병이 난 데 대한 죄책감이 아니며, 망상적일 수 있다)
(8) 거의 매일 지속되는 사고능력, 또는 집중력의 저하, 또는 우유부단(주관적으로 호소하거나 객관적으로 관찰될 수 있어야 한다)
(9) (죽음에 대한 공포 뿐 아니라) 반복적인 죽음에 대한 관념, 구체적인 계획은 없으나, 반복되는 자살사고, 또는 자살기도 또는 자살기도에 관한 구체적인 계획
B. 증상이 혼재성 삽화 MIXED EPISODE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아야 한다.
C. 증상이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장해를 일으킨다.
D. 증상이 물질(예: 약물남용, 투약)이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예: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에 의한 것이 아니다.
E. 증상이 사별에 의한 증상으로 설명 되어질 수 없다. 즉,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 후에 증상이 2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현저한 기능장해, 무가치감에 대한 병적 집착, 자살사고, 정신병적 증상 혹은 정신운동지체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3) 틱장애 / 뚜렛장애 Eric J. Mash & David A Wolfe,『아동이상심리학』, 조현춘, 송영혜, 조현재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8), 182.
A. 틱장애
운동 틱(motor tic)은 눈, 머리, 어깨, 입, 손 부위를 갑자기 움직이는 특이한 동작이 반복되는 경우로서 단순 운동 틱과 복합 운동 틱으로 구분된다. 단순 운동 틱은 하나의 근육집단이 수축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눈 깜빡거리기, 얼굴 찡그리기, 머리 휘젓기, 입 벌리기, 어깨 움츠리기, 목을 경련하듯이 갑자기 움직이기 등으로 나타난다. 반면, 복합 운동 틱은 여러 근육 집단의 수축과 관계되는 것으로서 특이한 얼굴 표정 짓기, 손짓하는 행동, 뛰어오르기, 발 구르기를 비롯하여 상당히 복잡한 행동들로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음성 틱(vocal tic)은 갑자기 소리를 내는 행동으로서 헛기침하기, 킁킁거리기, 컥컥거리기, 엉뚱한 단어나 구절을 반복하기, 외설스런 단어를 반복하기 등이 있다. 이러한 틱은 당사자에게 저항할 수 없는 것으로 경험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일시적으로 억제될 수도 있다. 모든 형태의 틱은 스트레스를 받는 동안에는 악화되는 반면, 편안한 상태로 어떤 활동에 집중할 때는 감소된다.
B. 뚜렛장애
뚜렛장애(Tourette's disorder)는 다양한 운동 틱과 음성 틱이 1년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로서 틱장애 중에서 가장 심각한 유형이다. 1885년 프랑스 의사인 Tourette가 처음으로 이런 증후군을 기술하였으며 그의 이름을 따라 뚜렛 장애라고 불리고 있다. 뚜렛장애에서 운동 틱이 나타나는 신체부위, 빈도 및 심각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한다. 흔히 초기에는 틱이 얼굴과 목에 나타나고 점차로 몸통이나 신체 하부로 이동하면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음성 틱은 헛기침하기, 코를 킁킁거리기, 목을 그르렁거리기에서부터 음란한 말을 내뱉거나 상대방의 말을 따라하는 경우까지 다양하다. 뚜렛 장애에서는 이러한 운동 틱과 음성 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데 그 심한 정도는 매우 다양하다. 심한 경우에는 마치 로봇 춤을 추듯 복잡한 형태의 틱증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아울러 주의가 산만하고 충동적인 경향이 있으며, 틱증상으로 인해 사회적 상황을 피하고 우울감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점에서 뚜렛장애는 사회적, 학업적, 직업적 기능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한다. 뚜렛장애의 일반적인 치료방법은 상담치료와 약물치료이다.
(2) 소아기 우울증 Eric J. Mash & David A Wolfe,『아동이상심리학』, 조현춘, 송영혜, 조현재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8), 331-392.
