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혈부작용(trasfusion reaction) 정의
2. 수혈부작용 종류
3. 준비물품
4. 환자사정 및 처치
5. 기대되는 결과(expected outcomes)
6. 기대되지 않은 결과(unexpected outcomes)
7. 간호기록
2. 수혈부작용 종류
3. 준비물품
4. 환자사정 및 처치
5. 기대되는 결과(expected outcomes)
6. 기대되지 않은 결과(unexpected outcomes)
7. 간호기록
본문내용
게 주입되는 것을 막는다. macrodrip tube는 필요시 빠른 혈량 교정에 사용된다.
5) 24시간 동안 100ml/hr 의 소변량을 유지하기 위해 crystalloid 용액(대개 생리식염수)을 주입한다. ATN을 예방하기 위해 신혈류를 증가시킨다.
6) 혈액제제 라벨, 수혈기록지, 환자 이름표 등 가능한 오류를 발견할 수 있도록 identifier를 다시 확인한다. 급성 용혈성 부작용은 확인 절차의 오류로 부적합한 혈액을 주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7) 기관의 방침에 따라 혈액샘플을 채취한다. 수혈하던 곳 이외의 자리에서 채혈한다. 세균오염이 의심된다면 균배양 검사를 한다. 하나는 맞는 혈액이 주입되었는지 보기 위해 수혈 전 샘플로 교차반응을 검사한다. 다른 샘플은 용혈을 검사한다. 세균감염 의심 시, 배양검사를 위해 혈액제제를 혈액은행으로 돌려보낸다. 보통 혈액 샘플은 혈액제제와 함께 혈액은행으로 보낸다. “수혈부작용 가능성”의 판단 지표가 된다.
8) 소변을 채집한다. RBC나 Hb가 있는지 검사한다.
9) 수혈부작용에 대한 특정양식을 작성한다. 수혈부작용의 가능성과 취한행동에 대해 기록한다.
10) 혈액은행으로 혈액제제를 돌려 보낸다. 수혈반응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여러번 수혈 받은 환자(암또는 AIDS)는 수혈부작용의 증상과 징후가 나타난다. 하지만 검사결과상으로는 부작용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지 못할 수도 있다. 혈액을 다시 연결하고, 면밀하게 관찰해야 할 수도 있다.
11) 사용한 물품을 버리고 손을 씻는다. 미생물과 신체 분비물의 전파를 감소시킨다.
12) 간호기록한다.
13) 안정될때까지 활력징후나 산소화 상태를 관찰한다. 심혈관계 상태를 더 잘 알수 있다. 비정상적인 활력징후와 산소포화도가 지속되면 보고해야 한다.
14) 6-12시간 동안 시간당 소변량을 관찰, 기록한다. ATN(acute tubular necrosis)를 초래하는 신혈류 감소나 신장혈관수축을 알수 있다. 소변량, 감소와 소변량 변화 등 비정상적인 징후가 지속되면 보고해야 한다.
15) BUN, Cr을 확인한다. 증가된 BUN, Cr이 지속되면 보고해야 한다.
16) INR, PT/PTT, fibrinogen을 확인한다 RBC의 과도한 파괴는 DIC를 일으킨다. 비정상의 PT/PTT, fibrinogen이 지속되면 보고해야한다.
17) LDH level을 확인한다. LDH는 RBC 용해 시 상승된다. 증가된 LDH 지속 시 보고한다.
18) Shock이나 심혈관 허탈의 증상 및 징후가 보이면 다음과 같이 한다. 큰 구경의 다른 정맥주사를 확보한다. 빠른 수액주입과 투약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처방된 응급약물을 준비하고 투여한다. 세균감염이 의심되면 배양과 감수성 검사를 위한 혈액을 채취하고, 처방된 광범위 항생제를 투여한다. 처방대로 산소를 투여한다. 심정지나 호흡정지시 ACLS(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Protocol: 고급심폐소생술)을 한다. 저산소혈증을 교정한다. 생명유지중재를 한다.
5. 기대되는 결과(expected outcomes)
활력징후가 안정적이다.
검사결과가 정상범위이다.
신장기능이 정상이다.
6. 기대되지 않은 결과(unexpected outcomes)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하다.
검사결과가 비정상이다.
신장기능이 손상되었다.
심폐정지
7. 간호기록
· 환자와 보호자 교육
· 수혈부작용이 나타난 날짜와 정확한 시간
· 주입이 중단된 시간
· 사정결과
· 보고한 의사나 전문간호사 이름
· 기대되지 않은 결과
· 시행된 중재
· 중재에 대한 환자의 반응
다음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중환자간호매뉴얼 군자출판사
5) 24시간 동안 100ml/hr 의 소변량을 유지하기 위해 crystalloid 용액(대개 생리식염수)을 주입한다. ATN을 예방하기 위해 신혈류를 증가시킨다.
