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질환] 신장의 구조와 기능, 신장질환의 일반적인 증상, 신장질환 환자의 영양관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장질환] 신장의 구조와 기능, 신장질환의 일반적인 증상, 신장질환 환자의 영양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신장질환

I. 신장의 구조와 기능
1. 신장의 구조
2. 신장의 기능
1) 요의 생성
2) 혈압의 조절
3) 조혈조절
4) 체액수분과 전해질의 조절

II. 신장질환의 일반적인 증상
1. 단백뇨
2. 부종
3. 혈압
4. 고질소혈증
5. 기타

III. 신장질환 영양의 원칙
1. 당질
2. 지질
3. 단백질
4. NaCl
5. KCl
6. 물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같은 말기의 상태를 요독증(uremia)이라고 한다.
III. 신장질환 영양의 원칙
신장질환 중에서 중요한 것은 사구체신염, 신우신염, 신증후군, 신경화증인데, 사구체신염은 급성과 만성을 합하면 전체의 약 2를 차지한다. 이들 질환 가운데 신우신염의 화학요법을 제외하고는 유효한 원인요법이 없다. 그래서 신장을 보호하기 위하여 안정하고 보온하는 안정요법과 식이요법이 극히 중요하다.
식이요법의 원칙으로 열량은 당질과 지질에서 취하고 단백질과 염분, 수분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신장질환의 종류와 병의 상태에 따라서 이런 제한이 필요치 않은 경우도 있고 오히려 충분히 공급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같은 질환이라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세밀히 검토하여 적절한 치료식을 공급해야 한다.
(1) 당질
당질은 체내에서 분해하여 탄산가스와 물이 되고, 신장에는 부당을 주지 않으므로 신장질환식의 중요한 칼로리원이며 단백질의 이화를 막기 위하여 충분히 공급하도록 한다.
(2) 지질
지질도 정상적으로 대사되면 탄산가스와 물이 되므로 칼로리원으로 한다. 그러나 당뇨병성 신장질환처럼 케톤체를 생성하는 경우와 신증후군처럼 고지혈증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 그리고 동맥경화증의 진전이 염려되는 경우는 주의한다.
(3) 단백질
혈중의 비단백질 질소(NPN)가 증가하면 단백질을 제한해야 한다. 단백질은 대사되어 요소, 요산, creatinine 등 비단백질 질소가 되는데, 이들은 모두 신장에서 배설, 처리된다. 그런데 신장기능이 저하되면, 이들이 혈중에 축적되어서 고질소혈증이 되고 더 악화되어 요독증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혈중 BUN, NPN의 증대가 보이지 않으면, 지나친 제한까지는 안 해도 상관없다.
신증후군인 경우는 요에 다량의 단백질이 배설되어 혈장단백질(특히 albumin)이 감소해서 저단백혈증이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오히려 양질의 단백질을 공급해야 한다.
(4) NaCl
부종이나 고혈압이 있을 때에는 식염을 엄중하게 제한한다. 신장장애인 경우 흔히 핍뇨로 인하여 식염의 배설이 감소해서 체내에 축적하므로, 부종, 고혈압의 원인이 된다.
그런데 강력한 이뇨제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식염 제한을 완화해야 한다. 이뇨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세뇨관의 Na 재흡수능력이 저하해서 다량의 Na이 배설되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식염을 제한하면 저나트륨혈증 및 고칼륨혈증을 초래할 염려가 있다.
(5) KCl
신장질환일 때에는 혈청중의 K 농도의 변화에도 주의해야 한다. 신부전일 때에는 세뇨관에서의 K 배설이 저해되어서 고칼륨혈증을 초래하게 된다. 그런데 이뇨제를 사용하면 Na와 K가 모두 다량 배설되고 신증후군 치료에 사용하는 스테로이드제도 K의 배설을 자극해서 저칼륨혈증을 초래하게 된다. 혈중 K 농도의 이상은 심장기능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K 부족, 또는 과잉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6) 물
신장질환일 때 수분을 제한해야 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그 판정은 부종과 요량으로 한다. 급성신염의 무뇨기, 만성신염의 정뇨기에 부종이 있으면 제한하고, 만성신염 말기와 같이 세뇨관 재흡수의 장애로 다뇨가 되면 제한하지 않는다. 제한을 할 경우 수분의 보급은 (전일의 요량+700 ml) 이하로 한다.
*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7.04.18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41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