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모듈생산방식의 정의와 특징
Ⅲ. 필요성
1. 기업 관점
2. 소비자 관점
Ⅳ. 결론
Ⅴ. 참고자료
Ⅱ. 모듈생산방식의 정의와 특징
Ⅲ. 필요성
1. 기업 관점
2. 소비자 관점
Ⅳ. 결론
Ⅴ. 참고자료
본문내용
의 도입 이후 계획 진행률이 과거 70% 수준에서 95%수준으로 격상하였으며 부품재고율도 0.8일까지 떨어졌다.
2. 소비자 관점
경제학에서는 시장의 유형을 시장지배력과 공급자의 수를 기준으로 ‘독점’, ‘과점’, ‘완전경쟁’, ‘독점경쟁’ 네 가지로 구분하고는 한다. 기존의 시장은 대량생산에 따른 비용절감에 힘입은 규모의 경제 효과 때문에 대부분 ‘독점’ 혹은 ‘과점’ 시장의 형태를 갖고 있었다. 하지만 모듈생산방식은 이러한 시장을 독점경쟁시장으로 전환시키는 힘을 가질 수 있다. 독점경쟁시장이란 완전경쟁시장과 비슷하게 다수의 공급자가 존재하고 진입장벽이 낮다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가장 큰 차이점은 ‘제품차별화’가 되어 있다는 것이다. 특히 모듈생산방식을 사용할 경우 상품차별화가 기업별로 되는 것이 아니라 한 기업에서도 다양한 상품이 나올 수 있으므로 독점경쟁시장의 이점이 더욱 더 극대화 될 것이라 예상 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한계비용(MC)과 한계수입(MR)이 일치하는 점에서 생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격이 한계수입보다 높고, 장기평균비용곡선의 좌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휴시설이 존재하여 완전경쟁시장에 비해 다소 비효율적인 자원배분이 일어날 수는 있지만 이는 제품차별화에 대한 대가라 생각 할 수 있으며 독점과 과점에 비해 소비자잉여가 증가하고 잉여로 측정되지 않는,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에 부합하는 갖가지 상품이 생산되어 실질적인 소비자의 만족은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Ⅳ. 결론
앞서 살핀바와 같이 생산, 소비자, 시장 등의 환경이 변화해감에 따라 기업 또한 바뀌어야 한다. 특히 모듈화 또는 모듈생산방식의 도입은 통합적 유연화방식으로 소비자의 잉여를 기업이 착취하거나 반대로 기업의 손해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잉여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양자의 효용이 모두 증가할 수 있는 파레토 개선이 가능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화를 거부한 체 기존의 대량생산 방식을 따라가는 것은 동태적 비효율성에 처한 상황이라 평할 수 있으며 시대에 발맞추어 소비자를 대하는 자세와 생산방식을 재설계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Ⅴ. 참고자료
『설비생산성 향상을 위한 모듈러 배치의 시뮬레이션 연구』 이성규
『생산방식 변화에 따른 노동조합의 성격변화 -모듈 생산 도입을 중심으로』 이홍일
『모듈생산에 따른 생산방식 변화에 관한 연구』 정명기
『공리적 접근을 이용한 모듈러 모바일 폰의 개념 설계』 차성운, 김민수, 이경수
2. 소비자 관점
경제학에서는 시장의 유형을 시장지배력과 공급자의 수를 기준으로 ‘독점’, ‘과점’, ‘완전경쟁’, ‘독점경쟁’ 네 가지로 구분하고는 한다. 기존의 시장은 대량생산에 따른 비용절감에 힘입은 규모의 경제 효과 때문에 대부분 ‘독점’ 혹은 ‘과점’ 시장의 형태를 갖고 있었다. 하지만 모듈생산방식은 이러한 시장을 독점경쟁시장으로 전환시키는 힘을 가질 수 있다. 독점경쟁시장이란 완전경쟁시장과 비슷하게 다수의 공급자가 존재하고 진입장벽이 낮다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가장 큰 차이점은 ‘제품차별화’가 되어 있다는 것이다. 특히 모듈생산방식을 사용할 경우 상품차별화가 기업별로 되는 것이 아니라 한 기업에서도 다양한 상품이 나올 수 있으므로 독점경쟁시장의 이점이 더욱 더 극대화 될 것이라 예상 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한계비용(MC)과 한계수입(MR)이 일치하는 점에서 생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격이 한계수입보다 높고, 장기평균비용곡선의 좌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휴시설이 존재하여 완전경쟁시장에 비해 다소 비효율적인 자원배분이 일어날 수는 있지만 이는 제품차별화에 대한 대가라 생각 할 수 있으며 독점과 과점에 비해 소비자잉여가 증가하고 잉여로 측정되지 않는,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에 부합하는 갖가지 상품이 생산되어 실질적인 소비자의 만족은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Ⅳ. 결론
앞서 살핀바와 같이 생산, 소비자, 시장 등의 환경이 변화해감에 따라 기업 또한 바뀌어야 한다. 특히 모듈화 또는 모듈생산방식의 도입은 통합적 유연화방식으로 소비자의 잉여를 기업이 착취하거나 반대로 기업의 손해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잉여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양자의 효용이 모두 증가할 수 있는 파레토 개선이 가능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화를 거부한 체 기존의 대량생산 방식을 따라가는 것은 동태적 비효율성에 처한 상황이라 평할 수 있으며 시대에 발맞추어 소비자를 대하는 자세와 생산방식을 재설계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Ⅴ. 참고자료
『설비생산성 향상을 위한 모듈러 배치의 시뮬레이션 연구』 이성규
『생산방식 변화에 따른 노동조합의 성격변화 -모듈 생산 도입을 중심으로』 이홍일
『모듈생산에 따른 생산방식 변화에 관한 연구』 정명기
『공리적 접근을 이용한 모듈러 모바일 폰의 개념 설계』 차성운, 김민수, 이경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