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물질관련장애
I. 물질사용장애
1. 물질의존
2. 물질남용
II. 알코올 관련 장애
III. 암페타민 관련 장애
IV. 카페인 관련 장애
V. 대마계 제제 관련 장애
VI. 코카인 관련 장애
VII. 흡입제 관련 장애
VIII. 아편류 관련 장애
IX. 진정제, 수면제, 항불안제 관련 장애
* 참고문헌
I. 물질사용장애
1. 물질의존
2. 물질남용
II. 알코올 관련 장애
III. 암페타민 관련 장애
IV. 카페인 관련 장애
V. 대마계 제제 관련 장애
VI. 코카인 관련 장애
VII. 흡입제 관련 장애
VIII. 아편류 관련 장애
IX. 진정제, 수면제, 항불안제 관련 장애
* 참고문헌
본문내용
공격성, 정서적 둔마, 판단력의 장해, 사회적 직업적 기능손상 등)와 함께 현기증, 운동조정곤란, 불분명한 언어, 불안정한 보행, 전반적 근육약화, 시야혼탁, 혼미나 혼수 등의 증상을 보인다.
흡입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뇌손상, 간장장애, 심장장애, 신장장애, 시력장애, 기억력 상실, 근육마비, 체중감소 등이 나타나며 갑작스런 사망을 초래하기도 한다. 만성적 본드 흡입자는 숨을 쉴 때 악취가 나고, 흡입된 증기로 인하여 비강점막이나 구강점막에 염증이 생기기 때문에 자주 가래를 및는다(한국청소년연구원, 1992).
8. 아편류 관련 장애(Opioid-Related Disorders)
아편(opium)은 양귀비 열매의 진액을 말린 것으로 모르핀, 헤로인, 코데인 등이 있으며 마취제와 진통제, 지사제로 사용된다. 모르핀은 강력한 진통제로서 중추신경계와 위장에 주로 효과를 나타낸다. 헤로인(heroin)은 모르핀을 화학적으로 변형하여 보다 강력하게 만든 것으로 널리 남용되는 마약이며 미국에서 남용되고 있는 마약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 코데인은 기침을 진정시키는 진해제로 시판되어 구입이 용이하기 때문에 청소년이 맡이 남용하는 약물이다.
아편류 중독은 아편류의 사용 도증 또는 그 직후에 발생되는 임상적으로 심각한 부적응행동과 심리적 변화(예 : 초기 다행감에 뒤따르는 무감동, 불쾌감, 초조 또는 지연, 판단력장애, 사회적 직업적 기능 손상 등)와 함께 동공축소 또는 동공산대, 졸림, 혼수, 불분명한 발음, 집중력장애와 기억력장애를 나타낸다. 아편을 상습적으로 남용하면 뇌와 간에 심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과량 복용 시 사망에까지 이른다.
아편류 의존은 어느 연령에서나 시작될 수 있으나 아편류 사용과 관련되는 문제는 통상적으로 10대 후반 또는 20대 초반에 가장 흔히 관찰된다. 일단 의존이 발생되면 대개는 몇 년에 걸쳐 계속되며 금단시기 이후 재발이 흔하다.
