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수화물의 대사 및 기능, 탄수화물 종류, 탄수화물과 건강(질병)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탄수화물의 대사 및 기능, 탄수화물 종류, 탄수화물과 건강(질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탄수화물

I. 탄수화물의 종류
1. 단당류
2. 이당류
3. 올리고당
4. 다당류

II. 탄수화물의 대사 및 기능
1. 소화 및 흡수
2. 체내 기능

III. 탄수화물과 건강
1. 당뇨병
2. 유당불내증
3. 충치

IV. 탄수화물 급원식품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적게 섭취한다면, 지방이 불완전 산화되어 케톤체가 만들어 지고 케들증을 유발하게 된다.
■ 케톤체는 주로 혈액과 조직에 축적되어 식욕을 약화시키고 두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 치료하지 않을 경우 뇌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 하루 50~100g 정도의 란수화물을 섭취하면 케틀증을 예방할 수 있다.
(d) 음식에 단맛제공
단당류와 이당류 같은 단순당은 단맛을 지니고 있어 식품의 맛과 수용도를 높인다.
설탕이나 꿀 등의 천연적인 당류 이외에 당뇨병이나 비만증인 사람들을 위해 여러가지 대체감미료가 사용되고 있다.
III. 탄수화물과 건강
1. 당뇨병
■ 인슐린 합성이나 분비가 감소되거나 조직의 인슐린 수용체의 수나 민감도가 감소하여 나타나는 고혈당과 당뇨가 나타나는 대사성 질병이다.
■ 인슐린 작용이 부족하여 혈액 중에 당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조직 속으로 들어가지 못해 영양소 대사에 장애가 나타나게 된다.
2. 유당볼내증(lactose intolerance)
■ 유당 분해호소의 부족으로 생긴다.
■ 유당이 포도당과 갈락토오스로 분해되지 못한 채 대장에서 박테리아에 의해 발효되어 복통, 설사, 가스 등의 임상적 증상을 나타낸다.
■ 어른이나 노인에게서 흔히 나타나고 아시아인, 아프리카인에서 70-80%로 흔하다.
■ 하루 1컵 정도의 우유를 지속적으로 섭취함으로써 증세를 완화시킬 수 있으며 요구르트나 치즈는 우유보다 더 소화가 잘된다.
3. 충치
■ 구강에 서식하는 박테리아(streptococcus mutants)가 탄수화물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으면서 산을 생성하여 치아의 에나멜층을 부식시켜 충치가 발생된다.
■ 단순당의 섭취는 충치를 유발하기 쉽다.
■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황이 많이 함유된 식품은 충치 예방에 효과가 있다. 또한 불소가 함유된 음료나 치약을 사용하는 것도 충치 예방에 효과적이다.
IV. 탄수화물 급원식품
우리나라는 곡류 위주의 식사를 하기 때문에 비교적 탄수화물 섭취가 용이하다. 탄수화물 권장량은 총열량섭취의 55-70%이며, 대부분 복합탄수화물 섭취를 권장하고 있다.
* 참고문헌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5
최신공중보건학 / 정희곤, 강갑연 외 2명 저, 광문각, 2016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4.18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41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