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영양상태 평가
I. 영양상태의 평가
1. 식생활 진단
1) 식생활의 진단방법
(1) 문진
(2) 식생활 진단항목
2. 영양상태 판정
1) 신체계측
(1) 체위 : 신장, 체중
(2) 피부 두겹 두께
(3) 상완위 근육둘레
2) 체격지수
(1) 카우프 지수
(2) 뢰헤르 지수
(3) 퀘틀렛 지수
II. 의학적 평가
1. 생화학적 검사
2. 임상증세에 의한 평가
# 참고문헌
I. 영양상태의 평가
1. 식생활 진단
1) 식생활의 진단방법
(1) 문진
(2) 식생활 진단항목
2. 영양상태 판정
1) 신체계측
(1) 체위 : 신장, 체중
(2) 피부 두겹 두께
(3) 상완위 근육둘레
2) 체격지수
(1) 카우프 지수
(2) 뢰헤르 지수
(3) 퀘틀렛 지수
II. 의학적 평가
1. 생화학적 검사
2. 임상증세에 의한 평가
# 참고문헌
본문내용
AC)cm-0.314 x 상완삼두근피하지방두께(TSF)이다.
2) 체격지수
(1) 카우프(Kaup) 지수
주로 영유아기의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영아는 20 이상, 유아는 18 이상을 비만으로 본다.
카우프 지수 : 체중(kg)/신장2(cm) x 104
(2) 뢰헤르 지수
주로 아동기의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156 이상은 고도 비만, 156-140은 비만, 140-110은 정상, 109-92는 수척, 92 이하는 고도의 수척으로 본다.
뢰헤르 지수 : 체중(kg)/신장3(cm) x 107
(3) 퀘틀렛(Quetelet) 지수
주로 성인의 영양상태를 나타내며 별리 이용되고 있다. 미국 NIH는 여자 정상치는 19-24, 남자 정상치는 20-25이며, 남녀 구별 없이 30 이상이면 비만으로 본다.
퀘틀렛 지수 : 체중(kg)/신장2(cm) x 100
II. 의학적 평가
1. 생화학적 검사
임상적으로 시진(視診)이나 촉진(觸診)으로 증세가 확실하게 나타나지 않는 잠재성 영양결핍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혈액, 요중의 성분을 생화학적으로 분석하는 검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혈액은 영양상태를 가장 확실하게 반영하므로 전혈액, 혈청, 혈장 등에 대한 여러 가지 검사가 활용된다.
영양실조 상태에서는 흔히 빈혈이 나타나며 적혈구수,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hematocht), 철 등이 저하되고 있다. 단백질이 부족할 때에는 혈청총 단백질과 알부민이 저하되고 고지혈증인 경우에는 혈청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인지질, 유리지방산 등이 높다. 한편, 동맥경화를 억제시키는 작용이 있는 HDL 콜레스테롤 측정도 이용되고 있다.
혈중포도당, 케톤체, 비단백질소(잔여질소), 암모니아는 식사요법의 지표로서 중요하며, 요소, 크레아틴, 요산 등의 측정은 단백질 대사의 지표가 된다. 무기질 대사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나트륨(Na), 칼륨(K), 염소(Cl), 칼슘(Ca), 인(P) 등을 측정한다. 혈중 비타민농도 측정은 각종 비타민 결핍증 진단에 참고가 된다. 요중의 나트륨, 염소는 식염 섭취량과 잘 비례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체내에 잘 축적되지 않으므로 과잉섭취시에는 요중으로 배설된다.
2. 임상증세에 의한 평가
영양상태의 양호 또는 불량은 최종적으로는 신체 각 부위에 나타나므로 시진과 촉진에 의한 진단으로 관찰한다. 그러나 임상증세는 신체계측이나 생화학적 검사와는 달라 수량화하기 어려우므로 주관적이 되기 쉽고, 같은 의사가 진찰해도 때에 따라 판단기준이 달라질 수도 있다.