소아기 기분장애(Childhood Mood Disorder)-소아기 우울증과 성인기 우울증이 증상에 있어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숙지해야 한다. 소아기 우울장애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증상은 슬픈 모습, 신체적 호소, 정신운동 초조, 분리 불안과 공포감이며 나이가 들수록 무 쾌감증, 절망감, 망상 및 정신운동 지체의 발현빈도가 증가된다. 우울감, 집중력 부족, 불면, 자살 사고는 모든 연령군에서 동일한 빈도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명확한 우울감이나 생리적 증상은 보이지 않은 채 짜증스러운 기분이나 과다행동, 비행, 공격성, 신체적 호소로 위장되어 나타나는 가면성 우울증이 흔하므로 적대적 반항장애나 품행장애와의 감별진단에 유의해야 한다. 소아기 우울장애는 성인기 우울증과 달리 다른 정신과적 문제가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가장 자주 언급되는 공존질환으로는 주의력 결핍/과잉운동장애, 품행장애, 불안장애 등이 있다. 다음은 주요우울 삽화의 DSM-Ⅳ 진단기준이다.
A. 다음 증상 중 5가지 이상이 최소 2주일간 지속되어야 하며, 과거 기능의 변화를 반영해야 한다 : 최소한 한가지 증상은 (1)우울한 기분 또는 (2) 흥미나 쾌락의 상실이어야 한다.
(1) 거의 매일, 하루의 대부분 동안 우울한 기분(또는 소아 및 청소년에서는 과민성 irritability)이 주관적으로 표현되거나 또는 타인에 이해 관찰된다)
(2) 거의 모든 활동에서 흥미나 쾌감이 현저히 저하된다(거의 대부분의 시간동안 주관적으로 호소하거나 객관적으로 타인에 의해 관찰된다)
(3) 식이 조절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현저한 체중감소, 또는 증가(1개월 이내에 체중 5% 이상), 또는 거의 매일 지속되는 식욕의 감소 또는 증가(주: 소아 청소년에서는 기대되는 체중 획득의 실패)
(4) 거의 매일 지속되는 불면 또는 수면과다.
(5) 거의 매일 지속되는 정신운동성 초조 또는 지체(단순히 안절부절하거나 느려진 듯한 주관적 느낌만이 아니라 객관적으로 관찰될 수 있어야 한다)
(6) 거의 매일 지속되는 피로 또는 에너지의 상실
(7) 거의 매일 지속되는 무가치감 또는 과도하거나 부적절한 죄책감(단순한 자책이나 병이 난 데 대한 죄책감이 아니며, 망상적일 수 있다)
(8) 거의 매일 지속되는 사고능력, 또는 집중력의 저하, 또는 우유부단(주관적으로 호소하거나 객관적으로 관찰될 수 있어야 한다)
(9) (죽음에 대한 공포 뿐 아니라) 반복적인 죽음에 대한 관념, 구체적인 계획은 없으나, 반복되는 자살사고, 또는 자살기도 또는 자살기도에 관한 구체적인 계획
B. 증상이 혼재성 삽화 MIXED EPISODE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아야 한다.
C. 증상이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장해를 일으킨다.
D. 증상이 물질(예: 약물남용, 투약)이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예: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에 의한 것이 아니다.
E. 증상이 사별에 의한 증상으로 설명 되어질 수 없다. 즉,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 후에 증상이 2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현저한 기능장해, 무가치감에 대한 병적 집착, 자살사고, 정신병적 증상 혹은 정신운동지체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3) 틱장애 / 뚜렛장애 Eric J. Mash & David A Wolfe,『아동이상심리학』, 조현춘, 송영혜, 조현재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8), 182.
