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아 놀이에서의 교사 개입에 대한 부정적 관점 · 긍정적 관점
1) 유아 놀이에서의 교사 개입이란
2) 부정적 관점
3) 긍정적 관점
4) 교사 개입에 관한 연구
2. 놀이에서의 교사 개입
3. 놀이에서의 교사 역할
1) 계획, 조직하는 역할
2) 관찰하는 역할
3) 상호작용하는 역할
4) 감독하는 역할
5) 평가하는 역할
참고문헌
1) 유아 놀이에서의 교사 개입이란
2) 부정적 관점
3) 긍정적 관점
4) 교사 개입에 관한 연구
2. 놀이에서의 교사 개입
3. 놀이에서의 교사 역할
1) 계획, 조직하는 역할
2) 관찰하는 역할
3) 상호작용하는 역할
4) 감독하는 역할
5) 평가하는 역할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황에 따라 놀이하는 유아를 말 없이 응시하는 비구조적인 방법에서부터 격려, 질문, 개입, 지도 등 적극적인 개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Smilansky(1968)는 연구에서 교사가 유아의 사회극놀이에 참여하여 놀이를 지도함으로써 놀이가 양적 질적으로 향상한다고 하였다. 우리나라의 여러 연구에서도 교사가 극놀이에 참여하여 지도한 결과, 긍정적인 효과가 보고되었다.
4) 감독하는 역할
교사는 유아들이 놀이하는 동안 안전한 환경에서 편안한 마음으로 놀이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는 놀잇감이 위험하고 파괴적인지 살펴보아야 하며 놀이과정에서 공격적인 행동이 있는지 또한 놀잇감을 교육목적과 용도에 맞게 사용하는 지를 감독하여야 한다.
5) 평가하는 역할
교사는 놀이를 통해 유아의 발달과 학습 정도를 평가하여야 한다. 또한 놀이의 참여 및 흥미 역시 평가하여야 한다. 이를 토대로 놀이가 교육의 효율적인 수단이며 매체가 되도록 한다. 한편 Seefeldt(1987)은 놀이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하였다.
첫째, 교사의 태도는 놀이적(playful)이어야 한다. 즉 교사들은 유아와 함께할 때 더욱 즐겁고 놀이적일 필요가 있으며 훌륭한 유머와 인내심을 가지고 예기치 못한 상황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교사의 개입은 적절하여야 한다. 놀이를 자극하는 교사의 역할이 과잉 주도로 나타나면 놀이를 방해하고 놀이의 본질을 잃게 하는 활동, 즉 교사 주도적 작업이 된다. 그러므로 유아의 놀이를 지지하면서 교수원리의 한 접근으로 통합시키려면 교사는 놀이에 따라 적절한 방법과 적절한 시기에 개입을하여 유아의 놀이가 학습의 결과가 있는 교육적 놀이가 되도록 한다.
셋째, 교사의 자료제공은 계획적이어야 한다. 즉 새로운 자료와 상황들을 친숙한 것과 균형 있게 효과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넷째, 교사는 협동적인 놀이를 제공하여야 한다.
다섯째, 교사는 가치 있는 경험을 제공하여야 한다. 즉 교사는 다양한 문화적, 사회적, 언어적, 창의적, 심미적 그리고 구성요소가 섞여 있는 활동을 제공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오미경, 이은미 외 저, 놀이지도, 공동체 2016
신혜원, 민성혜 외 저, 보육 교사론, 양서원 2016
이숙재 저, 영유아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14
권혜진, 김경은 외 저, 아이와 교사가 즐거운 놀이지도, 양서원 2016
하정연, 좌승화 외 저, 영유아 놀이지도, 공동체 2015
4) 감독하는 역할
교사는 유아들이 놀이하는 동안 안전한 환경에서 편안한 마음으로 놀이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는 놀잇감이 위험하고 파괴적인지 살펴보아야 하며 놀이과정에서 공격적인 행동이 있는지 또한 놀잇감을 교육목적과 용도에 맞게 사용하는 지를 감독하여야 한다.
5) 평가하는 역할
교사는 놀이를 통해 유아의 발달과 학습 정도를 평가하여야 한다. 또한 놀이의 참여 및 흥미 역시 평가하여야 한다. 이를 토대로 놀이가 교육의 효율적인 수단이며 매체가 되도록 한다. 한편 Seefeldt(1987)은 놀이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하였다.
첫째, 교사의 태도는 놀이적(playful)이어야 한다. 즉 교사들은 유아와 함께할 때 더욱 즐겁고 놀이적일 필요가 있으며 훌륭한 유머와 인내심을 가지고 예기치 못한 상황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교사의 개입은 적절하여야 한다. 놀이를 자극하는 교사의 역할이 과잉 주도로 나타나면 놀이를 방해하고 놀이의 본질을 잃게 하는 활동, 즉 교사 주도적 작업이 된다. 그러므로 유아의 놀이를 지지하면서 교수원리의 한 접근으로 통합시키려면 교사는 놀이에 따라 적절한 방법과 적절한 시기에 개입을하여 유아의 놀이가 학습의 결과가 있는 교육적 놀이가 되도록 한다.
셋째, 교사의 자료제공은 계획적이어야 한다. 즉 새로운 자료와 상황들을 친숙한 것과 균형 있게 효과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넷째, 교사는 협동적인 놀이를 제공하여야 한다.
다섯째, 교사는 가치 있는 경험을 제공하여야 한다. 즉 교사는 다양한 문화적, 사회적, 언어적, 창의적, 심미적 그리고 구성요소가 섞여 있는 활동을 제공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오미경, 이은미 외 저, 놀이지도, 공동체 2016
신혜원, 민성혜 외 저, 보육 교사론, 양서원 2016
이숙재 저, 영유아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14
권혜진, 김경은 외 저, 아이와 교사가 즐거운 놀이지도, 양서원 2016
하정연, 좌승화 외 저, 영유아 놀이지도, 공동체 2015
추천자료
[유아교육] 놀이지도 모의수업 단위 활동 계획안 (운동놀이)
유아의 놀이지도시 중요한점(본인생각위주로 작성)
[유아교육, 놀이지도] 조작영역, 조작놀이에 대한 발표자료
툴립선생님을 읽고나서 영아기 놀이지도에 대한 교사의 역할
유아전통놀이 지도
유아에게 놀이지도가 필요한 이유
[유아수/과학지도] 유아 수학교육의 통합적 교수-학습 방법 - 신문 활용을 통한 접근방법과 ...
보육실습, 유아놀이 및 일과지도(이야기나누기, 동화, 동시, 동극) PPT자료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0-1세 교육계획 및 운영 _ 교육계획, 일과운영(먹기, 기저귀 ...
[놀이의 중요성] 유아들에게 놀이의 중요성, 놀이에서 부모와 교사의 역할 - 유아들에게 놀이...
(놀이지도 A형) ‘누리과정’의 자연탐구영역에 제시된 내용범주에 근거하여 ‘규칙성’개념을 만...
자유선택놀이시 교사의 관찰과 개입
영유아의 놀이 종류와 교사의 역할에 대해 서술 : 놀이
놀이지도)현장유아교육기관에서 적용할 수 있는 유아발달에 적합한 연령별 놀이를 계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