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형식도야 이론
2. Tyler 이론
3. Dewey의 경험 교육과정
4. Bruner의 지식의 구조
5. Pinar의 재개념주의 : 쿠레레로서의 교육과정
2. Tyler 이론
3. Dewey의 경험 교육과정
4. Bruner의 지식의 구조
5. Pinar의 재개념주의 : 쿠레레로서의 교육과정
본문내용
일시적 우연성, 공간성, 개인적이며 사회적인 것
5. Pinar의 재개념주의 : 쿠레레로서의 교육과정
1) 파이너의 교육과정 이론
교육과정은 어떤 정해진 길을 가는 것이 아니라 인간 자신의 경험과 의미에 따라 자신 의 길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자신의 실존적 의미를 추구하고 자신의 교육과정을 새롭게 추구해 가는 것이 교육이다.
사회적 문화적 현실 속에서 개인이 갖는 경험과 의미를 파헤치고 이해하는 일에 초 점을 둔다.
교육과정을 인간의 경험을 이해하는 가장 훌륭한 방법으로 인간 경험이 갖는 개별적 특 수성과 의미를 찾는 것으로 이해한다.
2) 쿠레레로서의 교육과정
파이너가 교육과정의 의미로서 쿠레레의 교육에 대한 개인적 경험이 갖는 본질적 의미 제안.
경주로가 아니라 경주에서 각각의 말들이 코스를 따라 달리는 개인적인 경험을 지칭.
3) 재개념주의자들의 주요 원리
① 교육과정은 인간과 그의 자연과의 관계를 총체적이고 유기적인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 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② 개인은 지식구성의 주요 행위자이다. 개인은 문화 전달자일 뿐만 아니라 문화 창조자 이다.
③ 우리는 자신의 경험적 근거에 의존함으로써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개인과 집단의 경험을 재구성하고 재조직하는 것이 필요하다.
④ 경험의 전의식은 교육과정에 대한 의미를 발전시키는 데 중요하다.
⑤ 개인적 자유와 더 높은 수준의 의식의 달성에 중요한 가치를 둔다.
⑥ 이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사회적 목적과 수단의 특징은 다양성과 다수주의이다.
⑦ 교육과정에 대한 새 의미와 통찰을 가져오기 위해 새로운 방법이 요구된다.
5. Pinar의 재개념주의 : 쿠레레로서의 교육과정
1) 파이너의 교육과정 이론
교육과정은 어떤 정해진 길을 가는 것이 아니라 인간 자신의 경험과 의미에 따라 자신 의 길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자신의 실존적 의미를 추구하고 자신의 교육과정을 새롭게 추구해 가는 것이 교육이다.
사회적 문화적 현실 속에서 개인이 갖는 경험과 의미를 파헤치고 이해하는 일에 초 점을 둔다.
교육과정을 인간의 경험을 이해하는 가장 훌륭한 방법으로 인간 경험이 갖는 개별적 특 수성과 의미를 찾는 것으로 이해한다.
2) 쿠레레로서의 교육과정
파이너가 교육과정의 의미로서 쿠레레의 교육에 대한 개인적 경험이 갖는 본질적 의미 제안.
경주로가 아니라 경주에서 각각의 말들이 코스를 따라 달리는 개인적인 경험을 지칭.
3) 재개념주의자들의 주요 원리
① 교육과정은 인간과 그의 자연과의 관계를 총체적이고 유기적인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 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② 개인은 지식구성의 주요 행위자이다. 개인은 문화 전달자일 뿐만 아니라 문화 창조자 이다.
③ 우리는 자신의 경험적 근거에 의존함으로써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개인과 집단의 경험을 재구성하고 재조직하는 것이 필요하다.
④ 경험의 전의식은 교육과정에 대한 의미를 발전시키는 데 중요하다.
⑤ 개인적 자유와 더 높은 수준의 의식의 달성에 중요한 가치를 둔다.
⑥ 이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사회적 목적과 수단의 특징은 다양성과 다수주의이다.
⑦ 교육과정에 대한 새 의미와 통찰을 가져오기 위해 새로운 방법이 요구된다.
추천자료
교육과정의 이론적 접근
(방통대)통합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 및 '책'의 활동계획안
유아교육과정의 이론적 기초
타일러(Tyler)의 교육과정 개발이론
다중지능 이론과 교육과정
Tyler의 교육과정개발 이론
2009년 2학기 교육과정및평가 중간시험과제물 A형(형식도야이론과 과학적 교육과정)
초등학교 음악과(음악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교육과정변천, 초등학교 음악과(음악교육)의 실...
영재교육과정의 이론과 개발
혼합연령 프로그램 - 혼합연령 프로그램의 역사 및 이론적 배경, 혼합연령 프로그램의 특성과...
교육에서의 기능론적 관점과 갈등론적 관점 (기능론적 관점, 갈등론적 관점, 신교육 사회학, ...
교육과정의 유형들(교과 및 학문중심, 인간, 경험중심 포함)의 이론적 배경 개념, 주요특징들...
유아교육과=교육과정=교육에서 구성주의 이론의 정의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구성주의에 근거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