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heme
2. Date
3. Abstract
4. Principle
5. Equipment
6. Method
7. Result
8. Discussion
9. Reference
2. Date
3. Abstract
4. Principle
5. Equipment
6. Method
7. Result
8. Discussion
9. Reference
본문내용
배지에서 피펫을 이용하여 조심스럽게 셀에 2ml을 넣어주었다. 이 또한 먼지를 닦아주고 O.D값을 측정하였다. 이 때 O.D는 optical density의 약자로 흡광도와 같은 말이다. O.D값이 높으면 탁도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B.cereus균도 마찬가지로 반복하여 흡광도를 측정해주었다. 측정 뒤에는 균이 들어있는 배지들을 배양기에 넣고 mode를 눌러 150rpm으로 맞추고 온도는 37도씨로 맞춰준 뒤에 배양해주었다. rpm은 분당회전수를 말하며 회전시키면 배양이 더 잘 이루어진다. 배양을 시켜주면서 3시간 간격으로 24시간 동안 O.D값을 측정해주었다. 측정한 결과 값으로 생장곡선을 그려주었는데, 두 균 모두 정지기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유도기는 확인할 수 없었는데 배양시간이 많이 지나지 않았을 때 측정했다면 관찰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생장곡선에서 정지기 전까지의 기울기가 B.cereus균 보다 E.coli균이 더 급한 것으로 봐서 E.coli균의 증식이 더 빨리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여러 가지 이유를 고려해볼 수 있다. 먼저 우리는 배양 시에 배양기 온도를 37℃로 맞춰주었는데,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B.cereus균의 최적온도는 28-35℃이고 E.coli균의 최적온도는 37℃로 환경이 E.coli균에 더 적합했을 수 있다. 아니면 B.cereus균과 E.coli균의 배양 차이때문일 수 있는데, E.coli균의 경우 1차배양 시켜준 상태에서 2차배양을 시켜준 것이지만 B.cereus균의 경우에는 2차배양을 마치고 보존을 한 비활성화상태의 것이었기 때문에 더 오래걸렸을 수 있다. E.coli균의 생장곡선에서 6시간과 9시간 사이에 값이 떨어진 것과 B.cereus균의 생장곡선에서 12시간 이후부터 값이 떨어진 것은 측정시에 셀을 제대로 닦아주지 않았거나 측정자가 달라서였거나 그 외의 실수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로서 이번 실험을 통해 여러 미생물을 동시에 측정할 때는 배양상태와 증식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해주고 흡광도 측정 시에도 일정한 조건에서 실수 없이 해주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9. Reference
<식품미생물학> 김창한 저 / 유한문화사 / p64-67
<미생물학> 최호형 저 / 아카데미서적 / p148-149
<식품미생물학> 민경찬 외 4명 공저 / 광문각 / p100-102
<쉬운식품분석> 이근보 외 2명 공저 / 유한문화사 / p353-356
9. Reference
<식품미생물학> 김창한 저 / 유한문화사 / p64-67
<미생물학> 최호형 저 / 아카데미서적 / p148-149
<식품미생물학> 민경찬 외 4명 공저 / 광문각 / p100-102
<쉬운식품분석> 이근보 외 2명 공저 / 유한문화사 / p353-356
추천자료
일반미생물학 용어정리 (영문용어 풀이)
환경미생물학실험보고서
침엽수와 활엽수 산림에서 산불 후 토양화학적 및 토양미생물학적 특성 변화
미생물학
2008년 2학기 식품미생물학 중간시험과제물 D형(돌연변이)
2008년 2학기 식품미생물학 중간시험과제물 E형(박테리오 파지)
2007년 2학기 식품미생물학 중간시험과제물 D형(유기산과 아미노산)
2007년 2학기 식품미생물학 중간시험과제물 B형(DNA와 RNA)
미생물 연습문제(공통교재-미생물학의 이해)
일반생물학/미생물학/효소
발효미생물학
미생물학실험 - 용혈성 검사
낙농미생물학 및 실험-Use of selective(획선평판법) & differential Media(분별배지)
[생물학 실험] 현미경의 구조와 실험용 초자류의 취급법 : 미생물학 실험에 있어서 가장 기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