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공임신중절술
1) 임신중절술의 종류
2) 임신 1기의 인공임신중절
3) 임신 2기의 인공임신중절
4) 인공임신중절의 합병증
5) 대상자들의 심리적 갈등
6) 임신중절술과 의료인의 스트레스
7) 낙태의 현황
8) 낙태의 윤리적 고려사항
9) 낙태의 실척적 대안
-참고문헌
1) 임신중절술의 종류
2) 임신 1기의 인공임신중절
3) 임신 2기의 인공임신중절
4) 인공임신중절의 합병증
5) 대상자들의 심리적 갈등
6) 임신중절술과 의료인의 스트레스
7) 낙태의 현황
8) 낙태의 윤리적 고려사항
9) 낙태의 실척적 대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임신중절: 이 시기 인공임신중절은 태아의 사지와 몸통 부분이 잘린 상태로 배출되며, 배출된 태아의 조각이나 죽은 태아의 육체적인 접촉을 할 때 의사와 간호사는 심적 고통을 받으며, 임신중절을 받고 심적인 혼란에 빠진 대상자나 가족을 돕기 위해 그들의 곁에 머물러 있는 경우 더욱 큰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7) 낙태의 현황
2001년 8월 1일 ~ 2002년 7월 31일까지 1년 동안 ‘분만’으로 건강보험급여를 지급한 건수는 44만4496 건, 임신기간 동안 ‘산전진단’을 받은 건수는 65만7831건, 약 21만건의 차이 -> 이중 10만7532건은 ‘유산’건수(태아 6명 중 1명이 유산됐다는 뜻으로 말할 수 있음) 그리고 남는 숫자가 ‘낙태’로 추정됨(10만5812건)
임신한 후 6명 중 1명은 낙태한다는 뜻으로 볼 수 있음. => 결론적으로 건강보험 통계로 봤을 때, 임신 여성 6명 중 1명은 유산되고, 또 한명은 낙태시키고, 4명만이 정상적으로 출산함. (표-1 참조) 그러나 실제 발생하는 낙태건수와 규모는 이보다 훨씬 큼. 산전진단없이 바로 낙태시키는 경우는 이 통계에서 잡을 수 없고, 미혼자와 비정상적인 관계에서의 임신으로 인한 낙태는 이 통계에서 제외될 수 밖에 없음
<표-1>
(낙태반대운동연합 http;//www.prolife.or,kr)
8) 낙태의 윤리적 고려사항
① 자기 방어권 -> 태아의 지위 문제와 무관하게 낙태를 판단하려고 시도함. 태아에게 성 인과 같은 생명권이 인정된다면, 낙태는 원칙적으로 금지되어야 함
② 종에 속함 -> 적당하게 골격과 기관이 구분이 이루어지면 비로소 한 인간에 대해 이야 기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는 태아의 경우 대략 임신 8개월 초에 완성됨
③ 잠재성 -> 아기로 그 후 에는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음
④ 인격체 이익 -> 태아를 한 인격체로 봤을 때 인격체에 대한 그리고 인격체 간의 행 위가 도덕적이어야 함은 의심의 여지가 없음
⑤ 연속성 -> 신생아 살해의 금지를 태아 발달의 전체과정으로 확장시킴
⑥ 정체성 -> 태아는 이미 확고하게 결정된 인간적 개체성과 정체성을 지니고 있음
9) 낙태의 실척적 대안
- 임신출산을 조절하기 위해 가장 안전한 피임에 대한 정보를 얻으려고 노력함
- 남성에게 피임을 요구하는 것은 여성 자신뿐 아니라 남성과 태아도 보호하려는 책임감 있는 여성의 행동이라는 생각의 전환
- 피임은 임신을 피할 뿐 아니라 성병 등으로부터 남녀를 보호하는 것으로 안전한 성생활 의 필수조건으로 받아들이는 의식의 전환
- 여성이 단순히 남성의 성욕구 해결을 해주는 수동적인 대상이 아닌 성욕구를 가지는 능 동적인 주체라는 생각의 전환
- 이성과의 교감과 사랑의 표현은 성관계만이 아니라 가벼운 신체적 접촉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는 생각의 전환
- 성생활의 모든 선택과 결정, 표현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이 평등한 존재라는 생각의 전환
2. 인공임신중절에 대한 그룹 의견
인공임신중절 찬성
성폭행으로 인해 임신을 했을 때 아이를 가진 여성은 행복하지 않을 것이다.
여성이 불행해지는 것은 물론 제대로 키워지지 못하는 아이 또한 불행할 것이다.
만약 임신한 여성이 아이 때문에 생명을 위협받을 경우 임신중절을 해야 한다.
원치 않는 임신이거나 키울 능력이 없는 사람들은 결국 아이를 버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인공임신중절 반대
인공임신중절은 비윤리적이며 태아의 생명권을 무시하는 행위이다.