# 참고문헌
<식사요법> 김명희, 김미현 외 3명 저 / 광문각 / 2011
<질환에 따른 식사요법> 장혜순, 서광희 외 3명 저 / 신광출판사 / 2014
<식사요법 원리와 실습> 구재옥, 김원경 외 3명 저 / 교문사 / 2007
<영양과 식사요법의 간호적용> 김매자, 송미순 외 1명 저 / 정문각 / 2009
이기완, 명춘옥 외 2명 저 / 수학사 / 2009
<식사요법실습> 최미숙, 서광희 외 3명 저 / 파워북 / 2009
2) 체격지수
(1) 카우프(Kaup) 지수
주로 영유아기의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영아는 20 이상, 유아는 18 이상을 비만으로 본다.
카우프 지수 : 체중(kg)/신장2(cm) x 104
(2) 뢰헤르 지수
주로 아동기의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156 이상은 고도 비만, 156-140은 비만, 140-110은 정상, 109-92는 수척, 92 이하는 고도의 수척으로 본다.
뢰헤르 지수 : 체중(kg)/신장3(cm) x 107
(3) 퀘틀렛(Quetelet) 지수
주로 성인의 영양상태를 나타내며 별리 이용되고 있다. 미국 NIH는 여자 정상치는 19-24, 남자 정상치는 20-25이며, 남녀 구별 없이 30 이상이면 비만으로 본다.
퀘틀렛 지수 : 체중(kg)/신장2(cm) x 100
II. 의학적 평가
1. 생화학적 검사
임상적으로 시진(視診)이나 촉진(觸診)으로 증세가 확실하게 나타나지 않는 잠재성 영양결핍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혈액, 요중의 성분을 생화학적으로 분석하는 검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혈액은 영양상태를 가장 확실하게 반영하므로 전혈액, 혈청, 혈장 등에 대한 여러 가지 검사가 활용된다.
영양실조 상태에서는 흔히 빈혈이 나타나며 적혈구수,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hematocht), 철 등이 저하되고 있다. 단백질이 부족할 때에는 혈청총 단백질과 알부민이 저하되고 고지혈증인 경우에는 혈청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인지질, 유리지방산 등이 높다. 한편, 동맥경화를 억제시키는 작용이 있는 HDL 콜레스테롤 측정도 이용되고 있다.
혈중포도당, 케톤체, 비단백질소(잔여질소), 암모니아는 식사요법의 지표로서 중요하며, 요소, 크레아틴, 요산 등의 측정은 단백질 대사의 지표가 된다. 무기질 대사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나트륨(Na), 칼륨(K), 염소(Cl), 칼슘(Ca), 인(P) 등을 측정한다. 혈중 비타민농도 측정은 각종 비타민 결핍증 진단에 참고가 된다. 요중의 나트륨, 염소는 식염 섭취량과 잘 비례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체내에 잘 축적되지 않으므로 과잉섭취시에는 요중으로 배설된다.
2. 임상증세에 의한 평가
영양상태의 양호 또는 불량은 최종적으로는 신체 각 부위에 나타나므로 시진과 촉진에 의한 진단으로 관찰한다. 그러나 임상증세는 신체계측이나 생화학적 검사와는 달라 수량화하기 어려우므로 주관적이 되기 쉽고, 같은 의사가 진찰해도 때에 따라 판단기준이 달라질 수도 있다.
# 참고문헌
<식사요법> 김명희, 김미현 외 3명 저 / 광문각 / 2011
<질환에 따른 식사요법> 장혜순, 서광희 외 3명 저 / 신광출판사 / 2014
<식사요법 원리와 실습> 구재옥, 김원경 외 3명 저 / 교문사 / 2007
<영양과 식사요법의 간호적용> 김매자, 송미순 외 1명 저 / 정문각 / 2009
<식사요법실습> 최미숙, 서광희 외 3명 저 / 파워북 / 2009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