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case study,성인(응급실),저혈당증 (hypoglycemia)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case study,성인(응급실),저혈당증 (hypoglycemi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응급환자 정보 조사지
2) 대상자의 건강문제에 대한 간략한 문헌고찰
3) 응급처치

본문내용

경계 증상 : 빈맥, 심계항진, 진전, 불안, 과민
부교감신경게 증상 : 발한, 공복감, 이상감각
두통, 쇠약감 피로, 정신착란, 건만증, 시야 곤란, 부분 신경학적 이상, 경련, 혼수
저혈당이 발생하면 뇌와 신경기관에 공급되는 포도당이 부족해지고, 뇌신경계는 에너지 부족을 느끼게 되어 신체의 자율신경계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 결과로 현기증, 피로감이 발생할 수 있고, 심해지면 간질 발작과 의식 소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사망할 수도 있다. 또 저혈당을 극복하기 위해 아드레날린이 분비되고, 이에 따라 혈압 상승, 맥박수 증가, 가슴 두근거림, 떨림, 불안감이 발생하고, 부교감 신경의 작용으로 식은땀, 공복감, 이상 감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4. 진단
저혈당증이 의심되는 환자의 혈액 검사를 통해 혈당이 정상 수치보다 낮음을 확인하여 진단한다.
5. 검사
저혈당증의 원인을 감별하기 위해서 혈당 측정과 함께 인슐린, 체내 직접합석 인슐린만을 확인할 수 있는 C-펩타이드(C-peptide)를 측정하는 혈액검사를 시행한다. 가능한 다른 원인들에 대해 당뇨병의 병력과 치료력을 포함한 자세한 문진을 시행해야 한다. 이외에 의심이 되는 원인에 따라 다양한 호르몬 검사와 화학검사 등을 시행하여 그 원인을 감별할 수 있다. 공복 저혈당과 식후 저혈당을 감별하기 위해 금식 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6. 치료 및 간호 중재
의식 있을 때
속효성 탄수화물 경구 섭취(과일주스, 탄산수, 사탕, 초콜릿)
의식 없을 때
50% 포도당 정맥주입
수액요법 어려울 시 글루카곤 근육 주사
저혈당증이 의심될 경우 의식이 있는 환자라면 빨리 당분이 있는 음식을 섭취하고, 의식이 없는 경우는 즉시 응급실로 내원하여 수액으로 포도당을 공급받아야 한다. 이후 원인에 따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7. 예방
약물 원인 : 중단 또는 용량 감소, 원인 질환 치료
인슐린 작용 최고일 때, 공복 시 운동 피함
규칙적으로 혈당 측정하여 인슐린 요구량 변화 예측
신체활동량 증가 시 간식 섭취
환자와 가족에게 저혈당 증상 교육
당뇨 환자 인식표 부착 : 응급 처치가 가능하도록
3) 응급처치
대상자 문제
응급처치
응급처치의 원리
결과
저혈당
14:15
BST : 38mg/dl
50% D/W IV 50cc 투여
저혈당증으로 인한 신체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고당을 투약
15:00
: 90mg/dl
16:30
: 154mg/dl
10% D/W 150cc/hr 투약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2.20
  • 저작시기201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90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