무분별한 인공임신중절은 생명경시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자유분방한 성생활의 태도로 인해 생긴 문제는 본인이 책임져야 한다.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 Ι, pp.92~98, 536~546, 수문사, 2012
7) 낙태의 현황
2001년 8월 1일 ~ 2002년 7월 31일까지 1년 동안 ‘분만’으로 건강보험급여를 지급한 건수는 44만4496 건, 임신기간 동안 ‘산전진단’을 받은 건수는 65만7831건, 약 21만건의 차이 -> 이중 10만7532건은 ‘유산’건수(태아 6명 중 1명이 유산됐다는 뜻으로 말할 수 있음) 그리고 남는 숫자가 ‘낙태’로 추정됨(10만5812건)
임신한 후 6명 중 1명은 낙태한다는 뜻으로 볼 수 있음. => 결론적으로 건강보험 통계로 봤을 때, 임신 여성 6명 중 1명은 유산되고, 또 한명은 낙태시키고, 4명만이 정상적으로 출산함. (표-1 참조) 그러나 실제 발생하는 낙태건수와 규모는 이보다 훨씬 큼. 산전진단없이 바로 낙태시키는 경우는 이 통계에서 잡을 수 없고, 미혼자와 비정상적인 관계에서의 임신으로 인한 낙태는 이 통계에서 제외될 수 밖에 없음
<표-1>
(낙태반대운동연합 http;//www.prolife.or,kr)
8) 낙태의 윤리적 고려사항
① 자기 방어권 -> 태아의 지위 문제와 무관하게 낙태를 판단하려고 시도함. 태아에게 성 인과 같은 생명권이 인정된다면, 낙태는 원칙적으로 금지되어야 함
② 종에 속함 -> 적당하게 골격과 기관이 구분이 이루어지면 비로소 한 인간에 대해 이야 기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는 태아의 경우 대략 임신 8개월 초에 완성됨
③ 잠재성 -> 아기로 그 후 에는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음
④ 인격체 이익 -> 태아를 한 인격체로 봤을 때 인격체에 대한 그리고 인격체 간의 행 위가 도덕적이어야 함은 의심의 여지가 없음
⑤ 연속성 -> 신생아 살해의 금지를 태아 발달의 전체과정으로 확장시킴
⑥ 정체성 -> 태아는 이미 확고하게 결정된 인간적 개체성과 정체성을 지니고 있음
9) 낙태의 실척적 대안
- 임신출산을 조절하기 위해 가장 안전한 피임에 대한 정보를 얻으려고 노력함
- 남성에게 피임을 요구하는 것은 여성 자신뿐 아니라 남성과 태아도 보호하려는 책임감 있는 여성의 행동이라는 생각의 전환
- 피임은 임신을 피할 뿐 아니라 성병 등으로부터 남녀를 보호하는 것으로 안전한 성생활 의 필수조건으로 받아들이는 의식의 전환
- 여성이 단순히 남성의 성욕구 해결을 해주는 수동적인 대상이 아닌 성욕구를 가지는 능 동적인 주체라는 생각의 전환
- 이성과의 교감과 사랑의 표현은 성관계만이 아니라 가벼운 신체적 접촉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는 생각의 전환
- 성생활의 모든 선택과 결정, 표현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이 평등한 존재라는 생각의 전환
2. 인공임신중절에 대한 그룹 의견
인공임신중절 찬성
성폭행으로 인해 임신을 했을 때 아이를 가진 여성은 행복하지 않을 것이다.
여성이 불행해지는 것은 물론 제대로 키워지지 못하는 아이 또한 불행할 것이다.
만약 임신한 여성이 아이 때문에 생명을 위협받을 경우 임신중절을 해야 한다.
원치 않는 임신이거나 키울 능력이 없는 사람들은 결국 아이를 버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인공임신중절 반대
인공임신중절은 비윤리적이며 태아의 생명권을 무시하는 행위이다.
무분별한 인공임신중절은 생명경시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자유분방한 성생활의 태도로 인해 생긴 문제는 본인이 책임져야 한다.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 Ι, pp.92~98, 536~546, 수문사, 2012
추천자료
여성건강의 문제점
미혼모의 실태와 문제점 해결방안
10대임신의문제점과미혼모에대한복지대책
미혼모의 현황과 문제점 예방 및 개선방안
미혼모의 문제점과 정책및 서비스의 개선방안
미혼모의 현황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저출산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A+레포트)
미혼모의 문제점과 현황 해결방안
[미혼모][미혼모정책][미혼모 발생원인][미혼모 실태][미혼모 문제점][미혼모시설][미혼모정...
[사회과학] 미국과 독일의 낙태판결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간호학]낙태가 미치는 사회적 영향
가족복지론-미혼모의 문제점과 대책
여성건강관련윤리와법률, 여성윤리, 난자와배아, 보조생식술, 낙태, 여성의권리, 간호윤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