6) 혈액제제 라벨, 수혈기록지, 환자 이름표 등 가능한 오류를 발견할 수 있도록 identifier를 다시 확인한다. 급성 용혈성 부작용은 확인 절차의 오류로 부적합한 혈액을 주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7) 기관의 방침에 따라 혈액샘플을 채취한다. 수혈하던 곳 이외의 자리에서 채혈한다. 세균오염이 의심된다면 균배양 검사를 한다. 하나는 맞는 혈액이 주입되었는지 보기 위해 수혈 전 샘플로 교차반응을 검사한다. 다른 샘플은 용혈을 검사한다. 세균감염 의심 시, 배양검사를 위해 혈액제제를 혈액은행으로 돌려보낸다. 보통 혈액 샘플은 혈액제제와 함께 혈액은행으로 보낸다. “수혈부작용 가능성”의 판단 지표가 된다.
8) 소변을 채집한다. RBC나 Hb가 있는지 검사한다.
9) 수혈부작용에 대한 특정양식을 작성한다. 수혈부작용의 가능성과 취한행동에 대해 기록한다.
10) 혈액은행으로 혈액제제를 돌려 보낸다. 수혈반응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여러번 수혈 받은 환자(암또는 AIDS)는 수혈부작용의 증상과 징후가 나타난다. 하지만 검사결과상으로는 부작용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지 못할 수도 있다. 혈액을 다시 연결하고, 면밀하게 관찰해야 할 수도 있다.
11) 사용한 물품을 버리고 손을 씻는다. 미생물과 신체 분비물의 전파를 감소시킨다.
12) 간호기록한다.
13) 안정될때까지 활력징후나 산소화 상태를 관찰한다. 심혈관계 상태를 더 잘 알수 있다. 비정상적인 활력징후와 산소포화도가 지속되면 보고해야 한다.
14) 6-12시간 동안 시간당 소변량을 관찰, 기록한다. ATN(acute tubular necrosis)를 초래하는 신혈류 감소나 신장혈관수축을 알수 있다. 소변량, 감소와 소변량 변화 등 비정상적인 징후가 지속되면 보고해야 한다.
15) BUN, Cr을 확인한다. 증가된 BUN, Cr이 지속되면 보고해야 한다.
16) INR, PT/PTT, fibrinogen을 확인한다 RBC의 과도한 파괴는 DIC를 일으킨다. 비정상의 PT/PTT, fibrinogen이 지속되면 보고해야한다.
17) LDH level을 확인한다. LDH는 RBC 용해 시 상승된다. 증가된 LDH 지속 시 보고한다.
18) Shock이나 심혈관 허탈의 증상 및 징후가 보이면 다음과 같이 한다. 큰 구경의 다른 정맥주사를 확보한다. 빠른 수액주입과 투약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처방된 응급약물을 준비하고 투여한다. 세균감염이 의심되면 배양과 감수성 검사를 위한 혈액을 채취하고, 처방된 광범위 항생제를 투여한다. 처방대로 산소를 투여한다. 심정지나 호흡정지시 ACLS(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Protocol: 고급심폐소생술)을 한다. 저산소혈증을 교정한다. 생명유지중재를 한다.
5. 기대되는 결과(expected outcomes)
활력징후가 안정적이다.
검사결과가 정상범위이다.
신장기능이 정상이다.
6. 기대되지 않은 결과(unexpected outcomes)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하다.
검사결과가 비정상이다.
신장기능이 손상되었다.
심폐정지
7. 간호기록
· 환자와 보호자 교육
· 수혈부작용이 나타난 날짜와 정확한 시간
· 주입이 중단된 시간
· 사정결과
· 보고한 의사나 전문간호사 이름
· 기대되지 않은 결과
· 시행된 중재
· 중재에 대한 환자의 반응
다음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중환자간호매뉴얼 군자출판사
추천자료
모성간호]GY 자궁근종의 원인과 증상 및 제거술 과정(사진파일 포함)
항암요법 환자간호
간호 사고 판례 보고서(투약 사고)
혈액장애 환자의 특수치료와 간호
내과 ARF 간호사례 연구
투약간호
간호실습일지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CRF) 간호과정 케이스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에 대해 구체적 설명, 면역 과민반응 특징 주요질환, 4가지형태의 과민...
암환자 간호 {말기 암환자 간호, 응급상황 관리}.pptx
정맥관 삽입방법 및 간호
시나리오 위궤양 간호과정
성인간호실습 컨퍼런스(케이스) 간암(Liver Cancer) 입니다
간호학과=기초간호과학=1 1)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 영향과 전신 영향은 무엇인지 2) 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