A. 틱장애
운동 틱(motor tic)은 눈, 머리, 어깨, 입, 손 부위를 갑자기 움직이는 특이한 동작이 반복되는 경우로서 단순 운동 틱과 복합 운동 틱으로 구분된다. 단순 운동 틱은 하나의 근육집단이 수축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눈 깜빡거리기, 얼굴 찡그리기, 머리 휘젓기, 입 벌리기, 어깨 움츠리기, 목을 경련하듯이 갑자기 움직이기 등으로 나타난다. 반면, 복합 운동 틱은 여러 근육 집단의 수축과 관계되는 것으로서 특이한 얼굴 표정 짓기, 손짓하는 행동, 뛰어오르기, 발 구르기를 비롯하여 상당히 복잡한 행동들로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음성 틱(vocal tic)은 갑자기 소리를 내는 행동으로서 헛기침하기, 킁킁거리기, 컥컥거리기, 엉뚱한 단어나 구절을 반복하기, 외설스런 단어를 반복하기 등이 있다. 이러한 틱은 당사자에게 저항할 수 없는 것으로 경험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일시적으로 억제될 수도 있다. 모든 형태의 틱은 스트레스를 받는 동안에는 악화되는 반면, 편안한 상태로 어떤 활동에 집중할 때는 감소된다.
B. 뚜렛장애
뚜렛장애(Tourette's disorder)는 다양한 운동 틱과 음성 틱이 1년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로서 틱장애 중에서 가장 심각한 유형이다. 1885년 프랑스 의사인 Tourette가 처음으로 이런 증후군을 기술하였으며 그의 이름을 따라 뚜렛 장애라고 불리고 있다. 뚜렛장애에서 운동 틱이 나타나는 신체부위, 빈도 및 심각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한다. 흔히 초기에는 틱이 얼굴과 목에 나타나고 점차로 몸통이나 신체 하부로 이동하면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음성 틱은 헛기침하기, 코를 킁킁거리기, 목을 그르렁거리기에서부터 음란한 말을 내뱉거나 상대방의 말을 따라하는 경우까지 다양하다. 뚜렛 장애에서는 이러한 운동 틱과 음성 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데 그 심한 정도는 매우 다양하다. 심한 경우에는 마치 로봇 춤을 추듯 복잡한 형태의 틱증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아울러 주의가 산만하고 충동적인 경향이 있으며, 틱증상으로 인해 사회적 상황을 피하고 우울감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점에서 뚜렛장애는 사회적, 학업적, 직업적 기능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한다. 뚜렛장애의 일반적인 치료방법은 상담치료와 약물치료이다.
추천자료
정신지체아와 치료레크리에이션의 적용 (놀이치료)
[장애인 재활] 치료 레크리에이션, 놀이치료의 개념과 발달과정 및 목적과 기법 분석
가족놀이치료
[심리치료]심리치료 놀이치료,발달놀이,음악치료,독서치료,미술치료,집단상담
(A+ 놀이치료) 놀이치료의 시작, 단계, 특징과 놀이치료의 필요성 및 놀이치료의 기대효과 분...
(A+ 놀이치료) 놀이치료의 시작, 단계, 특징과 놀이치료의 필요성 및 놀이치료의 기대효과 분...
발달놀이치료와 놀이치료를 비교 분석
놀이치료 기법중 자신이 2가지를 선택하여 관련된 사례를 정리
놀이치료 기법 중 자신이 2가지를 선택하여 관련된 사례를 정리.
★추천자료★[아들러식 심리치료 Adlerian Play Therapy] 아들러의 놀이치료, 아들러 생애, 아...
[게임game 놀이 치료] 게임 놀이 치료 특성, 게임놀이치료 목표, 게임놀이치료 도구, 게임놀...
[놀이치료] 놀이의 치료적 가치에 대해 서술하시오 [놀이치료]
놀이치료)놀이치료슈퍼비전 및 상담 슈퍼비전과 관련된 논문을 요약하시오.
자신이 생각하는 놀이치료에서의 치료사의 특성과 자질에 대해 서술 - 놀이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