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MI 심근경색 케이스 스터디 A+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내과) MI 심근경색 케이스 스터디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일반적 사항
Ⅱ. 현재 건강력 사정
Ⅲ. 간호 사정
Ⅳ. 신체검진
Ⅷ. 간호진단
Ⅸ.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킨다.
6. 적절한 영양식이를 하도록 한다.
7. 대상자가 적당한 휴식을 취하게 한다.
8. 대상자에게 열, 오한 등의 감염증상에 대해 교육한다.
9. 개인적인 청결 습관을 강화시킨다.
1. 감염시 체온, 호흡, 맥박이 상승된다.
2. 신체 면역 체계와 관련한다.
3. 수술 부위가 감염의 통로가 될 수 있다.
4. 감염 예방의 가장 기본적인 행동원칙이다.
5. 감염원과 1차적으로 닿는 면역에 취약한 부분이다.
6. 좋은 영양은 면역력을 키워준다.
7. 휴식을 취하면 면역력을 키워준다.
8. 대상자가 감염증상을 알아야 빠른 처치가 가능하다.
9. 대상자 스스로가 청결해야 감염의 예방에 효율적이다.
1. 2시간마다 V/S을 측정하였다. 혈압은 높았지만 체온 등의 다른 Sign은 정상이었다.
(V/S표 참고)
2. 백혈구수를 사정하였다.
백혈구 수는 정상이었다.
결 과
11/14
11/15
11/16
14:04
19:30
1:38
8:41
5.05
4.86
6.19
5.64
5.15
3. 수술 부위를 매일 사정하였다. 감염이나 합병증의 징후는 나타나지 않았다.
4. 대상자 처치 이전에 철저한 손씻기를 실시하였다.
5. 정맥 내 시술과 드레싱 교환 시 무균법을 시행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6. 대상자는 충분한 영양섭취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7. 대상자가 편안히 머무르도록 하기위해 다른 환자들과 보호자에게 병실에서 조용히 하도록 교육하였다.
8. 대상자에게 열, 오한 등이 나타나면 즉시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9. 대상자를 하루에 한번 침상에서 젖은 수건으로 닦이도록 하고 손톱에 때가 끼지 않게 그러나 상처가 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깍이도록 보호자에게 설명하였다.
1. V/S이 정상 범위를 유지하였다.
(V/S표 참고)
2. 대상자의 WBC 수치가 정상을 유지하였다.
3. 대상자는 약간 부족한 영양상태였지만 면역력이 저하될 정도는 아니었다.
4. 대상자는 수술부위를 만지지 않았고, 가능한 폐쇄적인 dressing을 유지하기 위해 거동할 때 조심했다.
#4. 금식, 오심, 구토, 식욕부진, 영양소의 흡수저하와 관련된 영양부족
사정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약을 많이 들어가서 그런가 영 속이 미스껍고 안좋네”
“당뇨식이라 그런가 밥이 잘 안넘어가”

1. 대상자의 몸무게가 줄어들었다.
입원당시
: 64.5kg
11/17몸무게
: 62.7kg
I
O
11/15
2740
2090
11/16
2360
2910
11/17
1900
1905
11/18
1700
1625
2. I/O data를 보면 다음과 같다.
3. PTCA시행을 위해 8시간동안 NPO 하였다. (11/15)
4. PTCA 시행 후 부동을 유지하여 소화흡수가 저하되었다. (11/15)
5. 대상자는 대부분 침상안전을 취하고 있어 소화작용이 저하되어있다.
6. 외향적으로 매우 지쳐있고 이전보다 마른 모습이다.
검사명
결 과
11/14
11/15
11/16
7:05
12:55
Total
protein
5.3▼
6.2▼
4.4▼
4.3▼
Albumin
3.1▼
3.7▼
2.6▼
2.7▼
7. 대상자의 생화학검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정상 체중범위를 유지한다.
<단기 목표>
1. 대상자는 더 이상의 체중감소가 없다.
2. 대상자의 섭취량과 배설량의 균형이 유지된다.
3. Total protein, Albumin이 정상범위에 있다.
4. 정상적인 배설양상을 보인다.
1. 대상자의 몸무게를 매일 측정한다.
2. 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한다.
3. 대상자의 외향을 사정한다.
4. 대상자의 V/S을 2시간마다 사정한다.
5.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6. 가그린을 이용하여 구강청결을 유지한다.
7. 대상자에게 심부담이 되지 않을 정도의 움직임을 격려하여 소화운동을 촉진시켜준다.
1. 체중은 쉽게 알 수 있는 영양기본 척도로 체중의 증감은 영양상태를 반영하며 영양결핍 시 체중감소가 나타난다.
2. 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하면 영양흡수가 어느정도 되고 있는지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3. 영양결핍 시 피부가 거칠어지고 피하지방층이 얇아지며 근육의 긴장성이 상실된다.
4. 영양결핍 시 혈압이 내려간다.
5. 혈액학적 검사, 알부민, Protein 등의 검사는 영양 상태를 평가하는 객관적 기준이 된다.
6. 구강을 청결히 유지하면 식욕을 좀더 올려준다.
7. 부동일 때 보다 움직이면 소화에 도움이 된다.
1. 대상자의 체중을 매일 측정하였다.
입원당시 : 64.5kg
11/15 : 63.8kg
11/16 : 63.0kg
11/17 : 62.7kg
11/18 : 62.2kg
2. 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하였다.
blance가 맞지 않았다.
I
O
11/15
2740
2090
11/16
2360
2910
11/17
1900
1905
11/18
1700
1625
3. 대상자의 외향을 사정하였다. 다소 피부가 거칠고 탄력성이 저하된 모습이었다.
4. 2시간마다 대상자의 V/S을 측정하였다. 심근경색의 문제 때문에 혈압은 정확한 영양부족의 지표가 되지못하였다.
5.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하였다. 다소 낮은 결과를 보였다.
Total protein검사명
결 과
11/15
11/16
Total
protein
4.4▼
4.3▼
Albumin
2.6▼
2.7▼
정상치 :
6.7~8.3gm/dL
Albumin 정상치 :
3.8~5.3gm/dL
6. 식후 가그린을 이용하여 구강 청결을 유지하였다.
7. 대상자는 가끔씩 화장실을 왔다갔다하며 조금씩 움직였다.
1. 대상자의 체중은 계속적으로 줄어들었다.
2. 대상자의 섭취량과 배설량의 균형이 유지되지 않았다.
3. CBC, 혈중 알부민, Protein이 정상범위에 있지 않다.
4. 대상자는 가끔씩 설사를 보이는 등의 정상적인 배설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Ⅸ.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ⅠⅡ, 이향련 외, 수문사, 2010
○ 기본간호학 ⅠⅡ, 손정태 외, 현문사, 2009
○ 성인간호학 Ⅰ 프로토콜, 최은옥, 2010
<인터넷>
http://www.kmle.co.kr/
네이버 지식백과 - 서울대학교병원 제공
  • 가격1,5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7.01.23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71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