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심리학_팀, 조직 또는 조직의 구성원이 팀에서의 수행 평가시 사회적 태만이 발생할 수 있는 3가지 경우에 관하여 사례와 함께 쓰고, 방안을 제시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직심리학_팀, 조직 또는 조직의 구성원이 팀에서의 수행 평가시 사회적 태만이 발생할 수 있는 3가지 경우에 관하여 사례와 함께 쓰고, 방안을 제시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팀이란
-사회적 태만
-효과적인 팀 구성 방안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성 다른 기술 및 능력을 사용할 수 있는 기회 기술의 다양성 과업이나 제품을 완성할 수 있는 능력과 과업을 향상시켜야 한다.
3. 결론
사회적 태만의 반대 개념으로 사회적 촉진이 있다. 1898년 트리플렛이라는 사람은 사이클 선수들이 혼자 달릴 때보다는 여럿이 함께 달릴 때 더 속도가 빠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다른 모든 조건은 같았는데도 불구하고 누군가가 나와 비슷한 속도로 옆에서 같이 달린다는 사실만으로도 선수들은 저절로 더 빠른 속도를 낸 것이다. 그래서 그는 이걸 실험으로 확인 해보기로 했다. 그는 아이들에게 릴낚싯대를 주고 낚싯줄을 감아올리게 해보았다. 역시 혼자서 낚싯줄을 감을 EO보다는 낚싯줄을 감는 다른 아이가 옆에 있을 때 아이들은 더 빨리 낚싯줄을 감아올렸다. 트리플렛의 이 실험은 세계 최초의 사회심리학 실험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그가 발견한 현상, 즉 단지 옆에 누군가 있다는 것만으로도 우리의 행동이 효율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사회적 촉진’이라고 부른다. 이처럼 일반적으로 타인이 존재하게 되면 개인의 수행 량이 늘어난다. 사회적 촉진이 일어나는 이유는 타인의 존재가 동기를 더 강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사회적 태만을 줄이기 위해서는 이처럼 사회적 촉진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을 찾아보아야 한다. 또 하나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마음가짐이다. 자신이 뭘 해도 도움이 안 될 거야라든지 이런 자괴감에 빠지거나 일하기 싫어하는 마음을 가진다면 아무리 효과적인 팀을 짠다고 해도 능률이 오르지 않고 사회적 태만이 생겨날 것이다.
4. 참고문헌
조직행동론. 강정애. 2008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6.12.28
  • 저작시기201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53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