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미국 대선 트럼프 당선과 의미
1) 미국 대선 트럼프 당선
2) 트럼프 당선의 의미
2. 트럼프 대통령의 대내외 정책
3. 트럼프의 한반도 정책
1) 한-미 경제 정책
2) 트럼프의 한반도 군사·안보 정책
4. 트럼프 당선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1) 기회요인
2) 위협요인
5. 트럼프 당선 이후의 한미 관계 설정에서 바람직한 방향과 그 구체적인 방안
Ⅲ. 결론
◆ 참고자료 ◆
Ⅱ. 본론
1. 미국 대선 트럼프 당선과 의미
1) 미국 대선 트럼프 당선
2) 트럼프 당선의 의미
2. 트럼프 대통령의 대내외 정책
3. 트럼프의 한반도 정책
1) 한-미 경제 정책
2) 트럼프의 한반도 군사·안보 정책
4. 트럼프 당선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1) 기회요인
2) 위협요인
5. 트럼프 당선 이후의 한미 관계 설정에서 바람직한 방향과 그 구체적인 방안
Ⅲ. 결론
◆ 참고자료 ◆
본문내용
신(新)고립주의적 대외정책 기조는 미국의 이익을 우선시하고, 둘째, 반이민 정책 시행 가능성이 높다. 셋째, 미국 기업들의 해외이전 방지 및 해외 기업의 미국 내 투자 장려, 넷째, 인프라 투자 확대, 미래형 환경/에너지 산업 삭감, 의료보험과 사회보장 축소, 다섯째, 수입품에 대한 관세부과 구상, 여섯째, 미국의 보호무역조치는 확대, 일곱째, NAFTA 재협상, TPP 탈퇴 고려, 여덟째, 무역구제조치 활용 및 불공정 무역국 지정 가능성, 아홉째, 환율 재조정의 문제 제기 등이다.
트럼프의 한미 경제 정책은 첫째, 트럼프 대통령이 보호주의 무역을 본격화 하므로 한미FTA 재협상 가능성의 문제 가능성이 있다는 것, 둘째, 한국의 환율 조작국 지정 가능성 있음, 셋째, 한국산 수출품에 대한 수입규제 증가, 고율의 반덤핑관세 부과 가능성도 높다는 것 등이다. 트럼프의 한반도 군사·안보 정책은 첫째, 북핵문제 해결 관련하여 트럼프는 미국의 직접적 행동보다 중국 역할론을 강조한다는 점, 둘째, 주한미군의 방위비 분담금 증액 문제와 사드 배치나 미군의 전략자산 한반도 배치 등과 관련해서도 비용 부담을 요구 등이 있다.
트럼프 당선 이후의 한미 관계 설정에서 바람직한 방향은 첫째, 향후 한미 간 통상마찰 가능성에 대한 대응방안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보완해야 한다는 것, 둘째,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이 심화되면 한국의 대중 수출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모니터링 필요하다. 셋째, 우리나라가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넷째, 향후 우리나라 대선 이후 한-미 관계에 대한 구상을 시작해야 한다는 것, 다섯째, 한미동맹에 우리나라의 입장을 분명히 하고, 북핵문제에 우리가 주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 참고자료 ◆
김상기(2017)「트럼프 시대 미국 대전략의 전환과 동아시아.한반도 정세 변화」통일연구원
김현욱(2016)「트럼프 미 행정부의 대외정책 전망」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김형주,이광우,이창선(2016)「불확실성 높은 트럼프 시대의 세계경제」LG경제연구원
문종철(2016)「트럼프 경제정책의 영향과 대응방향」산업연구원
문종철,신위뢰,윤우진,고준성,홍성인(2016)「미 대선 이후 예상되는 경제정책 변화의 영향과 우리의 대응방안」산업연구원
문종철(2017)「대통령 당선 이후 트럼프 행보의 시사점과 대응 방향」KIET
이정민,강환국(2016)「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경제·통상정책 방향 전망과 시사점」Kotra
조빛나,강내영(2017)「트럼프 경제정책으로 본 외환시장 영향」한국무역협회
주현수(2007)「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자본시장연구원
홍춘욱(2016)「트럼프 당선, 경제와 증시에 어떤 영향 미칠까?」키움증권
[트럼프 정부 한달] 지각변동 시작, 한미동맹은 안녕한가, 연합뉴스, 2017.02.19.
트럼프의 '보호무역과 한국', 김효겸, 충청일보, 2017.03.07.
트럼프 당선, 한국 안보·경제에 태풍 몰려온다, 브릿지경제, 2016.11.09.
트럼프의 마구잡이 환율조작 비난 심상치 않다, 서울경제, 2017.02.01.
트럼프의 미국, 총체적 위기에 대책없는 한국, 브릿지경제, 2017.01.22.
트럼프 정부 출범, 위기가 아닌 기회로 삼자, 건설경제신문, 2017.01.20.