9. 진정제 수면제 항불안제관련장애(Sedative-, Hypnotic-, or Anxiolytic - Related Disorders)
진정제, 수면제, 항불안제 물질로는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 카바메이트 제제, 메프로바메이트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물질은 뇌기능 억제제로서 진정제, 수면제, 항불안제를 고용량으로 알코올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치명적일 수 있다. 진정제는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약물로 신경을 차분하게 하는 진정효과와 수면효과를 가지고 있어 스트레스, 불안, 걱정 등을 해소하거나 불면증에 시달리는 사람이 많이 남용한다. 진정제는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이완된 느낌을 갖게 하지만 시공간의 왜곡, 기억상실, 현기증, 시야몽롱, 호흡억제, 혈압장애, 혼수상태 등을 초래하며 심한 경우에는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힘들다고 해서 술과 진정제를 함께 먹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이들 물질을 오락적 목적, 즉 기분고조상태를 경험하려는 계획적 중독은 10대와 20대에서 많이 관찰되며 불안, 불면, 신체증상의 치료를 위해 처방받은 약물에 의존하거나 이를 남용하는 것은 40대 이상에서도 나타난다. 이런 경우 약물의 내성이 생겨 더 많은 양을 요구하게 되고 점차 복용량과 빈도가 증가하게 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흡입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뇌손상, 간장장애, 심장장애, 신장장애, 시력장애, 기억력 상실, 근육마비, 체중감소 등이 나타나며 갑작스런 사망을 초래하기도 한다. 만성적 본드 흡입자는 숨을 쉴 때 악취가 나고, 흡입된 증기로 인하여 비강점막이나 구강점막에 염증이 생기기 때문에 자주 가래를 및는다(한국청소년연구원, 1992).
8. 아편류 관련 장애(Opioid-Related Disorders)
아편(opium)은 양귀비 열매의 진액을 말린 것으로 모르핀, 헤로인, 코데인 등이 있으며 마취제와 진통제, 지사제로 사용된다. 모르핀은 강력한 진통제로서 중추신경계와 위장에 주로 효과를 나타낸다. 헤로인(heroin)은 모르핀을 화학적으로 변형하여 보다 강력하게 만든 것으로 널리 남용되는 마약이며 미국에서 남용되고 있는 마약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 코데인은 기침을 진정시키는 진해제로 시판되어 구입이 용이하기 때문에 청소년이 맡이 남용하는 약물이다.
아편류 중독은 아편류의 사용 도증 또는 그 직후에 발생되는 임상적으로 심각한 부적응행동과 심리적 변화(예 : 초기 다행감에 뒤따르는 무감동, 불쾌감, 초조 또는 지연, 판단력장애, 사회적 직업적 기능 손상 등)와 함께 동공축소 또는 동공산대, 졸림, 혼수, 불분명한 발음, 집중력장애와 기억력장애를 나타낸다. 아편을 상습적으로 남용하면 뇌와 간에 심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과량 복용 시 사망에까지 이른다.
아편류 의존은 어느 연령에서나 시작될 수 있으나 아편류 사용과 관련되는 문제는 통상적으로 10대 후반 또는 20대 초반에 가장 흔히 관찰된다. 일단 의존이 발생되면 대개는 몇 년에 걸쳐 계속되며 금단시기 이후 재발이 흔하다.
9. 진정제 수면제 항불안제관련장애(Sedative-, Hypnotic-, or Anxiolytic - Related Disorders)
진정제, 수면제, 항불안제 물질로는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 카바메이트 제제, 메프로바메이트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물질은 뇌기능 억제제로서 진정제, 수면제, 항불안제를 고용량으로 알코올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치명적일 수 있다. 진정제는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약물로 신경을 차분하게 하는 진정효과와 수면효과를 가지고 있어 스트레스, 불안, 걱정 등을 해소하거나 불면증에 시달리는 사람이 많이 남용한다. 진정제는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이완된 느낌을 갖게 하지만 시공간의 왜곡, 기억상실, 현기증, 시야몽롱, 호흡억제, 혈압장애, 혼수상태 등을 초래하며 심한 경우에는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힘들다고 해서 술과 진정제를 함께 먹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이들 물질을 오락적 목적, 즉 기분고조상태를 경험하려는 계획적 중독은 10대와 20대에서 많이 관찰되며 불안, 불면, 신체증상의 치료를 위해 처방받은 약물에 의존하거나 이를 남용하는 것은 40대 이상에서도 나타난다. 이런 경우 약물의 내성이 생겨 더 많은 양을 요구하게 되고 점차 복용량과 빈도가 증가하게 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