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진단유형 및 방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DHD 진단유형 및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ADHD의 정의 및 특징
2. ADHD의 원인
3. 동반질환
4. ADHD의 증상
5. ADHD의 진단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신호 정지 검사: Stop Signal Test)
5)의학적 검사 및 평가
확진을 위해서는 전문의의 진단과 더불어, 의학적 검사 및 평가가 꼭 필요하다.
의학적 평가는 매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초적으로 시력, 청력 등의 이상 여부를 평가한다.
신경학적 검사(neurological examination)로서 정신상태, 반사능력, 전신감각, 대뇌신경, 운동시경 기능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6)심리검사
개인의 성격적·기질적 특성, 정신·역동적 특성, 정서적 특성 또는 정신 병리를 점검한다.
뇌의 지적영역, 인지적 영역, 좌우 뇌의 기능적 특성, 계획·조직 능력 및 실행 기능 평가하며, 가족들이 자신 및 자녀의 통합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 반드시 필요한 검사이다.
7)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진단기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진단기준은 미국 정신의학회에서 제시한 진단기준(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 DSM-IV)
소아의 ADHD 진단에서는 현재 알려진 가장 최선의 진단 방법.
표준점수
ADHD지수
정도
임상 해석
17-19
130+
최중도
아주 심한
15-16
120~129
최중도
아주 심한
13-14
110~119
중도
심한
8-12
90~109
중도
심한
6-7
80~89
중중도
중간의
4-5
70~79
경도
가벼운
1-3
≤69
최경도
아주 가벼운
참고문헌
· 김영혜 외(2014), 아동간호학(총론), 현문사, 682~686
· 김미예 외(2011), 아동의 건강문제와 간호, 군자출판사, 546~551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7.04.02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29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