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 고지혈증의 원인과 치료를 위한 식이요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지혈증] 고지혈증의 원인과 치료를 위한 식이요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고지혈증

I. 원인
1. 고 Chylomicron혈증
2. 고 VLDL혈증
3. Broad 병
4. 고 LDL혈증
5. 고 HDL혈증

II. 식이요법
1. 고 Chylomicron혈증
2. 고 VLDL혈증
4. 고 LDL혈증
5. 고 HDL혈증

*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경우에 동맥경화가 진전되기 쉽다.
II. 식이요법
(1) 고 Chylomicron 혈증
식사 본래의 장쇄지방산이 킬로미크론의 재료인데 장쇄지방산의 섭취를 1일에 25~35g으로 제한하는 것이다. 중쇄지방산(MCT)은 문맥으로 흡수되어 킬로미크론을 형성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2) 고 VLDL 혈증
VLDL의 합성항진이 원인인 것이 많다. 그 대책으로 섭취에너지의 제한이 중요하다. 비만이면 유리지방산의 지방조직에서 간으로의 유입의 증가와 triglyceride 합성항진으로 고 인슐린혈증이 존재하는데 체중감량을 지시한다. 당질의 부하로 간에서의 VLDL의 합성이 항진되는데 당질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특히 설탕, 과당의 섭취과잉을 피한다.
지방섭취의 증량은 중요하여 linoleic acid 등의 다가 불포화지방산(P)의 포화지방산(S)에 대한 값을 높이는(P/S비를 1-2) 것도 효과적이다. 그것은 lipoprotein의 이화를 촉진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어유에 많이 함유된 w-3계의 지방산(EPA등)도 Triglyeride를 저하시킨다.
(3) 고 LDL 혈증
에너지의 섭취과잉이나 비만이 원인이다. 지방을 적게 섭취하고 P/S비를 1-2 정도로 높이는 일도 LDL의 감소에 유효하다. 섭취 콜레스테롤량은 1일 300mg 정도로 억제한다. 또한 식이섬유는 LDL의 이화를 촉진하므로 많이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저 HDL 혈증
비만자에서는 HDL 이 저하되어 있다. 특히 고 Triglyceride 혈증자에서는 현저한데 감량을 서서히 한다. 그러나 급격하게 체중이 감소하면 HDL의 합성이 저하되므로 유의한다.
고당질 식이에서는 HDL의 이화항진이 있고 HDL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당질을 공급할 때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지방의 P/S 비가 2-3으로 높으면 HDL의 합성 저하 때문에 HDL이 저하되므로 P/S비는 1-2 정도가 적절하다.
알코올을 매일 소량씩 마시는 사람은 HDL을 높이고, 담배는 HDL을 저하시키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4.18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40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