"한·미FTA 혜택 받는 미국기업을 우리편 만들어 전략 짜라", 파이낸셜뉴스, 2017.03.09.
NAFTA 재협상, 트럼프 新무역질서 바로미터 되나, 서울경제, 2017.01.24.
‘TPP·NAFTA’ 에 액션 들어간 트럼프, 한미FTA로 불똥 튈까, 아시아투데이, 2017.01.25.
트럼프의 한미 경제 정책은 첫째, 트럼프 대통령이 보호주의 무역을 본격화 하므로 한미FTA 재협상 가능성의 문제 가능성이 있다는 것, 둘째, 한국의 환율 조작국 지정 가능성 있음, 셋째, 한국산 수출품에 대한 수입규제 증가, 고율의 반덤핑관세 부과 가능성도 높다는 것 등이다. 트럼프의 한반도 군사·안보 정책은 첫째, 북핵문제 해결 관련하여 트럼프는 미국의 직접적 행동보다 중국 역할론을 강조한다는 점, 둘째, 주한미군의 방위비 분담금 증액 문제와 사드 배치나 미군의 전략자산 한반도 배치 등과 관련해서도 비용 부담을 요구 등이 있다.
트럼프 당선 이후의 한미 관계 설정에서 바람직한 방향은 첫째, 향후 한미 간 통상마찰 가능성에 대한 대응방안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보완해야 한다는 것, 둘째,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이 심화되면 한국의 대중 수출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모니터링 필요하다. 셋째, 우리나라가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넷째, 향후 우리나라 대선 이후 한-미 관계에 대한 구상을 시작해야 한다는 것, 다섯째, 한미동맹에 우리나라의 입장을 분명히 하고, 북핵문제에 우리가 주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 참고자료 ◆
김상기(2017)「트럼프 시대 미국 대전략의 전환과 동아시아.한반도 정세 변화」통일연구원
김현욱(2016)「트럼프 미 행정부의 대외정책 전망」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김형주,이광우,이창선(2016)「불확실성 높은 트럼프 시대의 세계경제」LG경제연구원
문종철(2016)「트럼프 경제정책의 영향과 대응방향」산업연구원
문종철,신위뢰,윤우진,고준성,홍성인(2016)「미 대선 이후 예상되는 경제정책 변화의 영향과 우리의 대응방안」산업연구원
문종철(2017)「대통령 당선 이후 트럼프 행보의 시사점과 대응 방향」KIET
이정민,강환국(2016)「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경제·통상정책 방향 전망과 시사점」Kotra
조빛나,강내영(2017)「트럼프 경제정책으로 본 외환시장 영향」한국무역협회
주현수(2007)「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자본시장연구원
홍춘욱(2016)「트럼프 당선, 경제와 증시에 어떤 영향 미칠까?」키움증권
[트럼프 정부 한달] 지각변동 시작, 한미동맹은 안녕한가, 연합뉴스, 2017.02.19.
트럼프의 '보호무역과 한국', 김효겸, 충청일보, 2017.03.07.
트럼프 당선, 한국 안보·경제에 태풍 몰려온다, 브릿지경제, 2016.11.09.
트럼프의 마구잡이 환율조작 비난 심상치 않다, 서울경제, 2017.02.01.
트럼프의 미국, 총체적 위기에 대책없는 한국, 브릿지경제, 2017.01.22.
트럼프 정부 출범, 위기가 아닌 기회로 삼자, 건설경제신문, 2017.01.20.
"한·미FTA 혜택 받는 미국기업을 우리편 만들어 전략 짜라", 파이낸셜뉴스, 2017.03.09.
NAFTA 재협상, 트럼프 新무역질서 바로미터 되나, 서울경제, 2017.01.24.
‘TPP·NAFTA’ 에 액션 들어간 트럼프, 한미FTA로 불똥 튈까, 아시아투데이, 2017.01.25.
키워드
추천자료
북핵 문제를 통하여 바라본 남북한 관계
네덜란드 빔콕에서 얻는 한국 노사 관계의 재정립 방법
공급사슬관리(scm)과 고객관계관리(crm)비교분석
무역의 관점에서 본 한국과 주변국과의 관계
FTA에 대한 이해와 한미FTA
전교조에 대해 알아보고, 그 활동내용과 전교조와 학교사회복지사와의 관계에 관해 알아보시오
오바마 대통령과 한미 FTA
[FTA][투자협정][자유무역협정][원자력협정]한미투자협정, 한일투자협정, 한칠레자유무역협정...
오바마 행정부와 중국의 관계 변화
한국 안보의 당면 과제 - 주한미군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동북아정세 분석과 한국안보의 방향...
자유주의세력의 부상과 신자유주의로의 변모 _ 87년 이후 정치경제적 상황과 세계화 담론의 ...
문재인 대통령 방미 사설 분석 남북통일 외교 시사 현안 북미관계 북한 남한 미국 신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