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개내압 상승 ( 두개내압 상승 원인, 두개내압 상승 병태생리, 두개내압 상승 증상과 징후, 두개내압 상승 합병증, 두개내압 상승 진단, 치료, 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두개내압 상승 ( 두개내압 상승 원인, 두개내압 상승 병태생리, 두개내압 상승 증상과 징후, 두개내압 상승 합병증, 두개내압 상승 진단, 치료,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5mmHg) 치료
과환기는 지속적인 ICP상승의 치료에 사용되었다.
PaCO2가 낮아지면 뇌혈관이 수축하고 CBF가 감소하며, ICP가 감소하게 된다.
(3) 영양요법
ICP상승 환자들은 손상된 뇌의 대사 작용을 위한 혈당과 영양소 증가가 필요한 상태에 있게 되며 영양부족은 지속적인 뇌부종을 야기한다.
영양공급은 가능한 빨리 시작하며, 환자의 대사요구도와 체액량과 전해질 상태를 고려하여 주입한다.
중정도의 탕수상태가 뇌부종을 감소시키므로 65~75%로 수분을 제한 한다.
→ 그러나 체액부족은 심박출량을 감소시키고 혈압을 감소시켜 뇌로 운반되는 산소량과 뇌관류량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정상 체액량을 유지시키는 것이 안전하다.
6. 치료
(1) 뇌조직관류 유지
두개내압 상승의 증상인 서맥, 혈압 상승이 있는지 관찰한다.
대상자의 머리를 똑바로 가운데 놓이게 하며, 경정맥이 압박되면 두개내압이 상승되 므로 경부의 과도한 회전이나 굴곡은 금한다.
배변 시 힘을 주거나 Valsalva manuver, 등척성운동을 금한다.
두개내압은 25mmHg이상 상승하지 않게 하고 정서적 스트레스를 피하게 하고 조용 한 환경을 제공한다.
(2) 정상적인 호흡양상의 유지
대상자의 호흡상태를 모니터한다. (기도를 청결히 하며 기도개방을 유지한다.)
흡인은 주의 깊게 행하며, 기침과 긴장은 ICP를 높일 수 있으므로 피한다.
폐 부위는 적어도 8시간마다 청진하여 수포음이나 울혈부위를 확인한다.
(3) 체액 균형 유지
mannitol투여로 울혈성심부전과 폐부종이 발생되는지 주의깊게 관찰한다.
정상적인 배뇨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소변배설량, 비중과 요당을 측정한다.
탈수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대상자의 피부긴장도, 점막상태, 요삼투압을 모니터한다.
삼투요법을 받는 대상자는 체액상태와 신기능을 사정하기위해 정체도뇨관을 삽입하며, 탈수요법을 받는 대상자는 세심한 구강간호를 한다.
(4) 감염예방
두개내압을 측정하기 위해 뇌실내 도관을 삽입한 경우 뇌막염의 증상과 징후(열, 오 한, 경부강직, 두통)를 주의깊게 사정한다. 뇌실내도관의 드레싱은 항상 건조하게 유지 한다.
도뇨관이 개방상태를 유지하여 소변의 흐름이 막히지 않게 한다.
장 팽만을 평가하기 위해 복부를 시진하고 장음을 청진한다.
7. 간호
참고문헌
이향련 외, 성인간호학 2, 수문사(2010) p. 1179~1193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2009) p. 472~480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3.05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04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